2015/11/28

[사회과학의 철학] Steel (2004), “Social Mechanisms and Causal Infer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Daniel Steel (2004), “Social Mechanisms and Causal Inference”,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34(1), 55-78. ]

1. What Are Social Mechanisms?

2. Mechanisms and the Problem of Confounders

3. Kincaid’s Objections

4. No Plausible Mechanism

5. Process Tracing and Interpretation

6. Conclusion

1. What Are Social Mechanisms?

2. Mechanisms and the Problem of Confounders

3. Kincaid’s Objections

4. No Plausible Mechanism

5. Process Tracing and Interpretation

6. Conclusion

(2023.09.30.)

2015/11/27

수학과 대학원생의 연애 편지?

수학과 대학원생이 연애 편지를 쓴다면 이런 식으로 쓸지도 모르겠다.

.

.

.

.

.

사랑하는 ◯◯에게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표현할 놀라운 방법을 찾았어.

그런데 편지 여백이 부족하니 이만 생략할게.

◯◯을 사랑하는 페르마가

(2015.09.27.)

2015/11/26

한 사람이 세금을 189조 원 넘게 날리다? - MB 집단설



『제왕운기』에 따르면, 단군은 고조선을 건국하고 1천 년 정도 다스리다가 아사달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사람이 어떻게 천년을 살 수 있을까? 해석 중에는, 단군이 고유명사가 아니라 임금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라는 의견도 있다. 단군이 고조선을 천년 동안 다스렸다는 말은 단군이라고 불리는 여러 왕들의 왕조가 천년 동안 이어졌다는 말이라는 것이다.

대통령을 선거로 뽑는 국가에서, 그것도 삼권이 분립된 현대 국가에서, 대통령 한 사람 잘못 뽑았다고 세금이 189조 원 이상 탕진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2천 년쯤 지나 지금 있는 문헌이 대부분 사라지고 파편적인 기록만 남는다면, 미래의 역사가들은 MB가 한 사람을 가리키는 것인지 어떤 집단을 가리키는 것인지를 놓고 논쟁을 벌일지도 모르겠다.

.

.

.

.

.

<4015년 한국사 학술대회>

- 김 박사: “저는 MB가 한 사람이 아니라 어떤 집단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고 봅니다. 당시 한국인들 사이에는 영문 약자를 유치하거나 어색하게 짓는 게 유행이었습니다. 마을금고를 MG라고 짓는 식으로 말이죠. 그런 유행에 비추어본다면 MB는 monetary band의 약자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이 박사: “저는 김 박사님과 의견이 다릅니다. 제가 최근에 발굴한 자료 중에는 MB의 사진도 있습니다.”

- 김 박사: “이 박사님도 아시겠지만, 당시 한국에는 의회도 있고 감사원도 있고 언론도 있었어요. 200조 원이 날아가는데 왜 아무도 못 막았죠? MB라고 하는 정교하게 조직된 거대한 집단이 한 나라를 장악해서 200조 원을 빼돌렸다고 하는 게 더 그럴 듯합니다. 전제군주가 다스리는 나라도 아니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한 사람이 그런다는 게 말이 안 되잖아요?”

* 링크: [한겨레] “MB가 탕진한 국민 세금 최소 189조원”

( 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76943.html )

(2015.09.26.)


2015/11/25

[외국 가요] 막스 라베 (Max Raabe)

Max Raabe - Sex bomb

( www.youtube.com/watch?v=PdiaDpYlNiM )

(2015.05.28.)

[생물학] 생물학의 여섯 번째 혁명

   
- 영국의 수학자이자 과학저술가인 이안 스튜어트(Ian Stewart) 교수는 『생명의 수학』이라는 책에서, 지금까지 생물학에 혁명적 사건이 다섯 번 있었고, 여섯 번째 혁명에서는 수학과 생물학이 본격적으로 만날 것이라고 함.
  
- 생물학에 혁명적 진보를 가져왔던 다섯 가지 사건
(i) 현미경의 발명
(ii) 분류체계의 확립
(iii) 진화론
(iv) 유전학
(v) DNA 구조론
 
- 이 다섯 사건에 수학이 크게 기여함.
- 뇌와 신경세포의 문제를 포함하여 자연에 존재하는 다양한 대칭구조를 규명하는 데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함.
예) 동역학이론, 카오스 이론, DNA 나선구조를 밝히는 매듭이론 등
    
- 영국의 물리학자 피터 맨스필드(Peter Mansfield)는 MRI 역문제의 수학적 방식을 규명함.
- 이 공로로 그는 영국 여왕에게 작위를 받고, 2003년에 노벨의학상을 수상함.
- 이러한 이론적 작업 덕에 MRI를 사용할 수 있게 됨.
  
- 자기공명영상(MRI) 기법으로 인체는 보는 방법
(i) 빛 대신 강력한 자기장을 인체에 보낸다.
(ii) 겉을 투과해서 들어간 자기장이 인체 장기의 원자들에 영향을 주어 핵자기공명(NMR) 현상을 일으킨다.
(iii) 자기장이 휜다.
(iv) 장기의 모양과 재질에 따라 자기장이 다르게 휘기 때문에, 자기장이 휘는 모양을 측정하여 원래 어떤 모양이었을지 추정한다.
  
- 장기의 모양이 원인이고 자기장이 흰 모양은 결과다.
- 원인을 안다면 물리학적 분석으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데, 우리가 측정할 수 있는 것은 결과뿐이다.
- 자기장이 흰 모양(결과)에서 그 결과를 야기한 원인(장기의 모양)을 추정해야 한다.
- 이는 ‘거꾸로 푸는 문제’라서 역문제(逆問題)라고 부른다.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고 풀어야 하는 난해한 수학 문제다.
- 영상의학의 진보는 하드웨어의 진보보다 수학 알고리즘의 진보와 더 관련이 있다.
  
- 구조와 패턴이 있는 모든 것은 수학의 범주에 드는데, 불확실성과 무작위성조차 이제는 수학의 대상에 포함된다.
 
 
* 링크: [세상을 바꾸는 수학] 생명과학의 여섯 번째 혁명이 다가온다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10207)
  
  
(2015.11.25.)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