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1
[과학사] Kuhn (1977), “Energy Conservation as an Example of Simultaneous Discovery” 요약 정리 (미완성)
2023/05/30
2023/05/27
[언어철학] Searle (1998), Ch 5 “The Structure of the Social Universe: How the Mind Creates an Objective Social Reality” 요약 정리 (미완성)
[ John R. Searle (1998), Mind, Language And Society: Philosophy In The Real World (Basic Books), pp. 111-134. ]
5.1. Social and Institutional Reality
5.2. Observer-Dependency and the Building Blocks of Social Reality
5.3. A Simple Model of the Construction of Institutional Reality
5.4. The Example of Money
5.5. How Institutional Reality Can Be So Powerful
5.6. Solutions to the Problem and the Puzzles
5.1. Social and Institutional Reality
5.2. Observer-Dependency and the Building Blocks of Social Reality
5.3. A Simple Model of the Construction of Institutional Reality
5.4. The Example of Money
5.5. How Institutional Reality Can Be So Powerful
5.6. Solutions to the Problem and the Puzzles
(2024.05.21.)
2023/05/26
땅 욕심에 배수로도 안 만드는 옆집
옆집 사람들이 땅 욕심에 환장난 사람들인 것은 성토 작업을 하던 포크래인 기사도 아는 사실이지만, 하는 짓을 보면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든다. 땅을 어떤 식으로 쓰든 최소한의 배수로를 확보하는 것이 정상인데, 옆집 사람들은 어떻게든 땅을 조금이라도 더 쓰려고 배수로를 만들어야 할 자리에 밭고랑을 만든다. 이 때문에 장마 때마다 인근 농로가 침수된다. 멀쩡한 논을 성토해서 밭으로 바꾼 것은 개인의 경제적 자유라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면 안 되는 것 아닌가? 매년 장마 때마다 밭에서 농로로 물이 쏟아지는데, 옆집 사람들은 그걸 뻔히 알면서도 배수로를 만들지 않고 그 자리에 밭고랑을 만든다.
물론, 옆집 사람들이 아예 배수로를 만들지 않은 것도 아니다. 자기네한테 필요한 부분까지는 배수로를 만든다. 자기네한테 필요 없는 곳은 물이 길바닥으로 넘치든 말든 상관하지 않는다. 논과 인접한 부분의 밭고랑은 아예 농로 쪽으로 물이 빠지라고 대놓고 방향을 틀어서 만들어 놓기까지 했다.
혹시 옆집 사람들이 땅 욕심 때문에 이러는 게 아니라, 논을 성토하여 밭을 만들기 이전에는 배수 문제가 생길 줄 몰랐고 그래서 이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못 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다. 옆집 사람들은 논과 인접한 부분에 항상 물이 찬다는 사실을 이미 성토 이전부터 알고 있었다. 이는 옆집 남매의 토지 분할에도 반영되었다. 옆집 땅의 모양이 하도 이상해서 어떻게 된 것인지 물어보니 옆집 남매 중 누나는 논과 인접한 부분에서 물이 넘쳐서 그렇게 분할했다고 답했다. 내가 보기에, 교활한 남동생이 누나를 속여 100평 정도 더 가져간 것 같은데, 하여간 남매는 둘 다 자기 땅에 배수와 관련된 문제가 있음을 이미 성토 이전부터 인지하고 있었다.
작년 여름에는 옆집 땅과 인접한 농로에서 미꾸라지가 돌아다녔다. 올해도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다.
(2023.03.26.)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