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 Brad Wray (2010), “Philosophy of Science: What are the Key Journals in the Field?”, Erkenntnis, 72(3): 423-430. ]
1. Introduction
2. Getting at the Core Journals
3. The Data
4. HPS and LMPS
5. Concluding Remarks
1. Introduction
■ 논문의 목적 [pp. 423-424]
- 인용 분석(citation analyses)은 어떤 분야나 하부 분야의 구조에 대한 많은 것을 드러냄.
• 어떤 분야의 전형적인 인용 규범이 어떤 것인지, 그 분야에서 어떤 학술지가 중요한지를 확인
• 흥미 분야와 인접 분야(또는 하부 분야)의 관계
- 이 논문에서 래이는 과학철학의 하부 분야를 평가, 특히 철학과 과학사와의 관계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함.
• 과학철학의 하부 분야에서 어떤 학술지가 중요한지
• 과학철학 연구에서 과학사 학술지와 일반 철학 학술지가 중요한지
2. Getting at the Core Journals
■ [p. 424]
- 과학철학의 핵심 학술지를 확인하고자 함.
• 주요 문헌의 출처는 세 곳: 두 안내서(companion)와 한 선집(reader)
- 출처(1): Blackwell’s A Compan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 입증의 역설, 설명, 전체론, 최선의 설명으로서의 추론, 단순성 등 다섯 주제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81개 논문이 수록됨.
• 콰인, 러셀, 휴웰, 보어, 버클리 등을 포함함.
- 출처(2): The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Science
• 역사적 맥락과 철학적 맥락, 논쟁, 개념, 개별 과학, 이렇게 네 범주로 구성되며 55개 논문이 수록됨.
- 출처(3): David Papineau’s (1996) edited volume,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the Oxford Readings in Philosophy series
• 실재론/반-실재론 논쟁과 관련
• Oxford Readings in Philosophy series의 한 권
• 카트라이트, 반 프라센, 라우든, 보이드, 새먼 등이 참여함.
3. The Data
■ 세 출처의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pp. 424-425]
- 여기에서 책이나, 미네소타 시리즈 같은 시리즈, PSA 같은 학술대회 프로시딩도 제외
- 래이의 목표는 학술지에 초점을 맞춤.
• (1) 파피뉴의 선집에 수록된 논문
• (2) 서론(introduction)과 수록된 논문에서 인용한 논문
• (3) 참고문헌 목록에 실린 논문
■ [pp. 425-426]
파피뉴의 선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425-426
Blackwell Companion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426
Routledge Companion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 13
■ 세 목록에서 주목할 만한 점 [p. 426]
- 세 목록에서 많은 부분이 일치함.
- 가장 자주 인용된 세 학술지는 세 목록에서 일치함.
- 가장 자주 인용된 일곱 학술지 중 여섯은 세 목록에서 일치함.
• (1) Philosophy of Science
• (2)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 (3) Journal of Philosophy
• (4) Synthese
• (5) Erkenntnis
• (6)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 이 여섯 학술지가 과학철학 하위분야의 핵심 학술지라고 할 수 있음.
■ 여섯 학술지에 대한 설명 [pp 426-427]
- <Philosophy of Science와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는 과학철학 논문만 실리는 학술지
-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은 과학사와 과학철학 논문이 같이 실리는 학술지
- <Synthese>와 <Erkenntnis>는 과학철학을 포함한 인식론과 형이상학 학술지
- <Journal of Philosophy>는 여섯 학술지 중 유일한 일반 철학 학술지
- <Philosophical Review>, <Nous>, <Mind>은 철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하는 학술지.
- 따라서, 철학에서 주도적인 학술지는 과학철학 출판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음.
4. HPS and LMPS
■ 과학사와 과학철학이 단일한 분야를 구성한다는 주장 [pp. 427-428]
- 과학사와 과학철학(이하 HPS)가 단일한 분야를 구성한다고 믿을 이유가 있다는 주장이 있음.
• 캠브릿지, 피츠버그, 인디애나 등 영국과 미국의 수많은 대학에 HPS 대학원 과정이 있음.
• ...
■ 래이의 반박 [p. 428]
- 위의 자료는 그러한 단일한 분야가 존재하는지 의문을 제기함.
- 과학사와 과학철학 학술지라고 간주할 수 있는 학술지는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이하 SHP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Modern Physic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Biology and the Biomedical Sciences>인데, <SHPS>는 세 목록에서 6위에 들었고, 다른 두 학술지는 세 목록 중 한 곳에서만 보임.
- Blackwell companion 목록의 15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파피뉴 선집 목록의 13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Routledge companion 목록의 13위권 안에 과학사 학술지는 없음.
- Isis는 세 출처에서 한 번도 인용되지 않았음.
- 과학철학은 대체로 과학사와 독립적인 분야로 보임.
■ 쿤과 기어리의 언급 [pp. 428-429]
- 1970대 쿤은 과학사와 과학철학이 “분리되고 구분된 학문들”이라고 주장함.(Kuhn 1977)
• 쿤이 가르친 프린스턴 HPS 프로그램에서도 “과학사학자와 과학철학자는 겹치는 부분이 있더라도 다른 연구 경로를 추구하고, 다른 평가를 받고, 다른 분야에서 학위를 받는다”고 함.
• “아무도 동시에 양쪽 [분야들]에서 훈련하지 않는다”고 함.
- 기어리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친밀한 관계(intimate relationship)에 회의를 표함.
• “[1960년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센터/학과/프로그램의 확산은 과학사학자든 과학철학자든 자신들의 모태가 되는 학문들에서 행복해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 과학철학자들은 다른 철학자와 있는 것보다 과학사학자들과 있는 것을 편안해한다. 그러나 출판과 인용은 과학철학자들이 철학자들과 같음을 보여준다.
■ [p. 429]
- 과학철학과 과학사의 연결의 부재는 최근 Isis의 Focus piece에 관한 다소 역설적인 것을 보여줌.
• Focus piece은 대체로 관련 주제의 지도자들의 네 기고문(contribution)으로 구성됨.
• “Changing Direction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은 두 과학철학자와 두 과학사학자의 기고문으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서 과학사학자 논문의 주제와 과학철학자 논문의 주제가 겹치지 않음.
■ [p. 429]
- 많은 대학에 Logic, Method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이하 LMPS) 대학원 프로그램이 있음.
• 흥미로운 점은 목록에 있는 학술지 중 논리학 학술지는 하나뿐이고 순위도 낮다는 것.
5. Concluding Remarks
(202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