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3

[강의계획서] 과학철학과제연구: 쿤의 과학철학 (조인래, 2015년 1학기)



- 수업명: <과학철학과제연구: 쿤의 과학철학>

- 2015년 1학기

-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 담당교수: 조인래

■ 교재

• 조인래 (편역)(1997), 『쿤의 주제들: 비판과 대응』, 이화여대출판사.

• Bird, Alexander (2000), Thomas Kuh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Horwich, P. (ed.)(1993), World Changes: Thomas Kuhn and the Nature of Science, MIT.

• Hoyningen-Huene, P. (1993), Reconstructing Scientific Revolution, Univ. of Chicago Press.

• Kuhn, T.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Univ. of Chicago Press.

• Kuhn, T. (ed.)(1977), The Essential Tension, Univ. of Chicago Press.

• Lakatos, I. & Musgrave, A. (eds.)(1970),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Univ. Press. (번역: 『현대과학철학 논쟁』)

• Nickles, T. (ed.)(2003), Thomas Kuh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주제와 참고문헌

1. 쿤: 『과학혁명의 구조』 (3주)

2. 패러다임 (2주)

• (2-1a) Shapere (1971), “The Paradigm Concept”, Science 172: 706-9. 조인래 (1997), 104-116.

• (2-1b) Kuhn, T. (1974), “Second Thoughts on Paradigms”, in F. Suppe (ed.)(1974),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Univ. of Illinois Press, pp. 459-82. Reprinted in Kuhn (1977), 293-319. 조인래 (1997), 117-151.

• (2-2) Bird (2000), Thomas Kuhn, “Paradigms”, 65-96.

3. 정상과학/과학혁명 (2주)

• (3-1a) Feyerabend (1970), “Consolations for the Specialist”, in Lakatos & Musgrave (eds.), 197-208. 조인래 (1997), 166-185.

• (3-1b) Kuhn (1987), “What are Scientific Revolutions?”, in L. Krüger, et al. (eds), The Probabilistic Revolution, Vol. 1, 7-22. 조인래 (1997), 186-215.

• (3-2) Bird (2000), Thomas Kuhn, “Normal and Revolutionary Science”, 29-64.

• (3-3) Nickles, Thomas (2003), “Normal Science: From Logic to Case-Based and Model-Based Reasoning”, in T. Nickles (ed.)(2003), 142-177.

4. 공약불가능성 (3주)

• (4-1a) Putnam (1981), “Anarchism is self-refuting”, in Reason, Truth and History, 113-119. 조인래 (1997), 216-224.

• (4-1b) Kuhn (1983), “Commensurability, Comparability, Communicability,” in PSA 1982, Vol.2, 669-688. 조인래 (1997), 225-255.

• (4-2) Bird (2000), Thomas Kuhn, “Perception and World Change”, 97-148.

• (4-3) Bird (2000), Thomas Kuhn, “Incommensurability and Meaning”, 149-208.

• (4-4) Nersessian, Nancy (2003), “Kuhn, Conceptual Change, and Cognitive Science”, in J. Nickels (ed.)(2003), pp. 178-211.

5. 과학의 합리성 (3주)

• (5-1a) Scheffler, I. (1967), “Change and Objectivity”, in Science and Subjectivity, pp. 73-89. 조인래 (1997), 277-298.

• (5-1b) Kuhn (1973), “Objectivity, Value Judgment, and Theory Choice”. Reprinted in The Essential Tension, 320-339. 조인래 (1997), 299-326.

• (5-2) Salmon (1990), “Rationality and Objectivity in Science or Tom Kuhn meets Tom Bayes”, Savage (ed.) Scientific Theories, 175-204.

• (5-3) McMullin (1993), “Rationality and Paradigm Change in Science”, in Horwich (ed.)(1993), 55-78.

• (5-4) Bird (2000), Thomas Kuhn, “Progress and Relativism”, 209-266.

(2015.06.25.)


2017/11/12

[한국 가요] 이랑 (Lang Lee)

이랑 - 신의 놀이 [온스테이지]

www.youtube.com/watch?v=4AW1f1KP2DU )


이랑 - 가족을 찾아서 [온스테이지]

www.youtube.com/watch?v=2mrTQhf2O08 )



(2017.12.15.)

 

[과학철학] Popper (2002), Ch 1 “Science: Conjectures and Refutations” 요약 정리 (미완성)

   
[ Karl Popper (2002), Conjectures and Refutations: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2nd edition (Routledge), pp. 33-58.
  Karl Popper (1963), Conjectures and Refutations: The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1st edition (Routledge and Kegan Paul).
  칼 포퍼, 『추측과 논박』, 이한구 옮김 (민음사, 2001) ]
  
  
  I

■ [pp. 33-34, 75-76]
- 1919년 당시, 포퍼는 과학과 사이비 과학을 구분하는 문제를 고민함.
• 과학도 종종 오류가 나고 사이비 과학은 우연히 참일 수 있기 때문임.
- 당시 가장 받아들여진 견해는, 관찰이나 실험에 의해 수행되는 귀납적인 경험적 방법으로 과학과 사이비 과학(또는 형이상학)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
- 포퍼는 경험적 방법 중 진정한 경험적 방법과 사이비-경험적 방법을 구분해야 한다고 함.
• 예) 방대한 경험적 증거를 가진 점성술

■ 당시 상황 [p. 34, 76-78]
- 오스트리아 제국이 무너진 뒤 혁명이 일어남.
• 혁명적인 표어와 사상, 새롭고 과격한 이론으로 가득했음.
- 당시 포퍼의 관심을 끌었던 것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마르크스의 역사 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 포퍼가 속한 학생 단체에서는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을 처음 입증한 1919년 에딩턴의 개기 일식 관찰 결과에 깊은 감명을 받음.
• 포퍼는 아들러와 개인적으로 알게 되어 같이 사회 사업에 동참하기까지 함. 노동 계급의 자녀들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지도 상담소를 차림.
- 1919년 여름, 세 이론에 불만을 품기 시작함.
• 세 이론은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어떠한 점에서 다른가?
• 1919년 당시,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이 참이라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었음. 이는 과학과 사이비 과학을 구분하는 기준이 참의 문제나 정확성의 문제나 측정가능성에 관한 문제가 아님을 보여줌.
- 포퍼의 고민은, 세 이론은 과학을 자처하지만 과학보다는 원시 신화와 공통점이 더 많으며, 천문학보다는 점성술에 더 가깝다는 느낌에서 비롯됨.

■ 사이비 과학의 예: 마르크스, 프로이트, 아들러 [pp. 34-35, 78-80]
- 마르크스, 프로이트, 아들러의 이론의 지지자들은 그 이론들의 설명력을 감명 받음.
• 이들 이론을 통해 지적 전환을 겪은 사람들은 어디서나 이론의 입증 사례를 보게 됨.
•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신문 곳곳에서 마르크스의 역사 해석에 대한 증거를 보게 됨.
• 프로이트의 분석가들은 정신분석학이 ‘임상 관찰’(clinical observations)에 의해 지속적으로 검증되었음을 강조함.
- 포퍼의 일화
• 1919년 포퍼가 아들러주의에 반대되는 것으로 보이는 사례를 아들러에게 보고했으나 아들러는 열등감 이론으로 쉽게 분석함.
• 포퍼: “어떻게 그렇게 확신합니까?”
• 아들러: “천 번이나 경험했기 때문에”
• 포퍼: “이번까지 합쳐서 당신의 경험은 1001번째가 되겠군요.”
- 이전의 관찰이 새로운 관찰보다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 이들 이론에서 새로운 경험들은 ‘이전의 경험’에 비추어서 해석되었고 추가적인 입증 사례로 간주됨.
• 그러나 관찰이 입증하는 것은 한 사례가 그 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뿐.
•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사례는 아들러 이론이나 프로이트의 이론에 의하여 똑같이 해석될 수 있음.
-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그들 이론의 강점으로 보이겠지만, 포퍼는 그러한 점이 그 이론들의 약점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함.

■ 과학의 예: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 [pp. 35-36, 80-81]
- 아인슈타인의 예측
•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은 빛도 무거운 물체에 이끌린다는 결론에 도달함.
• 외견상 태양 가까이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먼 항성에서 온 빛은, 태양에서 약간 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방향에서 지구로 도달한 것.
• 태양 가까이에 있는 별들은 태양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이동한 것처럼 보이고, 별들끼리도 약간씩 떨어져 이동한 것으로 보일 것.
- 관측 방법
• 이는 낮에는 태양 밝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관찰할 수 없음.
•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그 별들의 사진 촬영이 가능함.
• 동일한 성좌를 밤에 촬영하여 두 사진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예측된 결과를 확인.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아인슈타인의 예측에는 틀릴 수 있는 위험(risk)이 있었다는 것.
•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어떤 가능한 관찰 결과와는 양립 불가능함.
• 예측한 대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 이론은 반박됨.

■ (1919-1920년에 얻은) 결론을 재형식화 [pp. 36-37, 81-82]
(1) 우리가 입증하고자 한다면, 거의 모든 이론을 입증(하거나 검증)할 수 있음.
(2) 입증은 위험한 예측(risky prediction)의 결과일 경우에만 가치가 있음.
• 그 이론과 양립 불가능한 사건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3) 좋은 과학 이론은 모두 일종의 금지다.
• 이론은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금지함.
• 더 많이 금지할수록, 더 좋은 이론.
(4) 어떤 상상 가능한 사건에도 반박될 수 없는 이론은 비-과학적.
• 반박불가능성은 이론의 미덕이 아니라 악덕.
(5) 이론에 대한 진짜 시험은 그 이론을 반증하려는 시도.
• 시험가능성은 반증가능성.
• 시험가능성에는 정도가 있다. 어떤 이론은 다른 이론보다 더 시험가능하다는 것은 반박에 더 노출되었다는 것. 더 시험 가능한 이론일수록 더 큰 위험을 감수함.
(6) 입증 사례는 그 이론에 대한 참된 시험 결과인 경우를 제외하고 중요하지 않음.
• 입증은 이론을 진지하게 반증하려 했으나 실패한 시도로 간주되어야 함.(‘용인된 증거’(corroborating evidence))
(7) 참된 시험이 가능한 이론 중 어떤 이론은 거짓으로 판명 나더라도 지지자들의 지지를 계속 받을 수 있다.
• 임시방편적 보조 가설을 도입하거나 이론을 임의로 재해석하여 반박을 피할 수 있고 그러한 시도는 언제나 가능함.
• 그러한 시도는 그 이론을 반박으로부터 구하지만 그 이론의 과학적 지위를 파괴하거나 낮추게 됨.
(이러한 구출 시도를 ‘규약주의적 왜곡’ 또는 ‘규약주의적 전략’으로 부름.)
- 어떠한 이론의 과학적 지위에 대한 기준은 그것의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 또는 반박가능성(refutability) 또는 시험가능성(testability)이다.


  II

■  [pp. 37-39, 82-86]
- 아인슈타인의 중력 이론의 경우, 당시의 측정 도구가 시험결과를 완전하게 보증하지 않아도 그 이론을 반박할 가능성은 있었음.
- 점성술의 경우, 예언은 너무 모호하여 실패하기 힘듦. 즉 반박불가능함.
- 마르크스의 역사 이론의 경우, 그 이론의 예측은 시험가능 했으며, 실제로 반증됨.
• 지지자들은 그 반박을 수용하기보다는 이론과 증거를 재해석하여 반증을 피함.
• 이를 통해 반박으로부터 이론을 구하긴 했지만, 이론을 더 이상 반박불가능함.
• 규약주의적 왜곡을 가해서 지지자들은 그들이 선전했던 과학적 지위를 파괴함.
- 두 정신분석 이론은 완전히 시험불가능하며 논박불가능함.
• 정신분석가들의 ‘임상 관찰’은 점성가들의 일상적인 입증에 불과함.
• 이들 이론은 흥미로운 심리학적 제안을 하지만, 시험가능한 형태로 제안하지 않음.
- 동시에, 신화는 발전되어 시험가능하게 될 수도 있음.
• 역사적으로 거의 모든 과학 이론은 신화로부터 유래함.
• 예) 엠페도클레스, 파르메니데스
• 한 이론이 비-과학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이라고 해서, 그 이론이 중요하지 않거나 무의미한 것은 아님.
• 그 이론은 (과학적 의미에서)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주장될 수 없다는 것.

■  [p. 39, 86]
- 반증가능성 기준을 제안하여 해결하려고 한 문제는 유의미성이나 중요성의 문제 또는 참이나 수용가능성의 문제가 아니라, 경험 과학의 진술 또는 진술의 체계와 그 외의 진술 사이의 선을 긋는 문제.
• 이 문제는 ‘구획 문제’(problem of demarcation)라 칭할 것인데, 반증가능성이라는 기준은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진술 또는 진술의 체계가 과학적으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상상가능한 어떤 관찰과 대립될 수 있어야 함.
  

  III
 
 
  IV
 
 
  V


  VI
 
 
  VII
 
 
  VIII
 
 
  IX
 
 
  X


  Appendix: Some Problem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2017.12.18.)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