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5/06
2019/05/05
[형이상학] Kutach (2014), Ch 4 “Difference-making Causa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Douglas Kutach (2014), Causation (Polity Press), pp. 62-83. ]
1. Counterfactual Dependence
2. Advantages
3. Challenges
4. Practice Essays
5. Summary
6. Questions
7. Further Reading
2019/05/04
대학 동창 집에서 지낸 한 달
기숙사 리모델링 때문에 방학 두 달 동안 기숙사에서 나와야 했다. 원래 살던 집에서 학교까지 통학하려면 왕복 네 시간이 걸린다. 그렇지만 개강하면 다시 기숙사에 입주할 수 있으니 전세 계약을 하기도 좀 그랬다. 고시원에 몇 달 살아봤는데 생활조건이 썩 좋지 않았다. 찜질방에서 여러 날 살면 제대로 잠을 못 자서 건강이 망가진다. 내가 절충안으로 생각한 것은 한 번 등교해서 찜질방에서 자고 그 다음날 귀가하는 방식이었다. 찜질방에서 하루 자면서 건강을 약간 해치고 다음날 집에서 자면서 건강을 회복하는 것이다.
찜질방과 원래 집을 오가며 연구실에 주4일 출근하는 생활을 한 달 가량 하던 중, 이런 안타까운 소식을 들은 대학 동창이 자기 집에 방이 남는데 와서 살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제안을 받은 날, 나는 곧바로 그 집에 들어갔다.
한 달 동안 동창 집에서 잘 먹고 잘 지냈다. 어느 날은 동창이 치킨을 시켜먹자고 해서 나는 정리하던 자료를 팽개치고 연구실에서 나와 곧바로 동창 집으로 향했다. 퇴근하는 길에, 동창 집 냉장고에 있던 맥주를 내가 거의 다 먹었다는 사실이 기억났다. 맥주를 사러 아파트 단지 내 편의점에 들렀다. 요즈음 자주 마시는 맥주가 블루문이다. 오렌지껍질 향의 청량함 때문에 즐겨 마신다. 한 번에 맥주 네 캔을 사야 할인해서 만 원에 살 수 있는데 블루문이 두 개밖에 없었다. 블루문 두 개와 기네스 두 개를 사서 집에 들어갔다. 냉장고를 열어보니 블루문 여러 캔이 있었다. 내가 블루문을 좋아해서 동창이 미리 사놓은 것이었다. 동창은 통풍 때문에 맥주를 마시지 않는다.
기숙사 입주 전날, 환송회를 겸해서 고기를 구워먹기로 했다. 동창은 한우를 부위별로 사와서 부위별 특징을 설명하며 불판에 고기를 구웠다. 고기가 맛있어서 먹던 중에 내가 이런 말을 했다. “내가 지난 한 달 간 여기서 잘 먹고 잘 지냈는데, 오늘은 간다고 소고기를 굽네. 부모한테 효도하기 전에 OO한테 효도를 해야겠어.” 그 말을 들은 학부 선배는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아니, 지난번에 제주도에서 방어회 먹을 때는 이렇게 맛있는 방어회를 엄마가 그동안 안 사줬다고 어머니가 너를 사랑하지 않나 하더니, 오늘은 소고기를 먹고 OO한테 효도를 하겠다는 거야?” 생각해보니 이상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소고기가 맛있는데 어쩐단 말인가.
동창은 유튜브나 팟캐스트로 돈을 벌어서 일주일에 3-4일 정도만 일하며 살고 싶다고 했다. 그렇다고 따로 사업을 할 생각인 것은 아니고 다니던 직장 다니면서 3-4일 정도만 일하고 싶다고 했다. 월급 덜 받고 출근 덜 하는 방식의 탄력적 노동 형태가 한국에 언제 등장할지는 모르겠다. 나는 동창에게 “너 나중에 유튜브나 팟캐스트 하면 내가 돈 많이 벌게 해줄게”라고 했다.
(2019.03.04.)
2019/05/01
정의당과 “Winner Takes It All”
정의당 소속의 서울시 구의원과 술을 마실 기회가 있었다. 술을 마시는 도중에 아바(ABBA)의 <Winner Takes It All>이 나왔다. 구의원은 그 노래를 들으며 “아, 이 노래 슬픈 노래죠”라고 했다. 그 말에 나는 “그렇죠. 이 노래는 소선거구제 하의 진보정당의 설움을 담은 노래가 아닙니까”라고 했다. 내 말에 구의원은 “아, 그 노래 그런 게 아니라고!”라고 했다. 나나 구의원이나 술을 어느 정도 마신 상태였다.
(2019.03.01.)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잘못된 인용은 논문을 망친다. 인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해야 논문이 제 격을 갖춘다. 필요한 인용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은 인용도 좋지 않다. ■ 지나친 인용은 깊이 있는 분석을 방해한다 - 인용을 얼마나 풍부하게 해야 하는지는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