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26

그렇지만 차유람이라면



며칠 전, 지도교수님과 전공자들이 저녁식사를 했다. 어느 학교가 파산 위기라더라, 강사법 시행 이후에 학교들이 강사 수를 줄이고 있다더라 하는 이야기가 나왔다. 강사 자리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에 선생님은 약간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〇〇이가 수료할 때쯤에 강의할 자리가 있을까 모르겠네”라고 하셨다. 나는 “어떻게 되겠죠”라고 답했다. 그러자 내 옆에 있던 석사과정생이 큭큭 웃으면서 “관악구청 같은 데 가면 되잖아요”라고 했다. 나는 석사과정생에게 선생님 앞에서 그런 이야기를 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어차피 선생님도 아시잖느냐는 것이었다. 나는 그래도 그런 말을 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사실, 관악구청 같은 데 가면 된다. 대외적으로 하는 게 아무 것도 없는 상황에서도 아르바이트가 간간이 들어오니까 본격적으로 영업하면 당연히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지금 학술지에 멀쩡히 논문이라도 쓰는 것도 아니라서 지도교수 앞에서 대놓고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조금 그렇다. 그런데 선생님은 의외의 말씀을 하셨다. “왜? 강신주처럼 잘 될 수도 있잖아.” 그 말에 나는 곧바로 “돈을 많이 벌고 싶기는 하지만 그렇게까지 추하게 살고 싶지는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물론, 개 같이 벌어 정승처럼 쓸 수도 있다. 나는 예전에 인문대 출신의 어느 고액 기부자가 인문대 교수들 앞에서 인문학 강연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정말 말도 안 되는 이야기였는데도 강연장에 있던 인문대 교수들은 가만히 듣고 있었다. 강연자가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를 가지고 한참이나 정말 말도 안 되는 소리를 늘어놓고 있을 때, 나는 근세철학 선생님의 반응을 살폈다. 놀랍게도 그 선생님은 흐뭇한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끄덕끄덕하셨다. 해당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분이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을 보고 나는 ‘돈이란 저런 것이구나, 나도 돈을 많이 벌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내가 인문대에 거액을 기부하고 협동과정에 전 지도교수 이름을 딴 장학금을 만들고 학회에 현 지도교수 이름을 딴 상을 만든다면, 내가 개소리해서 돈을 번다고 해도 학계에서 아무도 나를 욕하거나 등 돌리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정상적인 대학원을 다녀놓고는 개소리해서 추하게 돈 벌고 싶지는 않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돈 벌면 돈만 많이 벌 수 있는데, 개소리로 돈 벌면 돈도 많이 벌고 차유람 같은 부인과 살 수 있다고 한다면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 돈은 많지만 지도교수가 모르는 척하고 동료들이 부끄러워할 것이다. 그래도 부인이 차유람이다? 어쩌면 나는 “R=VD에서 V가 곱이 아니라 제곱”이라고 하거나 “R=VD를 미분하면 순간실현률이 나온다”고 하거나 “marginal VD이 0이 되는 지점에서 total VD가 극대화되니까 더 이상 생생하게 꿈꿀 수 없을 때까지 꿈꾸라”고 하거나, “R=VD이 아니라 R=αVD+β”라고 하고 α값과 β값을 구할지도 모르겠다.

(2019.05.26.)


2019/07/25

[역사] Koji Kanda (2003), “Landscapes of National Parks in Taiwa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요약 정리 (미완성)

   
[ Koji Kanda, “Landscapes of National Parks in Taiwa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presenting Local Places and Rising Voices from Below, ed. Toshio Mizuuchi (Osaka City Univ, 2003), pp. 112-119. ]
  
  
  I. Introduction
  II. The Selection Process
  III. The Arguments at the first meeting of the Taiwan National Parks Committee in 1936
  Ⅳ. Imaginative Geographies, Positionalities, and Scale Politics about the Taiwan National Parks
    1. Hayasaka’s critique
    2. Tamura and Tourism
  V. Conclusion
  
  
  I. Introduction

일제 식민 통치기 대만 국립공원 landscapes의 정치학.
일반적으로 전쟁 전 일본에서 산, 계곡, 숲이 국립공원 landscapes로 선택되었고, 이 landscapes는 근대 시기 일본 nationalism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됨.
Shigetaka Shiga’s The theory of Japanese Landscape (1894): 일본의 풍경은 산으로 상징된다.

일제 강점기 대만의 세 국립공원도 산.
그러나 두 가지 중요한 차이점.
(1) 대만 국립공원은 일제 식민지에 만들어진 것으로 다른 의사결정 기관, 과정을 거친 것. 대만총독부 내무부.
(2) 대만은 많은 열대 풍경 존재. 따라서 자연 경관의 특징이 꼭 산일 필요 없음. 즉 대만 자연경관의 특징은 상생된 nationalistic 일본 경관을 비틀 위험 있었음.

이런 주변적 상황 때문에 국립공원 선정 당시 많은 논란 있었음. 왜, 어떤 측면, 어떤 이미지들이 대만 국립공원에 투영되었고 대만의 상상적 지리에 대한 정의는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살펴볼 것.


  II. The Selection Process

‘내지’에서 국립공원 논의 1911년에 시작, 국립공원협회 1927년 창립, 국립공원법 1931년 제정, 12 국립공원(산 경관을 특징으로 함) 1934-36년 선정.

대만에서 내지 국립공원 선정에서 중요한 역할 했던 쯔요시 다무라(Tsuyoshi Tamura)가 1928년에 처음 조사. 이후 지역 행정기관과 유력 인사들이 자기 지역 산 포함시키기 위해 다양한 모임 조직.

대만총독부 내 관료들로 구성된 국립공원 조사 board 만듦(1933), 35년 위원회(관료, 지역 지식인, 다무라). 37년에 세 국립공원 지정(114쪽, 그림 1).

이처럼 대만 국립공원 선정 과정은 내지의 생각, 방식, 인사들에 의해 진행된 것. 그러나 대만이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진행된 것이기 때문에 1936년 관료, 대만 거주 지역 지식인, 다무라 사이에 논쟁이 벌어짐.


  III. The Arguments at the first meeting of the Taiwan National Parks Committee in 1936

1936년 2월 3일 위원회 첫 모임. 대만 총독(?), 14 관료, 15 지역 지식인, 다무라 참가.

총독: 자연 경관 보호 개발을 통해 국립공원은 일본 피지배인의 심신 수련, 외국 방문객 유인 제공 가능.

관료들은 1934년에 이미 Tatun, Tsygitaka-Taroko, Nitaka를 후보지로 선정. 내지 선정기준 적용, 즉 “일본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세계 각지로부터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 위대한 일본제국을 상징하는 웅대한 자연 경관을 선정”한 것. 그러나 위 세 후보지는 모두 산.
    
9년 전 대만 신문사 ‘대만팔경’ 선정 투표: 해안 네 곳, 산지 세 곳. 1위는 해안. Tatun은 8경에 끼지도 못했고 매우 좁은 지역임에도 후보에 선정된 것.

결국 대만 내 일부 지역 지식인들의 반대 나옴.
주요 쟁점.
(1) 국립공원의 수 줄여야 한다.
니타카와 츠기타카: 하나만 선정하자.
타로코 합치자: 타툰 제외하자.
이에 다무라는 내지의 기준과 동일하게 해야 한다며 반박, 즉 대만과 비슷한 크기의 규슈에도 국립공원 세 개.
(2)어떤 경관을 포함해야 하나?
- Ichiro Hayasaka: 대북제대 교수, 고생물학자. “내지에서 볼 수 없는 대만의 독특한 특징은 열대경관. 따라서 산호초와 열대우림 있는 남부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선정해야 한다.”
- 하야사카에 대한 반대: Shohkou Kohama(대만 총독부 내무부 director. '내지 국립공원은 주로 산지. 그것들은 일본 신민들의 심신 단련이 주목적이기 때문), 다무라(국립공원은 관광지가 아니라는 이유). 
- 하야사카는 “대만 남부의 열대 지역은 관광지일 뿐 아니라 신체 단련을 위한 공간”, “북해도의 Daisetsuzan이 그 빙하 때문에 선정되었다면, 대만 국립공원도 열대 경관을 포함해야 한다”고 반박.
- 그러나 대만 총독은 위와 같은 반대들을 몰랐고, 처음 세 후보지를 국립공원으로 선정.


  Ⅳ. Imaginative Geographies, Positionalities, and Scale Politics about the Taiwan National Parks

[p. 115]
첫 위원회 모임 이후 참가자들이 <The Forest in Taiwan>이라는 잡지에 논문 투고, 이 논문들 통해 각자의 positionality에 따른 다양한 상상지리(imaginative geography)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들은 종종 scale politics와 관련됨.

[pp. 115-116]
- 고하마의 논문 <The Mission of the National Parks>
대만의 특징적 경관은 아름다운 산. 이것들은 일본 신민의 미적 정서를 훈육할 수 있다고 지적함.
- 다무라의 논문 <The Mission of the Taiwan National Parks>
국립공원 핵심 목적은 신민들에게 웅대한 자연을 소개하고 그들을 그 속에 포함시킴으로써 심신을 단련시키는 것, 대만의 저지대(ground level)에 사는 사람들은 열대 기후 때문에 약해진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국립공원의 고지대로 올라가야만 한다고 함.
- 이 두 논문은 대만 국립공원의 주요 경관, 이미지, 이데올로기, 논리를 보여줌. 그러나 대만의 경우 환경결정론의 관점에서 열대 기후와 상상 지리는 산을 더욱 중요하게 만듦.
  

    1. Hayasaka’s critique
  
하야사카의 비판
- 대만 국립공원 선정 과정은 
(1) 대다수 대만 내 과학자, 전문가 견해와 달리 관료들과 다무라가 열대경관을 제외했고, 
(2) 국립공원이 일본인뿐 아니라 외국 관광객을 끌어들여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 것.

- 국립공원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자연보호, 미국 사례 인용.

[pp. 116-117]
하야사카의 “The Request for the Project of the Taiwan National Parks”
(1) 츠기타카-타로코 국립공원과 니타카-아리산 국립공원은 지리학적・지질학・식물학적으로 차이 없다.
(2) 일본에는 타툰과 비슷하고 더 큰 화산이 있으므로 타툰을 선정할 필요가 없음.
(3) 관료들과 다무라 보고서에도 열대 특성을 국립공원에 포괄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그런데 이들이 선정하려는 지역에는 열대경관이 없다. 대만에서는 오직 Hengchun 반도에만 열대경관 있다. 이를 포함하면 대만 국립공원은 제국 일본 차원, 세계적 차원 모두에서 특징적 상징적 경관을 갖게 되는 것.
(4) 대만 국립공원은 츠키타카-타로코와 나타카-아리산을 묶은 한 곳과, 행춘 지역, 이렇게 두 곳이 선정되어야 함.
(5) 다무라와 다른 관료들은 헹춘 지역이 아름다운 경관을 갖지 못했다고 비판하는데, 이들이 삼림학자라는 걸 생각하면 이 주장은 일탈이다. 이런 생각 때문에 이들은 진짜 열대경관을 무시하고 다른 지역의 유사 열대 경관에 주목한 것.
(6) 선정 과정에 이권이 개입했다(지역 개발 문제), 즉 신성한 영감 대신 세속적 동기가 작용한 것.
(7) 대만 국립공원 선정 과정에서 대만에 사는 많은 물리 과학자, 인문과학자들의 견해가 무시된 것은 유감이다.
  
- 정리하자면, 하야사카는 대만 국립공원이 열대 경관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 고생물학자로서 그는 자연 보존에 대한 신념 갖고 있었음. 또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대만의 지리학적 특성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생각, 이러한 주장들이 세계적, 그리고 대만의 공간적 규모(scales)에 의지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의 견해는 대만 정체성을 요구하고 관광객을 끌어들이길 바랐던 많은 대만 지식인들의 생각과 일치.
- 그러나 이들의 생각은 nationalism을 고취하고 균일한 national space를 만들고자 했던 다무라, 고하마에 의해 무시됨. 다시 말해 이 충돌은 명백히 scale politics를 체현한 것.
  

    2. Tamura and Tourism

[p. 117]
1928년, 1930년에는 관광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기도 했음.
일본의 대만 = 미국의 하와이.
열대 식생에도 주목.
그러나 하야사카 지적대로 행춘 반도 가지 않고 아리산의 식생만 봄.

[pp. 117-118]
- 이처럼 관광은 대만 거주 일본 지식인과 지역민뿐 아니라 다무라와 관료들에게도 중요했던 것. 왜? 관광 활성화되면 국립공원들도 자본주의 맥락에 포함시킬 수 있으니까. 
- 그러나 관광의 문화적 측면 때문에 관광에 대한 다른 접근을 하게 됨. 
많은 관광객들에게 열대경관은 “other” 매혹적인 공간의 상징. 결과적으로 이는 국립공원 기획자들의 nationalism 고취 목적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 있음.
다무라와 다른 근대 일본 landscape 이론가들에게 산은 일본 경관에 적절한 것(신성한 지역, 타자를 내려다볼 수 있는 곳, centrality of nationalism 등). 
그러나 열대경관은 일본경관에 대한 'other.' 왜? 열대경관은 'South'의 상상지리를 일으키는 곳(오리엔탈리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outh'는 천국 뿐 아니라 야만적, 원시적 인간의 세계)이므로.
- 처음에 다무라는 대만 국립공원을 일본 경관의 상징인 산과, 대만 경관의 특징인 열대경관의 'hybrid'로 간주, 그러나 점차 산의 중요성 강조함, 지역 지식인들이 산을 포함하지 않는 열대경관에 관심 기울였기 때문.

- 결국 그는 진짜 열대경관을 제외하기 위해 관광의 중요성 포기. 왜? 관광이 대만 국립공원에 otherness를 가져옴으로써 다무라 자신의 주장의 일관성을 헤치니까. 게다가 관광은 특정 spatial scale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national spatial scale을 파괴, 즉 관광은 그것이 중간적(in-between) 공간이기 때문에 국가적(민족적, nationalistic) 확실성 및 자본주의 뿐 아니라 ‘otherness’ 및 정치적 충돌과 관련된 것.

  
  V. Conclusion

근대 일본의 국립공원들은 민족주의(국가주의)를 고취시키기 위해 산에 정해짐.
특히 대만에 있는 사람들의 심신을 일본화하려는 식민 정책에 매우 유용.

관광, 지역 정체성, 자연 보존은 근대 일본의 국립공원 선정 과정에서 종종 경시됨.
왜냐하면 이런 면들이 열대 landscapes 같은 걸 가져와 공간적 scales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고, 이는 national scale의 배타적 동질성과 national authenticity 생산을 목표로 한 일본 국립공원 논리에 배치되기 때문.


(2019.09.03)
   

2019/07/23

[경제사] Huff and Caggiano (2007), “Globalization, Immigration, and Lewisian Elastic Labor in Pre-World War II Southeast Asia” 요약 정리 (미완성)

   
[ Gregg Huff and Giovanni Caggiano (2007), “Globalization, Immigration, and Lewisian Elastic Labor in Pre-World War II Southeast Asia,”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 67, No. 1 (Mar., 2007), pp. 33-68. ]


  1. TRADE AND IMMIGRATION IN SOUTHEAST ASIA
    1.1. Vent-for-Surplus Trade
    1.2. Immigration to Southeast Asia
    1.3. Methods of Immigration
  2. A MODEL OF IMMIGRATION TO SOUTHEAST ASIA
    2.1. Empirical Results
  3. GLOBALIZATION, LABOR MARKET INTEGRATION, AND LEWISIAN LABOR
    3.1. Asian Market Integration
    3.2. Southeast Asian Wage Convergence
    3.3. Lewisian Labor Supply
  4. CONCLUSIONS AND EXTENSIONS
  
  
pp. 33-34
- 1880년부터 1939년까지 버마, 말레이시아, 태국은 인도와 남중국으로부터 많은 이민을 받아들임.
- 이 논문의 세 가지 주요 목적
(1)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이민가게 한 배후의 힘(force)을 분석하는 것
(2) 글로벌 요소 시장의 일부분으로서 통합된 아시아인 노동력 시장이 존재했는지를 확인
(3) 장기의 무제한적인 미숙련 노동력에 대한 루이스의 주장을 탐구

p. 34
2차 대전 이전, 동남아시아로 유입된 대량의 자발적 이민자
루이스 가설

pp. 34-35
“수정주의자”(revisionist)

p. 35
Arthur Lewis의 unlimited Labor supply hypothesis가 이 시기 자료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함.
2차 대전 직전 동남아시아와 중국, 인도에 걸친 아시아 지역에 비숙련 노동시장에 통합된 광범위한 노동시장에 형성되어있었으며, 그것이 아시아 지역 경제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음 을 밝히고자 함.

  
  1. TRADE AND IMMIGRATION IN SOUTHEAST ASIA

    1.1. Vent-for-Surplus Trade
  
pp. 35-36
- 1880년대까지 수에즈 운하 개통과 증기선을 포함하는, 서구의 산업-통신 혁명은, 버마, 말레이시아, 태국이 미개척지에서 생산할 수 있었던 생산물에 대한 수요를 창출함.
동남아시아의 천연자원은 수출되지 않는 한, 상품을 생산할 수 없을 것이었음.
vent-for-surplus models는 변함.
여기서 말하는 자원은 토지나 광물 자원 등으로 성격이나 용도가 쉽게 바뀔 수 없는 특성을 지니며, 내수용 상품생산 용도로 전환될 수 없음.
그러나 Hla Myint의 vent-for-surplus model은 잉여 노동력을 요구함.
버마에서 이는 가능해 보임.
그러나 

p. 36
동남아시아의 세 나라들에서 vent-for-surplus trade는 몇몇 기초 상품의 극적인 수출 확장과 전문화로 이끎.
세 나라의 수출을 1913년 미국 달러로 표현하면, 1871-1873년의 5950만 달러에서 1936-1938년 9억 1990억 달러로, 연 평균 4.2% 증가함.
쌀은 버마와 태국의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 두 나라에서 쌀은 소농들이 재배함.
19세기 후반 통조림 혁신이 일어나면서 말레이시아에서 광산업이 발달함.
자동차의 고무 타이어 수요 때문에 말레이시아는 고무가 주요 산물이 됨.
버마와 태국도 말레이시아의 경제와 연결됨. 버마와 태국은 말레이시아에 쌀을 공급함.
  

    1.2. Immigration to Southeast Asia

pp. 36-37
버마와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태국도 영국의 준 식민지 상태.
식민 정부는 vent for surplus trade를 위하여 잉여 노동력을 중국과 인도로부터 들여오기 위해 이민을 추진.
이동거리의 문제 때문에 버마에는 주로 인도인이, 태국에는 중국인이 이동하였으며, 말레이시아에는 인도인과 중국인 모두가 유입됨.

[ p. 38 Table 1 ]


    1.3. Methods of Immigration
  
p. 40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다양한 형태의 노예 형태가 있었고, 부채 노예(debt slavery)와 부역(corvée)이 여전히 있었음.
그러나 동남아시아로 이주한 거의 모든 이민자들은 자발적이었음.


  2. A MODEL OF IMMIGRATION TO SOUTHEAST ASIA

[ p. 43 (1) ]

p. 43
W: wage
EM: Employment 
MS: immigration stock 
TRAN: 교통비용


    2.1. Empirical Results

p. 47
표 2는 방정식 1의 측정 결과를 보고한 것

[ p. 48 Table 2 ]

p. 50
장기적으로, 모든 조정이 일어남.
방정식 1의 델타값은 0이 됨.
그러므로 방정식 1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음.

[ p. 50 (1’) ]

[ p. 50 Table 3 ]


  3. GLOBALIZATION, LABOR MARKET INTEGRATION, AND LEWISIAN LABOR

pp. 50-51
(1) 세계 2차 대전 이전 동남아시아 지역에 통합된 노동 시장이 존재하였는가? 
(2) 그러한 시장이 존재하였다면 이지역의 실질 임금의 수렴이 발생하였는가? 
(3) 동남아시아 지역의 노동 공급은 순수하게 Lewisian 적이었는가? 무한히 탄력적이어서 실질 임금이 constant 하였는가?



    3.1. Asian Market Integration

[ p. 52 (5) and (6) ]

시장이 통합되어 있다면 Φ₄가 음의 값을 지녀야 함.

[ p. 53 Table 4 ]


    3.2. Southeast Asian Wage Convergence



    3.3. Lewisian Labor Supply

pp. 54-55
이민자가 유입된 지역의 무제한적 노동과 미숙련 노동자의 장기적으로 일정한 실질 임금에 대한 루이스의 가설은, 세 번째 문제에 직면함.
wage constancy를 분석하자면, 
우선 동남아시아 세 나라의 미숙련 노동 시장의 wage series를 사용하여 1880년대부터 1939년 사이의 실질 임금을 1913년 미국 달러로 표현(그림 2)

[ p. 54 Figure 2 ]

[ p. 55 Figure 2A ]

p. 55
그림 3은 동남아시아의 미숙련 노동 시장을 stylized version으로 나타낸 것

[ p. 56 Figure 3 ]

pp. 55-56
일정한 임금이 반드시 이민의 영향이라고만은 볼 수 없다.
Granger causality test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 
위의 결과로 동남아시아 지역의 일정한 임금이 이민의 영향으로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 p. 57 Table 5 ]


  4. CONCLUSIONS AND EXTENSIONS

1880~1939년까지 동남아시아에는 이민으로 인한 통합된 노동 시장이 존재.
중국과 인도로부터의 무한 탄력적인 노동 공급은 실질 임금의 수렴과 일정한 임금을 낳았으며, 이는 Lewisian unlimited labor hypothesis과 일치함.
이러한 통합된 노동시장은 국제 교역과 맞물려 동남아시아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게 됨.
  
  
(2019.09.27.)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