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30
[과학철학] Teller (2008), “The Finewright Theory” 요약 정리 (미완성)
2019/08/29
학술대회 포스터를 보내러 여러 철학과를 검색하다가
학회를 앞두고 다른 학교 철학과 사무실에 연락할 일이 있어서 구글에 여러 학교 철학과를 검색했다. 학교별 철학과 학생들이 쓴 이상한 글이 잔뜩 떴다. 개인 블로그에 써놓은 글은 그렇다고 치자. 왜 동아리를 만들어서 학교 이름, 과 이름 써놓고 정신 나간 소리를 쓰는 것인가. ‘무슨무슨 서포터즈’라고 하면서 학과별 소개하는 사이트도 몇 개 있었는데 그런 사이트에서 철학과 홍보하는 학생들도 여지없이 다 이상한 글을 써놓았다. 분명히 학교마다 정상적인 학생들이 있고 똑똑한 학생도 있는데, 왜 철학과 홍보는 미친 놈들이 하는 것인가. 왜 미친 놈들은 활발하고 적극적이고 사교적인가.
글에 드러나는 미친 패턴이 획기적이거나, 이 정도면 혁신이라고 할 만하다든지 하면 또 모르겠다. 그러한 패턴이 획기적이어서 이 정도면 현대 예술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겠다 싶으면 그 사람에게 경의를 표할 마음도 있다. 그런데 그런 것은 거의 없고 죄다 진부하기 짝이 없는 것들이다.
일단, “삶과 유리되지 않는 학문”이라는 말은 꼭 들어간다. 반대로 물어보자. 어떤 학문이 삶과 유리된 학문인가? F=ma가 삶과 유리되었나, 필립스 곡선이 삶과 유리되었나? 그래놓고 철학책도 아니고 소설책에 나오는 문구를 써놓는다. “실천” 같은 소리도 꼭 들어간다. 뭘 실천하겠다는 것인가. 아, 후견주의(paternalism)에 관한 논문은 법학이나 행정학에서도 많이 나오니까 후견주의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를 하겠다는 것인가? 그런 것도 아니다. 그렇게 소설책에 나오는 문구를 또 써놓는다. “철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고 철학함을 배워야 한다”는 말도 꼭 들어간다. 무슨 말인가 가만 들여다보면, 책이나 논문 같은 것은 읽기 싫고 요약문이나 보고서도 쓰기 싫고 자기와 상태 비슷한 애들하고 노냥 노닥거리겠다는 말이다. 그들은 왜 그렇게 칸트를 욕보이는가. 도대체 칸트는 무슨 죄를 지었는가.
얼마 전에 학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사람에게서 어떤 이야기를 들었다. 그 사람이 다닌 학교에서도 인문대 학과들 통폐합 논의가 있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학생들이 토론회를 열었다고 한다. 인문학에 우호적이었던 그 사람은 자기 전공과 아무 상관없는 토론회에 갔고, 거기서 충격을 받았다. 과가 없어질 수도 있는 판에 참석자들은 밑도 끝도 없는 이상한 이야기를 서로 아무렇지 않게 주고받더라는 것이다. 그 사람은 해당 학과들이 통폐합되는 것을 걱정해서 토론회에 갔다가 생각이 바뀌었다고 했다. 그런 과들은 신입생을 따로 모집하지 말고 공대생들이 그런 학과를 복수전공하도록 권장하거나 강제하는 방식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쪽으로 입장이 바뀌게 된 것이다. 이렇듯, 미친놈들은 우군을 쫓아낸다.
인문학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이 문제라는 뉴스 보도나 신문 기사가 나오지만, 그런 보도나 기사에도 헛소리가 적지 않게 섞여있어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데 거의 도움이 안 된다. 철학이나 철학과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을 개선하려면 철학과 출신 미친놈들부터 제어해야 한다. 내가 내 공부도 못하는 주제에 딱히 뭘 할 수 있겠냐만, 그래도 아무 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낫겠다 싶어서 올해는 학술대회 포스터를 열네 군데 학교에 보냈다. 작년까지는 네 군데에만 포스터를 보냈으니, 올해는 작년보다 열 군데에 더 보낸 것이다. 후임 총무간사에게 이야기해서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많은 학교에 포스터를 보내라고 할 생각이다.
(2019.06.29.)
2019/08/27
교과서 두께
연구실에 가던 중 한 강의실에서 이런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것을 들었다. “부끄러운 이야기인데 내가 3학년 2학기까지 공부를 안 했어요.” 칠판을 보니 통계학과 계절학기 수업인 것 같았다. 문 앞에 서 있으면 나를 신경 쓰느라 교수가 하던 이야기를 못 할 것 같았다. 몸을 숨기고 이야기를 엿들었다.
“수학이 그렇게 재미가 없는 거야. 교과서를 보면 한 번 한 말은 다시 하지 않고 넘어가요. 게다가 수학하는 사람들은 말을 많이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줄여서 쓰고 생략을 많이 해요. 그런 책으로는 도저히 배울 수가 없어요. 교과서는 가르치라고 있는 책인데 그런 책으로는 가르칠 수 없는 거죠. 그래서 참고서가 잘 팔리는 거예요. 세상은 참 재미있어요.”
어떤 학문이든 발전할수록 가르쳐야 할 것이 많아지고, 그걸 교과서에 다 넣으면 두꺼워지니까 안 두꺼워지게 하려고 생략과 축약을 많이 하고, 그렇게 되면 배우기가 어려워서 훨씬 두꺼운 참고서가 나온다. 관련 법령이 있는 것도 아닌데 왜 교과서는 꼭 하드커버 한 권으로 만들까. 혹시라도 내가 교과서를 만드는 사람이 된다면 작은 책 여러 권으로 만들어서 들고 다니기도 쉽고 해설도 충분히 많은 교과서를 만들어보고 싶다. 원래 그런 교과서가 있었는데 사라진 건지, 아무도 시도하지 않아서 그런 교과서가 안 나온 건지는 모르겠는데, 어쨌든 그런 시도를 해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
(2019.06.27.)
2019/08/26
[과학기술학] 홍성욱 (2016), 3장 “과학철학적인 탐색” 요약 정리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철학과 대학원 수업에 들어갔다. 절반은 아는 사람이고 절반은 모르는 사람인데 내 옆에 앉은 모르는 사람이 나한테 말을 걸었다. 그 사람은 나를 <한국철학사> 수업에서 봤다고 했다. 내가 <한국철학사> 수업을 들은 건 2013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