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22

[강의계획서] 과학철학연구 (천현득, 2019년 1학기)



- 수업명: <과학철학연구>

- 2019년 1학기

-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 담당교수: 천현득

■ 수업 개요 및 목표

- 이번 학기 “과학철학연구” 수업은 마음의 본성과 작동을 탐구하는 “인지과학의 철학”을 주제로 한다. 인지과학은 사고, 지각, 행동 등에 관한 학제적인 연구 분야로서, 심리학, 인공지능, 언어학, 신경과학, 그리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의존한다. 따라서 마음의 본성을 해명하려는 철학의 오래된 관심은 현대 인지과학과 많은 영향을 주고받는다. 우리는 인지과학에서 제기되는 주된 철학적 쟁점들 가운데 일부를 선별하여 다룰 것이다. 인지과학의 철학적 측면에 관심이 있거나, 과학철학의 일반적 쟁점들이 인지과학이라는 영역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관심이 있거나, 마음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해 과학과 철학의 경계를 기꺼이 넘으려는 사람에게 유익한 수업이 될 것이다.

- 수업에서 다룰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마음은 컴퓨터인가? 마음은 범용 기제인가 아니면 전문화된 특수 기제들의 집합인가? 우리의 사고는 세계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마음은 확장되고 체화되어 있는가?

■ 참고문헌

주교재는 없고, 필요한 문헌들은 게시판 등을 통해 배부한다. 아래는 참고문헌들이다.

• Berdumez, J. L. (2010), Cognitive Science. Cambridge.

• Cain, M. J. (2016), The Philosophy of Cognitive Science. Polity Press.

• Clark, A. (2014), Mindware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 Cummins, R. & Cummins D. D. (Eds.) (2000), Minds, Brains, and Computers. Blackwell.

• Dawson, M.R.W. (1998), Understanding Cognitive Science. Blackwell.

• Haugeland, J. (ed) (1997), Mind Design II. MIT Press.,

• Frankish & Ramsey, The Cambridge Handbook of Cognitive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tainton, R. (2006), Contemporary Debates in Cognitive Science, Blackwell.

• Prinz, J. (2002), Furnishing the Mind, The MIT Press.

■ 성적 평가: 참여도, 발제 및 비평문, 기말논문

• 1) 모든 수강생은 매 수업에 성실하게 참여할 것이 요구된다. 주어진 문헌을 미리 읽어오고 수업 중 토론에 참여한다.

• 2) 한 학기에 1회 이상 발제를 담당한다. 발제자는 해당 주에 읽어야할 모든 필수 문헌을 대상으로 하여, 핵심 내용을 (논증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요약하고, 함께 토론할만한 주제를 소개한다. 발제문은 수업시간 24시간 전에 제출한다. (게시판 이용)

• 3) 한 학기에 2-3회 논평문을 제출한다. 논평은 하나의 문헌(혹은 한 묶음)을 중심으로, 핵심 논증에 대한 자기 나름의 재구성, 주요 주장에 대한 가능한 반론, 숨겨진 전제, 저자가 제시하지 않은 지지 논증, 저자의 주장이 가진 추가적인 함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량은 2매를 넘지 않도록 하며, 수업시간 24시간 전까지 제출한다.

• 4) 기말논문은 6월 18일까지 제출하고, 기한 내 제출된 논문은 간략한 논평과 함께 반환한다. 기한을 넘겨 제출하는 경우 늦은 만큼 감점될 수 있고 논평을 받지 못할 수 있다.

■ Schedule and Readings

Week 1. (3/6) Philosophy of Cognitive Science?

• Cain, M. J. (2016), The Philosophy of Cognitive Science, Polity Press. Chapter 1.

• Abramsen and Bechtel. 2012. “History and core themes.” In Frankish & Ramsey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Cognitive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opt] Thagard, P. (2018), “Cognitive Science”,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opt] Haugeland, J. (1978), “The nature and plausibility of cognitivism”,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 215-26.

Part I. General Issuses in Cognitive Science

Week 2. (3/13) Classical Computationalism and Connectionism

• Haugeland, J. “Semantic Engines”, Haugeland (ed.), Mind Design (First Edition, MIT, 1981); Reprinted in Cummins and Cummins (eds.), Minds, Brains and Computers. Blackwell.

• Block, N. (1995), “The mind as the software of the brain.” In E. E. Smith & D. N. Osherson (Eds.), Thinking: An Invitation to the Cognitive Science (pp. 377-425). Cambridge, MA: MIT Press.

• Rumelhart, D. E. (1989), “The architecture of mind: A connectionist approach.” In M. I. Posner (ed.), 1989, Foundations of Cognitive Science.; Reprinted in Haugeland (ed.), Mind Design II (MIT, 1997)

Week 3. (3/20) The Alternative Approaches

• Fodor, J. & Pylyshyn, Z. (1988), “Connectionism and cognitive architecture: A critical analysis.” Cognition 28: 3-71.; Reprinted in Haugeland (ed.), Mind Design II (MIT, 1997)

• Smolensky, P. (1988), “On the Proper Treatment of Connectionism.”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1(1): 1-23.

• Van Gelder, T. (1992), “What might cognition be, if not computation”, Journal of Philosophy 92: 345-381.

Week 4. (3/27) Explanation in Cognitive Science

• Fodor, J. (1968), “The appeal to tacit knowledge in psychological explanation.” Journal of Philosophy 65: 627-640.; Reprinted in J. A. Fodor, 1981, Representations.

• [opt] Marr, D. (1982), Vision. Freeman. [Section 1], Reprinted in Cummins and Cummins

• Clark. A. (1990), “Connectionism, competence and explanation.”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41: 195-222.

• Piccinini, G. & Craver, C. (2011), “Integrating psychology and neuroscience: Functional analyses as mechanism sketches.” Synthese 183: 283-311.

Week 5. (4/3) Reduction and Multiple realization

• Fodor, J. (1974), “Special sciences (or: The disunity of science as a working hypothesis)”, Synthese 28: 97-115.

• Shapiro, L. (2000), “Multiple realizations”, Journal of Philosophy 97(12): 635-654.

• Bechtel, W. and J. Mundale (1999), “Multiple realizability revisited: Linking cognitive and neural states”, Philosophy of Science 66(2): 175-207.

• [opt] Aizawa, K. (2009), “Neuroscience and multiple realization: A reply to Bechtel and Mundale”, Synthese 167(3): 493-510.

Part II. Modularity of Mind

Week 6. (4/10) Modularity and Fodor-Churchland debate

• Fodor, J. (1983), Modularity of Mind. MIT Press, Chapter 1

• [opt] Fodor, J. (1985), “Precis of Modularity of Mind”.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8: 1-42.

• Churchland, P. (1988). “Perceptual plasticity and theoretical neutrality: A reply to Jerry Fodor.” Philosophy of Science 55: 167-87.

• Fodor, J. (1988). “A reply to Churchland’s ‘perceptual plasticity and theoretical neutrality’.” Philosophy of Science 55: 188-98.

Week 7. (4/17) Cognitive Penetrability

• Pylyshyn, Z. W. (1999), “Is vision continuous with cognition? The case for cognitive impenetrability of visual perception.”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2: 341-365.

• MacPherson, F. (2012), “Cognitive penetration of colour experience: Rethinking the issue in light of an indirect mechanism.”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84: 24-62.

• Stokes, D. (2012), “Perceiving and desiring: a new look at the cognitive penetrability of experience.” Philosophical Studies 158: 477-492.

• [opt] McCauley, R. N. and Henrich, J. (2006), “Susceptibility to the Müller-Lyer illusion, theory-neutral observation, and the diachronic penetrability of the visual input system.” Philosophical Psychology, 19: 79–101.

Week 8. (4/24) Massive Modularity: For or Against

• Hirschfeld and Gelman (eds.) (1994), Mapping the Mind, Cambridge Unversity Press, Introduction.

• [opt] Barrett, H. C. and Kurzban, R. (2006), “Modularity in cognition: Framing the debate.” Psychological Review, 113, 628-647.

• Carruthers, P. (2006), “The Case for Massively Modular Models of Mind”, in Stainton (ed.) Contemporary Debates in Cognitive Science, Blackwell.

• Samules, R. (2006), “Is the Human Mind Massively Modular?”, in Stainton (ed.) Contemporary Debates in Cognitive Science, Blackwell.

Week 9. (5/1) Mind: Modular and Flexible?

• Fodor, J. (2000), The Mind Doesn’t Work That Way, The MIT Press, Chapter 4.

• Carruthers, P. (2006), The Architecture of the Mi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4.

• Sperber, D. (2005), “Modularity and relevance: How can a massively modular mind be flexible and context-sensitive?” In The Innate Mind: Structure and Content, (eds.), Peter Carruthers, Stephen Laurence, and Stephen P. Stich (eds.), 53–6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opt] Frankenhuis, Willem & Ploeger, Annemie (2007), “Evolutionary psychology versus Fodor: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massive modularity hypothesis.” Philosophical Psychology 20, 687–710.

Part III. What Concepts are

Week 10. (5/8) What Concepts Are

• Fodor, J. (1998), Concepts,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2.

• Prinz, J. (2002), Furnishing the Mind, MIT Press, Chapter 1-2.

• Rosch, E. 1978.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In E. Rosch and B. B. Lloyd (Eds.)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pp. 27-48. Hillsdale, NJ: Erlbaum.; Reprinted in Laurence and Margolis (eds.), Concepts (MIT, 1999)

• [opt] S. Laurence and E. Margolis, “Concepts and Cognitive Science”, in their Concepts: Core Readings (MIT, 1999).

Week 11. (5/15) Concepts: Prototypes, Exemplars, and Theories

• Prinz, J. (2002), Furnishing the Mind, MIT Press, Chapter 3.

• Fodor, J. (1998), Concepts, Oxford University Press, Chapter 5.

• Prinz, J. (2002), Section 4.1

• Murphy & Medin (1985), “The Role of Theories in Conceptual Coherence”, Psychological Review 92(3): 289-316.

• [opt] Rehder, B. (2003), “A causal-model theory of conceptual representation and categoriz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9, 1141-1159.

Week 12. (5/22) Concept Nativism

• Prinz, J. (2002), Section 4.2.

• Machery, E. (2010), “Precis of Doing Without Concept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3: 195-206.

• [opt] Keil, F. et al. (1998), “Two dogmas of conceptual empiricism: implications for hybrid models of the structure of knowledge”, Cognition 65: 103–135.

• [opt] Weiskopf, D. (2009), “The plurality of concepts”, Synthese 169: 145-173.

Week 13. (5/29) Concepts: recent debate

• Clark, A. and Chalmers, D. (1998), “The extended mind,” Analysis 78: 7-19.

• Adams, F. and Aizawa, K. (2001), “The bounds of cognition”. Philosophical Psychology 14: 43-64.

• Rupert, R. (2004), “Challenges to the hypothesis of extended cognition,” Journal of philosophy 101: 389-428.

• [opt] Sprevak, M. (2009), “Extended Cognition and Functionalism,” Journal of philosophy 106: 503-27.

Week 14. (6/5) General Discussion

Week 15. (6/12) Proposal Presentation

(2019.07.26.)


2021/08/20

[외국 가요] 리얼 그룹 (The Real Group)



The Real Group - Song From The Snow

( www.youtube.com/watch?v=cC-I6PrYBSQ )

(2024.04.09.)


꼰대 혐오의 유래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멘토를 떠받들고 앞뒤 안 가리고 돈을 갖다 바치는 것이 호구들의 표지 같은 것이었는데, 지금은 나이든 사람들이 뭐라고 말하면 덮어놓고 꼰대라고 욕하는 것이 젊은 사람의 특권 비슷한 것이 되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바람이 불면 풀이 눕듯이, 누군가가 바람만 잡으면 호구들이 그에 동조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기는 하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살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가설은 멘토 열풍에 대한 피로감 때문에 그에 대한 반발로 꼰대 욕하기가 유행이 되었다는 것이다. 대충 그럴 듯해 보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피로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피로감의 원천으로 의심할 만한 것은 대략 세 가지 정도 될 것이다. 첫 번째는 멘토라고 불리거나 멘토를 자처하는 놈들이 너무 많이 튀어나왔다는 점, 두 번째는 멘토들의 조언이라는 것이 처음 들었을 때는 감수성 독특한 호구들을 홀릴 만했지만 애초부터 내용 없는 것이어서 몇 년 우려먹으니 호구들조차 더 이상 그러한 조언에 매력을 못 느끼게 되었다는 점, 마지막 세 번째는 멘토들 중 일부가 이중인격자에 위선자라는 혐의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멘토 열풍 반작용설은 두 가지 약점이 있다. 하나는 여전히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에 매력을 느낀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기존 멘토들에게 매력을 더 이상 못 느낀다고 해도 그 때문에 젊은 사람들이 주변의 노인네들에게 적대적일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그럴 듯한 가설은, 멘토 열풍을 타고 누군가의 멘토가 될 만한 자격이 부족해 보이는 사람들까지 멘토 역할을 자처하면서 잔소리를 더 많이 하게 되었고, 동시에 젊은 사람들이 멘토들의 사탕발림에 익숙해져서 선배나 어른들의 잔소리에 버틸 수 있는 내구력도 약화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두 가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멘토 열풍에 자극받은 나이 든 사람들이 이전의 용인된 수준을 넘어서는 양과 강도로 조언(이라고 본인은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냥 잔소리)을 하게 되었고 결국 젊은 사람들이 견딜 수 있는 역치를 넘어서게 되었을 가능성이다. 원래 아이나 어른이나 언론에 뭐가 나오면 따라하게 되어 있다. 철없는 청소년들이 연예인들을 따라하는 것이나, 철없는 어른들이 유명인사들을 따라하는 것이나 크게 다르겠는가.


두 번째는 멘토 열풍에 자극받은 젊은 사람들의 잔소리 내구력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다. 멘토 열풍 이전에는 선배나 어른의 잔소리에 대한 비교대상은 또 다른 잔소리뿐이었을 텐데 멘토 열풍 이후에는 그러한 잔소리의 비교대상이 멘토들의 입 발린 소리가 되었을 것이다. 언론에 나오는 멘토들은 큰 성공을 거두었거나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올랐거나 사기술이 뛰어나서 호구들이 돈을 갖다 바칠 맛이 나지만, 그냥 나이만 많이 먹은 사람들에게는 그런 사기꾼들이 풍기는 아우라가 없기 때문에 설사 맞는 말이라고 해도 듣고 있자니 짜증이 난다. 그래서 젊은 사람들의 잔소리 내구력이 약화되어 동일한 수준의 잔소리를 들어도 더 격렬하게 거부반응을 보이게 되었을 수 있다.


내 가설을 입증하려면 특정 연령대 또는 일정 기간의 근속연수를 채운 사람들이 멘토 열풍 이후에 쓸데없는 말을 그 이전보다 유의미하게 많이 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야 하고, 그러한 잔소리 증가의 원인이 멘토 열풍이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멘토 열풍 이전과 이후의 젊은이들의 잔소리 내구력의 변화 추이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러한 것들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3분 정도 생각해보았는데 그에 관한 딱히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2021.06.20.)



2021/08/19

[과학기술학] Perrow (1984), Ch 4 “Petrochemical Plants” 요약 정리 (미완성)

     

[ Charles Perrow (1984), Normal Accidents: Living with High-Risk Technologies (Basic Books), pp. 101-122.
  찰스 페로, 「4장. 석유화학 공장」, 『무엇이 재앙을 만드는가?』, 김태훈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2013) ]
   
  
4.1. 텍사스 시 폭발 사고: 1947년, 1969년

1969년의 사고 [157-159쪽]
- 특징
(1) 대형 폭발이 일어났지만 죽거나 심하게 다친 사람이 없었다.
(2) 사고가 발생한 공정을 다룬 경험이 충분히 있었다.
- 요소 장애(새는 전동 벨브), 시스템 장애에 대한 정보의 부재, 온도・증기・압력의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침

4.2. 플릭스보로

4.3. 증기 구름

4.4. 평범한 시너지

[168-169쪽]
- 기온이 영하 12도였던 어느 날 밤 정전 사고가 발생
- 장애1: 탱크의 압력을 측정하여 통제실로 전송하는 계기용 압축공기 시스템에 얼음 결정이 형성
- 장애2: 탱크에 부착된 다른 압력계도 같은 전송 장치에 연결됨 (공통 모드 장애)
- 장애3: 탱크 상단에 있는 간단한 압력계는 고장 나 있었지만 정기 점검을 제대로 받지 않은 상태 (보조 장치 장애)
- 장애4: 진공 제어 밸브의 장애
- 진공 제어 밸브는 탱크에서 내용물이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진공 상태를 제거하고 탱크와 - 내용물이 태양열로 뜨거워지면 압력을 낮추는 두 가지 기능을 함
- 사고 발생 몇 달 전에 설치한 새 밸브는 압력 제어 기능만 있고 진공 제어 기능이 없는 잘못된 밸브

[170쪽]
- 루이지애나에 있는 암모니아 공장에서 정전이 발생해 재가동
- 대형 가열기로 합성용 가스를 반응 온도까지 가열해야 함
- 실손상으로 압축기가 가동되지 않아 합성용 가스 대신 공정 가스(process gas)가 사용됨
- 이는 장애가 아니라 별 문제 없는 표준 외 조건
- 가열 세 시간 후 연료를 더 많이 투입해도 온도가 상승하지 않아 가스의 흐름을 늘렸고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함
- 한순간 코일이 파열 되면서 가열기가 불길에 휩싸임

[170-171쪽]
- 자연가스 압축기를 공정 가스 압축기로 바꾸는 것은 문제가 아님
- 문제는 자연가스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아서 합성가스 압축기의 흡입력이 정상보다 약간 약해진 것
- 자연가스 압축기, 공정 가스 압축기, 합성가스 압축기 사이에 알려지지 않은 연관 관계가 존재함

4.5. 결론

[177-178쪽]
- 화학 산업의 규모가 성장하면서 안전도도 함께 증가함
- 생산이 크게 늘어나면서 외면상으로 사고로 인간 연간 피해도 줄어듦
- 화학 산업은 주요 시스템을 오랫동안 운용한 경험이 있으며 새로운 시스템도 기존 시스템의 구성을 크게 바꾸지 않음

[178-쪽]
- 새 공정은 옛 공정보다 더 복잡하고, 생산량은 크게 늘었으며, 원자재를 제외한 모든 것에 대한 예측성이 낮아짐
- 비-단선적 상호작용과 긴밀한 연계가 요구되는 변환 시스템의 속성상 시스템 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증가함
- 새로운 공정이 계속 등장하고 대형 설비의 작은 통제실은 복잡성에 직면하여 분산됨
- 새로운 제어 시스템에서는 컴퓨터가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하고 높은 수준의 기능만 중앙 통제실로 넘김. 이는 운용자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의 범위를 제한하고, 시스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어렵게 만들어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에 대처하기 어렵게 만듦.
  
  
(2018.07.18.)
   

2021/08/18

[EBS 인문학 특강] 정재서 교수의 <동양 신화의 귀환> (총 8강)

   
1강. 신(新)주술의 시대 - 신화는 귀환하고 있는가?
  
2강. 창세신화 - 하늘과 땅이 열리고 사람이 생겨났다
  
3강. 여신 - 창조와 생명, 사랑을 주관하다
  
4강. 남신 - 천상과 지상을 지배하다
  
5강. 자연신 그리고 삶과 죽음의 신들
  
6강. 전쟁과 모험 그리고 영웅들
  
7강. 먼 나라, 이상한 사람들
  
8강. 낙원과 지하세계
  
  
(2016.06.29.)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