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10
[과학철학] Sober and Lewontin (1982), “Artifact, Cause and Genic Selection” 요약 정리 (미완성)
2018/01/09
방과후학교 생활기록부에 필요한 문구를 쓰려다가
나는 아르바이트로 방과후학교 교사를 한다. 방과후학교도 정식 교과목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학교생활기록부에 무언가를 적어야 한다. 학교 선생님한테 물어보니 굳이 있는 그대로 평가할 필요는 없고 학생이 원하는 문구를 수정해서 쓰면 된다고 한다. 원래는 그러면 안 되지만, 방과후학교라는 것도 내신을 부풀리려고 하는 것이라서 어쩔 수 없다. 범죄 사실을 삭제하는 것도 아니고 어떤가. 다들 그럴 텐데.
생활기록부에 적힌 것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대학 갈 때 쓰인다고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단순히 성적 위주의 줄 세우기식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이 가진 자기주도성, 소질과 적성, 인성, 발전가능성의 잠재역량을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면접 등의 전형요소를 활용하여 다각적, 종합적 측면에서 평가하고, 우수 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라고 한다. 장티푸스 하는 소리하고 앉아 있다. “어떤 것에 관심을 보인다”, “어떤 것에 흥미가 있다”는 식의 개뻥을 근거로 그 학생의 소질과 적성과 발전가능성 같은 것을 어떻게 아는가?
백번 양보해서 교사들이 보이는 대로 적는다고 하자. 그것을 가지고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 같은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몇몇 과학 영재 빼고, 어떤 놈한테 어떤 적성이 있는지 어떻게 아는가? 경제학에 적성이 있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 고등학교 경제 과목은 대학에서 배우는 경제학과 별 상관이 없으므로 경제 과목을 만점 받는다고 경제학에 소질이 있는지 알 수 없다. 국어국문학에 소질이 있는 학생은 어떤 학생인가? 그것을 알아볼 안목이 있는 교사가 얼마나 될 것인가. 역사책 보는 것을 즐겨한다고 역사학에 소질이 있다고 할 수 있나? 철학은 어떤가? 교사도 철학이 뭔지 모르는데 학생이 철학에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를 어떻게 아는가?
그리고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허구헌날 인성 타령인가 모르겠다. 범죄 사실 여부나 신경 쓸 것이지 학생 선발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인성이 좋다고 허구헌날 인성 타령인가 모르겠다. 조선 시대 인성 변태도 아니고, 아직도 한국 사람들은 정신을 못 차리고 인성 같은 소리나 한다.
(2017.11.09.)
2018/01/08
이토 모토시게의 진로 결정
자기계발서 작가들은 확고한 목표를 세우고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자신의 꿈을 매일 확인하며 꿈을 이루겠다고 다짐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말한다. 정말 그런가? 자기계발서 작가들 중 대부분은 별다른 성취 없이 호구들을 속여먹는 데 성공한 사람들이다.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보다 성공한 사람들이 직접 쓴 글을 읽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이토 모토시게는 학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학부를 마치고 대학원에 진학했는데 별 다른 큰 뜻이 있어서는 아니었고 당시 친한 친구들이 대학원에 가겠다고 해서 따라간 것이다. 대학원 입학시험에 합격한 이토 모토시게는 한 단계 고비를 넘겼다는 안도감에 한숨을 돌렸다. 당시 대학원 입학시험이 꽤나 까다로워서 몇 번씩 낙방하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학원에 합격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친구들이 다음 해 여름에 미국 유학을 가겠다고 했다. 그 말에 놀란 이토 모토시게는 자신도 미국으로 유학가기로 했고 결국 학교를 같이 다니던 친구들과 함께 모두 미국 유학을 갔다. 별다른 목표 의식 없이 친구 따라 대학원에 진학하고 미국으로 유학 간 이토 모토시게는 이후 어떤 사람이 되었나? 이토 모토시게 약력은 다음과 같다.
- 1951년 일본 시즈오카 현 출생
- 도쿄대 경제학부 졸업
-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박사(국제경제학 전공)
- 하버드대 교환교수
- 휴스턴대학교 조교수
- 도쿄대학교 교수
- 일본 경제기획청 산하 총합연구개발기구 이사장
- 일본재건부흥추진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이토 모토시게가 학부 때부터 같이 놀았던 친구들은 다음과 같다.
- 요시카와 히로시: 도쿄대 경제학과 교수
- 우에다 가즈오: 도쿄대 경제학과 교수
- 이호리 도시히로: 도쿄대 경제학과 교수
- 아사코 가즈미: 하토쓰바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토 모토시게는 이렇게 말했다.
“젊은 시절의 선택이란 그런 법이다. 이른 나이에 적성을 꿰뚫고 명쾌하게 진로를 결정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대부분 주변 사람들에게 휩쓸리고 상황에 부대끼면서 진로를 선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일매일 노력해서 그것을 자신의 천직으로 만들어 나간다. ‘나’라는 것은 그렇게 조금씩 정립되어 가는 것이지 원래부터 타고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94쪽)
* 참고 문헌
이토 모토시게, 『도쿄대 교수가 제자들에게 주는 쓴소리』, 전선영 옮김 (갤리온, 2015).
(2017.11.08.)
2018/01/07
결혼은 모난 사람들끼리 만나서 동글동글해지는 것
각기 다른 사각형과 삼각형이 만나 서로 동글동글 해지는 게 결혼이라고 한다. 그래서일까. 이미 성격이 둥글둥글한 나는 혼자서 데굴데굴 굴러간다. 사람들은 “어? 굴러가네? 와, 잘 굴러간다”라고만 하고 아무도 붙잡지 않는다. 나는 어디로 굴러가는 것일까. 모르겠다.
(2017.11.07.)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
-
동료 대학원생에게서 어떤 이야기를 들었다. 다른 대학원생이 읽은 책의 내용에 관한 이야기였는데 이야기를 듣다가, 순간 내 의식이 잠깐 끊기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 느낌이 들자마자 나는 ‘이제 술을 그만 먹어야지. 얼마 먹지도 않았는데 의식이 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