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thleen Okruhlik (1994), “Gender and the Biological Sciences,”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24(sup1): 21-42. ]
I. 몇 가지 사례 연구들 (Some Case Studies)
II. 다양한 여성주의적 비판 (Varieties of Feminist Critique)
III. 과학 그리고 공유된 사회적 가치들
(Science and Shared Social Values)
IV. 상황의 재검토 (Reviewing the Situation)
■ 이 글의 목적과 구성 [p. 21-22]
- 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 과학의 내용을 형성하는 데 사회적 영향(젠더 이데올로기)이 광범위한 영향을 줌.
• 과학적 합리성에 대한 설명이 그러한 증거들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는가?
-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들은 성 평등을 위한 정치적 투쟁에서 특히 중요함.
• 생물학의 결정론적인 논변들은 여성의 억압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인용됨.
• 유전자, 호르몬, 진화 과정들은 더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려는 개입이 쓸모없거나 역효과를 낳는다는 증거로 인용됨.
- 생물학에 대한 비판들은 인식적으로도 중요함.
• 생물학이 과학의 위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물리학과 사회과학의 사이).
• 사회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사회과학이 과학이 아니라는 이유로 과학철학자들의 고려 대상에서 자주 제외되지만, 생물학을 사이비 과학으로 일축할 수는 없음.
-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과학의 본성을 추론할 때, 생명과학은 최선의 출발점.
• 과학의 본성: 합리성, 객관성, 사회적 영향과의 단절 정도, 개인적・집단적 활동으로서의 성격 등
- 이 글의 구성
• 1절: 생명과학의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한 몇 가지 사례 연구들을 검토함.
• 2절: 사례 연구들(과 그와 같은 다른 사례들)의 가능한 인식적 중요성을 여성주의 문헌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과학에 대한 대안적인 개념들과 관련하여 다룸.
• 3절: 과학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문화적 영향(젠더 편향)을 인정하면서도 객관성과 합리성 개념도 허용하는,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의 관계를 설명함.
• 4절: 과학에 대한 다른 여성주의적 비판들과 비교하여 이러한 설명을 위치지움.
I. 몇 가지 사례 연구들 (Some Case Studies)
■ 사례(1) [pp. 23-24]
- 스워스모어 칼리지의 생물학과 젠더 연구 그룹(Biology and Gender Study Group)의 “현대 세포 생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의 중요성”(1988)
- ‘잠자는 미녀/완벽한 왕자’ 모형은, 난자와 정자에도 전통적인 성 역할을 부여함.
• 난자는 수동적으로 기다리는 반면, 정자는 영웅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적대적인 자궁과 맞서 싸운 후, 난자에게 구애하고, 모든 경쟁 구혼자들을 물리치고 뚫고 들어감.
- 정액이 잠자는 난자를 깨운다는 생각은 1795년에 등장한 이후로 줄곧 큰 영향을 미침.
- 지난 15년 사이에, 대안적인 견해들이 등장함.
• 난자 세포 표면의 돌기가 정자를 움켜잡아 천천히 안으로 끌어당기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볼 수 있음.
• 돌기는 1895년에 발견됨(성게의 생식에 대한 최초의 사진).
• 이 발견은 최근까지 거의 무시되었음.
■ 사례(2) [pp. 24-25]
- 영장류학과 사회생물학에서 남성의 싸움・경쟁・발명이 인간의 진화를 위한 기초로 묘사함.
- 루스 허버드(Ruth Hubbard) 등은 『종의 기원』에서 다윈이 인류의 진화적 발달을 남성의 활동으로 귀속시킨 점을 지적함.
• “적을 피하거나 공격하고 야생 동물을 잡고 무기를 만드는 일에는 높은 정신적 능력, 즉 관찰이나 추론, 발명, 상상력 등이 필요하다.”
• “남성은 여성보다 우월해졌”고 자신의 형질을 아들뿐 아니라 딸에게도 물려주는 것은 다행인데, “그렇지 않았다면 [...] 남자의 정신적 재능은 여성보다 훨씬 우월해졌을 것”
- 다윈의 이론은 많은 분야에서 보조 가설로 기능하므로, 이러한 편향은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침.
- 인류학의 사례
• 수렵 남성이 인간의 진화적 발달에서 주된 역할을 했다는 견해를 가진 사람은, 남성의 행동 변화에 비추어 화석 증거를 해석할 것임.
• 수렵-채집 사회에서 생계를 유지한 식량의 80%를 여성이 채집했다는 견해가 배경 이론이라면, 같은 증거에 대한 다른 설명이 나올 것임.
-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설이 참인지가 아니라, 새로운 가설의 등장으로 증거들에 대한 표준 해석이 남성 중심적 편향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는 점.
[p. 25-26]
- 성과 젠더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공약들(commitments)은, 경험적으로 적합한 해석들 중 어떤 것을 채택할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어떤 질문을 해야 하는지, 어떤 자료가 설명되어야 하고 무시될 수 있는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관찰에 대한 이론-적재성(theory-ladenness)이나 자료에 의한 이론 미결정성.
• 뒤앙-콰인 논제(Duhem-Quine Thesis)
- 명백하게 반증되는 정보에 우리가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는 여전히 열린 질문임.
• 실패한 예측을 산출한 배경 가정들 중 하나에 실패 책임을 지우는 것도 가능함.
• 후건 부정(modus tollens)의 화살이 시험 가설에서 하나 이상의 보조가설로 향함.
- 반증으로부터 일부 가설을 보호하는 결정은 어떤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가?
• 이론 평가에서 배경 가정들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에 주목해야 함.
• 성과 젠더에 관한 배경 가정들은 그동안 체계적인 검토 대상이 아니었음.
■ 사례(3) [pp. 26-27]
- 여성과 남성의 지적 차이, 특히 수학과 공간적 능력에 관한 남성의 우월성과 관련된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신경해부학의 최근 발전
- 앤 파우스토-스털링(Anne Fausto-Sterling)의 『젠더의 신화』에 소개된 가설들
• 공간적 능력은 X염색체에 연계되어서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잘 발현됨.
• 높은 수준의 태내 안드로겐은 지능을 높이고, 낮은 수준의 에스트로겐은 ‘재구조화’ 능력으로 이끎.
• 여성의 두뇌는 남성보다 좌우불균형이 심하며, 좌우불균형은 공간적 기능을 방해함.
• X염색체 공간적 능력 연계 가설을 반박 증거로부터 구제하기 위해, 성 염색체에 연계된 공간 유전자는 테스토스테론이 존재할 때만 표현된다고 함.
•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요산을 가지기 때문에 더 똑똑함.
- 제시된 가설들 중 대부분은 반박된 것으로 보임.
- 많은 연구자들은 다루기 힘든 자료에 직면해서도 여성의 열등한 지적 성취에는 주된 생물학적 근거가 있다는 가정을 포기하지 않으려고 함.
■ 사례(4): 19세기 두개계측학 [pp. 27-28]
- 19세기 두개계측학은 두뇌 크기에 호소하여 여성 지능의 열등함을 설명하고자 함.
- 가설(1): ‘클수록 좋다’는 가설
• 코끼리 문제 때문에 기각됨(절대적인 크기가 지능의 척도라면 코끼리가 사람보다 똑똑해야 함).
- 가설(2): 지능의 진정한 척도는 신체 질량에 대한 두뇌 질량의 비율임.
• 이 비율은 여성에 유리했고 이 가설은 거부됨.
- 가설(3): 지능이 높을수록 두개골에 대한 안면골의 비율이 더 낮음.
• 이 제안은 ‘새 문제’(bird problem)와 충돌함.
- 가설(4): 전두엽이 지능의 자리이며, 전두엽은 남성이 더 크고, 두정엽은 여성이 더 크다.
• 새로운 연구가 두정엽을 지능의 자리로 지적함.
• 그래서 실제로는 여성의 두정엽이 더 작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자료가 재평가됨.
- 이야기는 이런 식으로 계속됨.
[p. 28]
- 앞의 사례들은, 관찰의 이론-적재성, 이론 미결정성 논제, 뒤앙-콰인 논제와 같은 표준적인 철학적 논제들에 호소함.
• 우리는 외적 가치들이 과학에 침투해 왔다고 말하고 싶을 것이지만, 그 가치들은 암묵적이며 상충하는 가치를 포함하는 경쟁 가설과 관련되어서만 드러남.
- 마지막으로 다루게 될 사례들은 상황이 다름.
• 의학에서 가치나 규범은 종종 매우 명시적.
• 어떤 사람이 건강한지, 어떤 신체 유형이 바람직한지를 판단해야 할 때, 관련 개념들은 기술적(descriptive)일 뿐 아니라 규범적.
- 이는 위에서 논의된 것과는 다른 유형의 젠더 편향을 보여줌.
• 유형(1): 서로 다른 이상을 남성과 여성에 설정함. 두 이상은 ‘상보적’(complementary)인 것으로 말하지만 실제로는 남성만이 완전한 인간으로 간주됨.
• 유형(2) 단일한 기준(norm)을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적용하지만, 실제 그 기준은 인간적 기준이기보다 남성적 기준임.
■ 사례(5): 18세기 골격 그림 [pp. 28-30]
- 론다 쉬빈저(Londa Schiebinger)의 『마음에는 성이 없는가? 현대 과학의 기원에서의 여성들』(The Mind Has No Sex? Women in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 18세기 해부학에서 젠더 차이를 근거짓는 동안 해부학적 표상에 변화가 나타남.
•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가 내부구조(뼈)에 있다면 차이에 대한 근대 과학적 설명이 가능할 것
•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레노스의 열 모형(heat models)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짐.
- 18세기 전까지 남성과 여성의 골격은 비슷하게 그려졌고 성적으로 차별화되지 않음.
- 모든 것은 1730년과 1790년 사이에 달라짐.
• 남성의 골격은 큰 머리와 강한 어깨를 특징으로 함.
• 남성 골격의 동물적 유비는 말이며, 종종 남성의 골격 그림의 배경으로 나타남.
• 여성의 골격은 큰 골반, 긴 목, 작은 머리를 가짐.
• 여성 골격 그림의 장식으로 사용된 타조와 많은 공통점을 가짐.
• 이러한 골격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문화적 이상과 매우 밀접하게 근접했고, 그러한 이유에서 더 정확한 그림들보다 선호됨.
- 여성의 커다란 골반과 작은 머리를 강조하는 방법은 흉곽을 매우 좁게 그리는 것.
- 파우스토-스털링: 여기에 이데올로기만 작용한 게 아님. 그림들의 모델들 중 일부는 코르셋을 장기간 사용하여 흉곽이 꽉 눌렸을 가능성이 있음.
• 신체는 생물학적 내적구조에 사회-문화적인 불순물이 끼는 것이 아님.
• 부분적으로는, 젠더 뿐 아니라 성도 사회적으로 구성됨. 키, 골밀도, 근육계 등 ‘물리적으로 주어진 것들’도 상당 부분 문화적 관습에 의해 결정됨.
[pp. 30-31]
- 단일한 인간적 기준이 상정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남성적인 기준인 경우
• 월경, 임신, 출산을 질병이나 응급상황으로 취급하는 것은 이상적인 건강한 인간인 남성에게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는 사실로 소급된다는 주장
- 이상적인 건강한 실험쥐도 수컷
• 암컷의 호르몬과 그 효과들은 실험에서 쥐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는 성가신 변수일 뿐임.
- 엘리자베스 로이드(Elisabeth Lloyd)는 『이브의 모든 것』(All About Eve)에서 여성 오르가즘의 발생에 대하여 남성의 기준이 인간의 기준을 가장하는 사례를 다룸.
• 사회생물학자들은 여성 오르가즘의 진화적 기원에 대한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세한 통계를 인용함.
• 각주를 추적한 결과, 그 통계들은 남성 오르가즘에 대한 자료에 기초했음이 드러남.
• 이러한 속임수의 전형적인 방법은 남성 개체들을 ‘개인들’로 인용하는 것.
II. 다양한 여성주의적 비판 (Varieties of Feminist Critique)
■ 질문의 두 가지 맥락 [p. 31]
- 오크룰릭은 질문이 발생하는 두 맥락에 관심을 가짐.
• 맥락(1): 여성주의 문헌에서의 질문. 이러한 사례 연구들은 ‘나쁜 과학’의 사례인가, 아니면 과학이 본질적으로 남성 중심적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가?
• 맥락(2): 과학철학에서의 질문. 이것은 과학철학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 두 질문은 연결되어 있으며, 오크룩릭은 둘을 함께 다루고자 함.
- 샌드라 하딩(Sandra Harding)의 여성주의 인식론 구분
• 범주(1): 여성주의적 경험주의(feminist empiricism)
• 범주(2): 관점 인식론(standpoint epistemology)
• 범주(3): 여성주의적 포스터모더니즘(feminist postmodernism)
■ 여성주의 인식론 [pp. 31-32]
- 여성주의적 경험주의
• 위와 같은 실패를 과학이 자신의 이상에 부응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진단함.
• 남성 중심적 편향은 과학적 방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지 못하게 함.
• 과학의 규율(canon)을 충실히 지켰다면 위와 같은 일을 피할 수 있었을 것.
• 인식자(knower)의 관점(standpoint)은 인식적으로 무관함.
• 관점에서 유래한 어떤 편향도 객관적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면 제거할 수 있음.
- 관점 인식론
• 지식 주장의 자격은 부분적으로 인식자의 상황에 의존함.(여성주의적 경험주의의 가정을 거부)
• 헤겔의 노예가 주인보다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는 것처럼, 여성도 남성보다 인식적 장점을 누릴 수 있음.
• 여성의 관점에 기초한 과학은 현재 과학보다 개선된 것일 수 있음.
• 여기서 과학의 목적은 세계에 대한 더 좋은(인식적으로 우월한) 설명을 산출하는 것이므로, 관점 인식론은 여전히 ‘계승자 과학’(successor science) 프로젝트임.
- 관점 인식론에 대한 비판: 단일한 여성주의 관점이 없다는 것
• 여성과 남성의 관점과 다른 것처럼, 여성마다 관점이 다름(빈/부, 흑/백 등)
• 여러 관점 중 하나가 세계를 기술하는 특권을 가질 근거는 무엇인가?
-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
• 정체성과 관점의 균열. 더 객관적이기 위한 노력을 완전히 포기하고 세계가 존재하는 방식에 대한 대안적인 서술들의 환원불가능한 다원성의 존재를 수용
• 문화・시간・장소의 제약을 뛰어넘는 과학적 방법이라는 개념을 완전히 거부함.
• 합리성과 객관성에 대한 이론 초월적인 기준은 남성적 신화의 산물로 기각
■ 오크룰릭의 견해 [p. 32]
- 하딩의 분류는 여성주의 비판가들의 입장을 분석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유망한 가능성을 가리는 경향이 있음.
- 유망한 가능성은 합리적 이론 선택이라는 이상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사회적 구조가 과학의 내용에 영향을 주는 방식을 설명하는 것.
III. 과학 그리고 공유된 사회적 가치들
(Science and Shared Social Values)
[p. 33]
- 과학철학에서 사회적・심리적 요인이 과학에서 하는 역할은 인정되지만 제한적임.
• 발견의 맥락
• 다른 이해관계 때문에 합리성의 규율을 위반하는 경우(리센코 사건 등)
- 전통적인 견해는 발견 또는 이론 생성의 맥락에서 무엇이든 괜찮다고 함.
• 가설의 원천은 인식적으로 무관하며, 중요한 것은 정당화의 맥락임.
• 과학적 이론 선택의 기준은, 가설이 어떤 맥락에서 다음 맥락으로 지나갈 때 사회적・심리적・정치적 오염물을 걸러주는 일종의 필터를 제공한다는 것.
- 전통적인 견해는 현재의 과학적 합리성 모형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음.
- 현재의 과학적 합리성 모형
• 이론 선택을 비-환원적인 상대평가(comparative)라고 봄.
• 우리는 ‘예’ 또는 ‘아니오’(‘참’ 또는 ‘거짓)를 얻으려고 시험 가설을 자연과 직접 비교하지 않으며, 어떤 가설을 논리적으로 가능한 모든 가설들과 비교하지도 않음.
• 우리는 가설을 그것의 현존하는 경쟁 가설과 비교할 수 있을 뿐임.
- 따라서 이론 선택에 관한 현재 논의에 기초한 그림은 다음과 같음.
■ 방법론적 객관론자의 견해 [p. 34]
- 각 노드들은 과학자가 대안 가설들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결정 시점을 나타냄.
- 방법론적 객관론자
• 각 노드마다 적절한 이론 평가 장치가 작동하면 과학의 합리성이 보존됨.
• 각 연결점마다 올바른 결정을 하면, 처음에 노드들이 어떻게 발생했는지는 무관함.
• 사회학적 영향들이 과학의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노드들에서 작동하는 결정 절차에 의해 차단됨.
■ 오크룰릭의 견해 [pp. 34-35]
- 과학적 방법 그 자체가 비-인지적 요소에 오염되지 않고 각 노드에서 결정 절차가 완벽하게 작동하더라도, 이론 생성이 사회학적 영향을 받는다면, 절차의 어떤 부분도 과학의 내용을 사회학적 영향들로부터 격리하지 못함.
• 경쟁 가설들 중에서의 선택이 상대평가라면, 과학적 방법은 선호된 이론이 참임을 보장할 수 없음. 다른 경쟁자들보다 인식적으로 우월하다는 것만 보장할 뿐임.
• 그러나 모든 경쟁자들이 사회학적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다면, 평가 절차의 어떤 부분도 성공한 이론을 완벽하게 ‘순수하게 만들’ 수 없음.
- 위의 그래프가 여성의 행동에 관한 이론의 역사를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 성차별적 문화에서 활동하는 남성이 만든 모든 이론은, 성차별주의에 오염되었을 것임.
• 과학적 평가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이론이라도 성차별주의적 경쟁 이론들 중 가장 나은 이론일 뿐.
- 과학 내 남성중심주의와 성차별주의가 존재해도 합리적 이론 선택이 가능하겠지만, 과학적 방법만으로는 과학에서 성차별주의나 남성중심주의를 제거할 수 없음.
• 대안들 사이의 모든 선택은 합리적 선택일 수 있고 과학은 (원리적으로) 점점 더 좋아질 수 있지만, 이는 과학의 내용이 사회적 영향에서 차단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함.
■ 블루어와 라우든 [pp. 35-36]
- 블루어(David Bloor)는 이론 내용에 대한 사회적 영향을 미결정성 논제에 기초하여 설명함.
• 원리적으로,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는 경쟁자들의 수는 무한함.
• 자료가 이론 선택을 완벽하게 결정해주지 않는다면, 다른 무언가가 그 일을 할 것.
• 블루어가 내세우는 후보는 사회학적인 것.
- 라우든(Larry Laudan)은 미결정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대응함.
• 무한한 또는 적어도 한 쌍의 경험적으로 적합한 경쟁 이론에 직면했다면 미결정성은 문제가 될 것이지만, 우리는 그러한 난처한 풍요로움에 직면한 적이 없음.
• 우리는 언제나 경쟁 이론들 중 다른 것들보다 어떤 하나를 선호할 만한 좋은 인지적 이유를 찾을 수 있음.
• 따라서 미결정성의 문제가 실제 이론 선택에 등장한 적은 한 번도 없었음.
• 그래서 사회적 결정 요인들에 대한 블루어의 주장이 효과적으로 약화됨.
■ 라우든의 견해에 대한 오크룰릭의 비판 [pp. 36-37]
- 이러한 논증 전략은 여전히 선결 문제를 남김.
• 다른 경쟁자들도 자료와 똑같이 양립가능하다면, 왜 그러한 종류의 경쟁자들이 생겼는가?
• 경쟁 이론들이 충분히 정교해지면 그에 대한 우리의 선택이 합리적일 수 있다는 것은, 우리의 선택지들이 어떻게 특정한 방식으로 결정되었는지를 다루지 않는 것임.
• 비-인지적 요소들이 질문을 제기하고 문제의 비중을 정하고 이론을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한다면, 이러한 요소들이 정당화의 맥락에서 제거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없음.
- 라우든을 곤란하게 만드는 것은 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유지하려 하는 데 있음.
• 관점(1): 발견의 논리가 규범적으로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
• 관점(2): 이론 평가가 그 본성상 상대평가일 수밖에 없는 것.
• 관점(2)를 인정하면, 이론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도 규범적 중요성을 가진다는 것을 인정해야 함.
[pp. 37-38]
- 여기서의 주장은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사이의 구분을 없애자는 것이 아님.
- 상대평가 모형에서는 이론 개발과 이론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입증 활동과 과학의 내용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
- 입증 활동에 대한 이러한 논변은 시험 가설뿐 아니라 유관한 배경 이론을 구성하는 보조 가설에도 적용됨.
• 특정한 증거가 가설과 관련되는 방식은 거기에 개입하는 부수적인 가정들에 의존함.
• 생물학과 사회과학의 교류는 대체로 이 수준에서 일어남.
- 사례(1): 수렵-남성 사례에서, 유관한 보조 가정들은 진화 생물학에서 옴.
• 인류의 진화 과정을 이끌어온 것이 남성의 생존 경쟁이라는 가정은, 무엇을 증거로 간주해야 하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상당 부분 지시함.
- 사례(2): 잠자는 미녀/완벽한 왕자 모형에서 생물학적 자료는 남성과 여성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사회학적 가정들의 영향을 받음.
- 사례(3): 영장류학의 실험 설계에 대한 도너 해러웨이의 연구
• 위계와 남성 지배의 정치적 원리가 어떻게 영장류학에 내재되었고, 이것이 영장류 사회 조직 이론에서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보여줌.
• 카펜터가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s)를 연구할 때, 사회적 질서의 근원에 대한 조직화 가설을 시험하기 위해 지배적인 수컷들을 제거했지만 다른 구성원을 제거한 대조 연구는 하지 않음.
- 실험 설계에서 모든 가능한 변수를 통제할 수 없으므로, 우리가 고려하는 것은 배경 이론이 유관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 의존함.
• 배경 이론이 경쟁 이론의 도전받지 않는다면, 실험 활동은 잠재적으로 문제 있는 가정들을 계속 지니게 됨.
- 이 논변은 보조 가정들을 통해 한 분야의 젠더 편향들이 다른 분야로 쉽게 건너간다는 것.
• 보조 가정들의 교환이 치명적인 형태의 전체론을 불가피하게 만든다거나 이러한 보조 가정들 그 자체로는 (잠재적으로) 시험가능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님.
• 우리 문화에 젠더 이데올로기가 만연하여, 이러한 가정들은 의문시되지 않거나 인식되기 않기도 함. 보통 그것들은 경쟁 가설이 존재할 때만 드러남.
[pp. 38-39]
- 이 논변은 가설-연역적 형태의 입증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글리모어(Clark Glymour)의 ‘구두끈묶기’ 모형(‘boot-strapping’ model)에 호소해도 이 논변을 피할 수 없음.
• 구두끈 입증(bootstrap confirmation)은 배경 가정들을 불필요하게 만들지 않고 가정들의 핵심적인 역할을 명시적으로 인지함.
• “가설들은 그 자체로 시험되지 않으며, 이론 안의 그들 동료들과의 관계에서만 시험된다. 입증은 2항 관계가 아니라, 3항 관계이다. 이론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증거로부터 그 이론의 어떤 가설을 입증하든 사용될 것이다.”
- 논변의 이점: 이론 평가의 기준이 비-인지적 요인들에 오염되지 않음을 인정하더라도, 비-인지적 가치는 과학의 내용에 스며들 수 있다는 것
• 과학적 방법 그 자체가 문화에 묶여 진화하는지에 대한 복잡한 논쟁을 피할 수 있음.
• 방법론적 초월성을 인정하더라도 과학적 산물 그 자체가 문화에 묶여 있을 수 있음.
■ 합리성 모형의 적용 범위와 논변이 과학 정책에 가지는 함축 [p. 39]
- 두 가지 대안이 가능함.
• 대안(1): 합리성 모형의 적용 범위가 줄었음을 인정하고 과학의 객관성에 대해 더 온건한 주장을 하는 것.
• 대안(2): 합리성 모형을 확장하여 이론 생성의 맥락도 고려하는 시도를 하는 것.
- 이론 생성의 맥락이 규범적인 중요성을 가진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이론 생성에 대한 새로운 규범적 견해에 따라 과학 정책을 바꾸고 싶을 수 있음.
• 과학의 내용이 그것의 실행과 생산을 지배하는 사회적 제도들은, 차별철폐 조치 프로그램들 등의 개입을 시행하는 것처럼 인식적 중요성을 획득함.
• 적합한 과학철학이라면 이를 고려해야 할 것.
IV. 상황의 재검토 (Reviewing the Situation)
■ 오크룰릭의 견해와 여성주의적 경험주의의 차이점 [p. 40]
- 오크룰릭의 견해는 확립된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객관성과 합리성의 항구적 증가를 목표로 하는 계승자 과학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여성주의적 경험주의’와 공통점이 많지만, 두 가지 측면에서 여성주의적 경험주의와 다름.
- 차이점(1): 오르쿨릭의 견해는 현재의 방법론이 사회적 제도의 인식적 중요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을 인지함.
• ‘편향’에 대한 언급은 편향에서 완전히 자유로운 과학의 가능성을 함축하지 않음.
• 그러한 과학이 언젠가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파당성의 다른 형태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차이점(2): 하딩이 묘사한 여성주의적 경험주의는 과학적 공동체의 합리성이 개인적 합리성들의 단순 총합일 뿐이라는 전통적인 방법론의 가정을 전제함.
• 개인적 수준에서 다양한 전략들을 포함하여 증진되는 것은 과학적 공동체의 합리성.
• 오크룰릭이 논의된 종류의 편향은 공동체 수준에서만 체계적으로 논의될 수 있음.
• 어떠한 적절한 개인적 교정 프로그램도 사전에 처방될 수 없으며, 다양한 관점을 포함하는 것만이 변화가 가능한 조건을 만들어낼 것.
■ 오크룰릭의 견해와 관점 인식론의 차이점 [p. 41]
- 오크룰릭의 분석에서 인식적 특권은 개별 여성(이나 여성주의자)이 아니라 개인의 관점을 비롯해 다른 사람들의 관점까지 포함한 공동체에 부여함.
• 오크룰릭의 견해에서 개인의 관점들은 시작점.
- 오크룰릭의 분석은 남자나 다른 ‘앎의 방식들’(ways of knowing)과 다른 심리학적 기질(psychological make-up)을 가진 여성에 전혀 의존하지 않음.
• 남성은 정확히 똑같은 연구를 할 수 있었으며, 이는 논리적으로 가능함.
• 그러나 여기서 연결은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우연성에 관한 것.
• 어떤 과학적 가설들이 학계와 과학 공동체에서 여성의 정치적 힘과 대표성이 증진되던 시기에 함께 출현한 것은 논리적 필연도 아니지만 우연도 아님.
■ 오크룰릭의 견해와 여성주의적 경험주의의 차이점 [pp. 41-42]
- 오크룰릭의 입장이 여성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이 겹치는 부분은 작지만 없는 것은 아님.
- 오크룰릭의 입장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거부하는 것과 양립가능하지만, 객관성과 합리성을 거부하는 것과는 양립가능하지 않음.
• 오크룰릭은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객관성이 분리가능하다는 입장.
• 포스터모더니즘의 문헌에서 이 점은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오크룰릭은 과학에서 여성주의적 이론들이 성차별적인 경쟁자들보다 우월하다(인지적으로 더 선호할 만하다)고 믿지만, 그 이론들이 대안적인 서술을 제공한다고는 믿지 않음.
- 포스트모더니즘이 인식적 상대주의뿐 아니라 파편화된 정체성들을 강조하는 점 때문에 여성주의가 필요로 하는 정치적 행동의 적절한 토대를 제공할 수 없음.
- 그러나 국소적 문제풀이의 요건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강조는 상당히 가치 있음.
• 젠더 편향은 서로 다른 과학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나타남.
• 그러한 편향을 드러내고 제거할 단일한 ‘여성주의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음.
• 과학에서의 진정한 변화는 자기 분야에서 사회적 제도에 의해 들어온 편향들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학자들이 특정한 경쟁 이론들이 개발할 때만 일어날 것.
■ 요약 [p. 42]
- 오크룰릭은 전통적인 객관성과 합리성의 이상을 완전히 희생하지 않고서도 생명과학들의 젠더 편향의 범위와 깊이를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믿음.
• 그렇게 하려면 과학의 사회적 구조에 대한 설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이 논문에서 소개한 종류의 사례 연구들은, 사회적 요소들이 과학의 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식을 이해해야 함을 보여줌.
• 사례들은 일부 표준적인 철학적 도구들이 과학의 이데올로기적 편향들의 기원과 다양성을 밝힐 수 있는 정도를 보여줌.
• 그러나 과학적 과정에서 발견의 맥락에 대한 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이 제한된다는 견해를 유지하는 한, 이 철학적 도구들은 당면한 작업에 부적합함.
- 주류 과학철학이 과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들을 계속 무시하는 것은 매우 위험함.
(2019.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