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08

[강의계획서] 과학철학통론2 (천현득, 2019년 2학기)



- 수업명: <과학철학통론 2>

-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대학원 수업

- 2019년 2학기

- 담당교수: 천현득



■ 수업 목표 및 개요


• 이 수업은 현대과학철학의 핵심 주제 가운데 구획문제, 자연법칙, 이론간 환원,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 관해 다룬다. 각 주제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들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수강생은 과학철학 논의에서 등장하는 개념, 이론, 논증 방식을 익히고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얻는다.

• 담당교수가 전반적인 배경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강의를 하고, 수강생들이 발제하고 함께 토론한다.

• 기초문헌: 과학철학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경우, 개강 이전에 아래의 문헌 가운데 둘 이상을 읽어 와야 한다.

(1) 신광복, 천현득, 『과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생각의힘.

(2) Chalmers, A. (신중섭, 이상원 옮김), 『과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광사.

(3) 장하석,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지식플러스.

(4) 장대익, 『쿤과 포퍼: 과학에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김영사.



■ 교재 및 참고문헌


• 주교재는 스스로 준비해야하며, 나머지 문헌들은 게시판 등을 통해 배부한다.

• [Main Text] Curd, M., A. Cover, and C. Pincock (eds.)(2013),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2nd Edition), Norton. [CCP]

• Curd, M., and A. Cover (eds.)(1998),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1st Edition), Norton. [CC]

• Brody, B., and R. Grandy (eds.)(1989),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2nd ed.), Prentice Hall.

• Boyd, R., Gasper, P. & Trout, J. D. (eds.)(1991), The Philosophy of Science, MIT Press.

• Leplin, J. (ed.)(1984), Scientific Re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Churchland & Hooker (eds.) (1985), Images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성적 평가: 출석 및 참여도, 발제, 기말시험, 기말논문


• 1) 모든 수강생은 매 수업에 성실하게 참여할 것이 요구된다. 주어진 문헌을 미리 읽어오고 수업 중 토론에 참여한다.

• 2) 서로 다른 주제에 관해 3회 이상 발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발표 횟수는 수강생 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발표문은 다섯 쪽 이내로 작성하며, 핵심 내용을 논증적으로 재구성한 후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논평문의 형태여야 한다. 발표문은 수업 24시간 전에 eTL 게시판에 올린다. (각 발표자는 25분의 발표 시간을 가지고 이후 25분의 토론 시간을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발표 및 토론 시간은 수업의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 3) 기말시험은 12월 10일(화) 수업시간에 치른다. 수업시간에 다룬 모든 내용을 대상으로 한다.

• 4) 기말논문은 12월 20일(금) 자정까지 제출하고, 기한 내 제출된 논문은 간략한 논평과 함께 반환한다. 기한을 넘겨 제출하는 경우, 늦은 만큼 감점되고 논평을 받지 못할 수 있다.

• 기말논문 작성 시 확인사항

(1) 논문에서 다루려는 철학적 문제를 세부적이고 분명인가?

(2) 핵심 주장과 논제는 분명히 진술되었는가?

(3) 그를 뒷받침할 논증은 상세히 서술되었는가? (사례를 사용했다면, 단순하면서도 생생한 사례인가?)

(4) 논증에 대한 가능한 반론들을 고려했는가?

(5) 불필요한 전문용어(jargon)나 불분명한 어휘들이 사용되지 않았는가?

(6) 퇴고 과정은 거쳤는가?



■ Honor Code


•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양심과 책임의식에 기반하며 시험, 과제물 및 보고서 작성시에 학문의 정직성을 훼손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한 것으로 간주한다.



■ Schedule and Readings


※ 아래 일정은 잠정적이며, 읽기 자료들은 변경될 수 있다.


[†]을 제외한 문헌은 모두 필독 문헌이고, [*] 표시가 있는 문헌이 발제 대상 문헌이다.

[opt] = optional


  Week 1 (9/3) - Introduction with syllabus


Part I. Demarcation Problem


  Week 2 (9/10) - Demarcation Problem: Science vs. Pseudoscience


• Popper, “Science: Conjectures and Refutations” [CCP]

• Kuhn, “Logic of Discovery or Psychology of Research?” [CCP]

• Lakatos, “Science and Pseudoscience” [CCP]

• Thagard, “Why Astrology Is a Pseudoscience” [CCP]


  Week 3 (9/17) - Application: Creation science?


• Ruse, “Creation-Science Is Not Science” [CCP]

• Laudan, “Commentary: Science at the Bar - Causes for Concern” [CCP]

• Ruse, Michael (1982), “Response to the Commentary: Pro Judice”,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7(41): 19-23.; reprinted in [CC]

• Quinn, Philip L. “The Philosopher of Science as an Expert Witness”. Reprinted in M. Ruse (ed.) (1996), But Is It Science? The philosophical question in the creation/evolution controversy, Prometheus Books.

• [opt] Ruse, M. (1986), “Commentary: The Academic as Expert Witness”, Science, Technology and Human Values 11: 68-73.


  Week 4 (9/24) - Demarcation as pseudo-problem?


• Laudan, L. (1983), “The demise of the demarcation problem”, pp. 111-127 in R.S. Cohan and L. Laudan (eds.), Physics, Philosophy, and Psychoanalysis, Dordrecht: Reidel.

• Resnik, D. (2000), “A Pragmatic Approach to the Demarcation Problem”,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31: 249-267.

• Pigliucci, Massimo (2013), “The demarcation problem. A (belated) response to Laudan”, in Pigliucci and Boudry (eds.), Philosophy of Pseudoscience. Reconsidering the demarcation problem.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pp. 9-28.

• [opt.] Lewens, Tim (2015), The Meaning of Science, Pelican Books. Chapter 2. “Is That Science” (pp. 45-69.)


Part II. Laws of Nature


  Week 5 (10/1) - Laws of Nature (1)


• Ayer, A. J. (1956), “What is a Laws of Nature”. [CCP]

• Braithwaite, R. (1953), Scientific Expla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93-308.

• Dreske, F. (1977), “Laws of Nature”, Philosophy of Science 44: 248-268. [CCP]

• [opt] Bird, A. (1998). “Laws of nature”. From Philosophy of Science (pp. 25-54). McGill Queens: Montreal.


  Week 6 (10/8) - Laws of Nature (2)


• Cartwright, N. (1980), “Do the Laws of Physics State the Facts?”,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61: 75-84.; reprinted in [CCP]

• Giere, R. (1995), “Science without Laws of Nature”, F. Weinert (ed.), Laws of Nature, de Gruyter, pp. 120-138.; 

Reprinted in R. Giere (1999), Science without Laws, pp. 84-96.

• Earman, J., and Roberts, J. (1999). “Ceteris paribus, there is no problem of provisos”, Synthese 118, 439-478.

• [opt] Beatty, J. (1997) “Why do biologists argue like they do?”, Philosophy of Science 64, S432-S443.

• [opt] Mitchell, S. (2003) “Laws”, in Mitchell, Biological Complexity and Integrative Plur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esp., pp. 115–147)


Part III. Reduction


  Week 7 (10/15) - Reduction (1)


• Nagel, E. (1961), The Structure of Science, pp. 336-358.

• Kemeny and Oppenheim (1956), “On Reduction”. Reprinted in Brody and Grandy (eds.)(1971),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pp. 307-318.

• Feyerabend, P. (1963), “How to be a Good Empiricist - A Plea for Tolerance in Matters Epistemological”, reprinted in [CCP].

• [opt] Kuhn, T.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apter IX. “The Nature and Necessity of Scientific Revolutions”; reprinted in [CCP]

• [opt] Kuhn, T. (1983), “Commensurability, Comparability, 

Communicability”, in PSA 1982, Vol. 2, pp. 669-688.


  Week 8 (10/22) - Reading Week


  Week 9 (10/29) - Reduction (2)


• Schaffner, K. (1967), “Approaches to the Reduction”, Philosophy of Science 43: 137-47.

• Hull, D. (1974), Philosophy of Biological Science, Prentice-Hall. (pp. 8-44.)

• Fodor, J. (1974), “Special Sciences”, Synthese 28: 97-115.; reprinted in [CCP]

• Churchland, Patricia (1986), Neurophilosophy: Toward a unified science of the mind-brain, MIT Press. (pp. 278-295 & 363-367.)

• [opt] Churchland, Paul (1979), Scientific Realism and the Plasticity of Mind, pp. 80-88.


  Week 10 (11/5) - Reduction (3)


• Schaffner, K. (1993), Discovery and Explanation in Biology and Medicine, pp. 427-432.

• Nickles, T. (1973), “Two Concepts of Intertheoretical Reduction”, Journal of Philosophy 70: 181-201.

• Kitcher, P. (1984), “1953 and all that: A tale of two sciences”, Philosophical Review 93: 335-73. Reprinted in [CCP].


Part IV. Scientific Realism vs. Anti-Realism


Background:

• Boyd, R. “Scientific real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Boyd, R. (1984), “The Current Status of Scientific Realism”, in J. Leplin (ed.)(1984), Scientific Realism, University of Californai Press. (pp. 41-82.)

• Psillos, S. (2000), “The Present State of the Scientific Realism Debat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 51 (Supp): 705-728.


  Week 11 (11/12) - Scientific realism and the success of science


• Maxwell, G. (1962),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oretical Entities” [CCP]

• Putnam, H. (1978), Meaning and the Moral Sciences, pp. 18-37.

• Laudan, L. (1981), “A Confutation of Convergent Realism”, Philosophy of Science 48: 19-49. Reprinted in [CCP]

• [opt] Psillos, S. (1999), Scientific Realism: How science tracks truth, Routedge. Chapter 5.


  Week 12 (11/19) - The Unobservables and constructive empiricism


• van Fraassen, B. (1980), The Scientific Image, Chapter 2; reprinted in [CCP]

• Churchland, Paul (1985), “The Ontological status of Observables”, in Churchland and Hooker (eds.)(1985), Images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35-47.)

• Musgrave, A. (1985), “Realism versus Constructive Empiricism”, in Churchland & Hooker (eds.)(1985), Images of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197-221. Reprinted in [CCP]

• [opt] Brown, J. R. (1985), “Explaining the Success of Science”, Ratio 27: 49-66. Reprinted in [CC]

• [opt] Psillos, S. (1999) “Constructive Empiricism Scrutinised” in Scientific Realism: How Science Tracks Truth, London: Routledge, ch. 9.


  Week 13 (11/26) - Middle ground?


• Hacking I. (1985), “Experimentation and Scientific Realism”, [CCP]

• Resnik, D. B. (1994), “Hacking’s Experimental Realism”,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24: 395-411.

• Fine, A. (1984), “The Natural Ontological Attitude”, in Leplin (ed.)(1984), pp. 83-107. [CCP]

• [opt] Giere, R. (1985), “Constructive Realism”, in Churchland & Hooker (eds.) (1985), pp. 75-98.


  Week 14 (12/3) - Structural Realism


• Worrall, John (1989), “Structural Realism: the Best of Both Worlds”, Dialectica 43; Repinted in D. Papineau (ed.) (1996), The Philosophy of Science, pp. 139-165.

• Ladyman, J. (1998), “What is structural realism?”,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29, 409-424.

• Psillos, S. (2001), “Is Structural Realism Possible?”, Philosophy of Science (Supplement), vol. 68: S13-S24.

• [opt] Psillos, S. (1999), Scientific Realism: How Science Tracks Truth, London: Routledge, Chapter 7. “Worrall’s Structural Realism”

• [opt] Redhead, M.L.G. (2001) “The Intelligibility of the Universe”, in A. O'Hear (ed.) Philosophy at the New Millenniu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73-90.


  Week 15 (12/10) - Final Exam.



(2020.01.10.)


2020/10/07

[과학철학] Kitcher (1982), “The Creationist Crusade” 요약 정리 (미완성)

      

[ 필립 키처, 「창조론자의 전쟁」, 『과학적 사기: 창조론자들은 과학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주성우 옮김 (이제이북스, 2003), 11-20쪽.

  Philip Kitcher (1982), “The Creationist Crusade”, Abusing Science: The Case Against Creationism (MIT Press), pp. 1-6. ]

  

  

[p. 1, 11-12쪽]

- 1860년 영국 협회 정례회의장에서 벌어진 논쟁

• 윌버포스: 유인원에서 시작하는 헉슬리의 가계가 할아버지에서 비롯된 것인가 할머니에서 비롯된 것인가?

• 헉슬리는 “신이 드디어 내 손에 저 자를 쥐어주었구나”라고 중얼거렸다고 함.

• 헉슬리: 지력과 교육의 은총으로 중요한 과학적 사실을 혼동하려는 사람보다는 유인원 조상을 택하겠다.


1-2, 12-13

- 도덕 다수당(Moral Majority)과 성서를 문자 그대로 따르는 신앙인들 사이에 정치 동맹이 급조됨.

- 스스로 과학적 창조론자라고 부르는 과격 근본주의자들이 창조론 연구소를 설립함.

- 동맹의 목표는 고등학교 과학교육을 “개혁”하는 것

- 창조론자들이 거둔 성취

• 17개 주 입법부 의원들이 창조 과학을 교과과정에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법안을 도입함.

• 아칸소 주와 루이지애나 주는 “균등-교육” 법안을 통과시킴.


3, 14-15

스콥스 재판에서의 패배 이후, 생물학 교재들은 진화 이론 교육을 완화하게 됨.

스푸트니크 호 발사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과학 교육을 심각하게 고민할게 될 때까지 거의 30년 동안 근본주의자들이 법으로 명시하도록 요구한 교육 정책을 따라야 했음.


[pp. 5-6, 18-19쪽]

- 1장: 진화 이론을 간략하게 소개함.

• 창조론자들은 과학적 용어와 어느 정도 친숙하며 자기 논증을 위해 전문적인 언어를 사용함.

• 방어에 성공하려면 진화 이론이 사용하는 언어를 적당히 알아둘 필요가 있음.

- 2장: 창조론자들의 광범위한 비판들을 소개함.

• 창조론자들은 과학의 기준을 나열한 다음 진화 이론이 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논증함.

• 키처는 그러한 기준들이 과학에 대한 절못된 생각에 기반하며, 진화 이론이 성공적인 과학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통과하며 매우 성공적임을 지적함.

- 3장: 진화생물학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더 전문적인 창조론자들의 비판을 다룸.

• 이러한 불만은 진화 이론이나 과학이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오해에 기반함.

- 4장: 진화를 반박한다고 여겨지는 “과학적 사실들”을 다룸.

• 창조론자들이 즐겨 드는 예. 열역학에 호소하는 것부터 화석 기록의 특징에 대한 것까지, 그리고 아주 특수한 생물학적 “발견”까지

- 5장: 창조 과학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창조론자들의 교의가 무엇인지 밝힌 다음, 그 교의로 어떤 과학적 질문을 해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봄.

• 지질학적 연대를 개정하자는 창조론자의 제안과 진화 이론에서 최근 논쟁이 가지는 중요성을 검토함.

- 6장: 진정한 지적 관용이 무엇인지를 따지는 교육과 관련된 질문들

• 창조론자들이 관용을 부당하게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술 중 일부를 살펴봄.

- 7장: 진화 이론이 종교와 도덕에 적대적이기 때문에 묵과할 수 없다는 비난을 검토함.

• 진화 이론은 도덕의 절멸을 예견하지 않았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임.

• 진화 이론은 종교적 신앙 일반에 대해 반대하지 않지만 창조 과학자들의 관점에는 반대함.

 



(2020.10.31.)

     

2020/10/06

공자님 말씀



‘공자님 말씀’이라는 관용어는 좋은 이야기지만 너무나 당연하고 뻔해서 실효성 없는 말을 가리킨다. 그런데 실제 공자님 말씀은 그런 말이 아니다. 당연하지도 않고 좋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관용어가 생긴 것은, 아마도 『논어』 한 구절 뚝 떼어와서는 아무 말이나 지껄이는 풍습에 기인할 것이다.

조국 교수의 트위터에 쓰는 글을 가리켜 공자님 말씀 같다고 하는 것은, 사람들이 『논어』를 읽지 않아서 그런 것이다. 조국 교수의 트위터는 『논어』보다는 『성서』 「잠언」에 가깝다. 내가 최근에 읽은 글 중에 공자님 말씀에 가장 가까운 것은 민주당 신정훈 의원의 페이스북 게시글이다.


“‘자유민주주의는 법의 지배로 이루어진다’는 그 과감한 발상은 매우 충격적이었습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을 지배하는 것은 오직 양심이고 사회를 지배하는 것은 상식입니다. 법은 다만 그 양심과 상식의 경계를 정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죠.”

- 민주당 신정훈 의원

“법으로 이끌고 형벌로 가지런히 하면 백성은 빠져나가려만 하고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 덕으로써 이끌고 예로써 가지런히 하면 부끄러움을 느끼고 스스로 바로잡는다.”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 『논어』, 「위정」





(2020.08.06.)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