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25

[기출문제] (논리 및 언어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1년 1학기-1996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1년 1학기 석사

1. 경험론의 의미 기준은 무엇이며, 그 난점은 무엇인가?

2. Tarski의 진리 개념은 인식론 일반에서 문제되는 진리에 관한 문제에 얼마나 적합한가?

3. 콰인이 주장하는 경험주의의 두 독단은 무엇이며, 그 주장의 논거는 무엇인가? 그 논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4. 양화사에 대한 대입적(substitutional) 해석과 존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5. 논리철학의 근본 성격은 무엇인가?


■ 1991년 1학기 박사

1. Kripke의 “rigid designator”와 Russell의 “logically proper name”을 비교 검토하시오.

2.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Anti-essentialism이라고 해석하는 근거는 무엇이며, 그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3.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섯 양상 개념(필연성, 가능성, 불가능성, 비필연성, 우연성)을 이용하여 양상 대당사각형을 그리고, 그것들의 대당 관계를 설명하시오.

4. 퍼트남은 “의미는 머리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을 설명하고, 그가 이러한 주장을 옹호하기 위해 내세우는 논변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5.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1991년 2학기 석사

1. “철학은 언어 분석이다.” 이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2. 실재론과 제휴하기 쉬운 의미론은 어떤 것인가?

3. “Über Sinn und Bedeutung”에서 전개한 프레게 이론의 난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에 대한 럿셀의 비판은 무엇인가?

4. 역설을 두 종류로 나눈다면 어떻게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대표적인 예와 그 해결책을 설명하시오.

5. 양상 논리학에 대한 비판들을 설명하시오.


■ 1991년 2학기 박사

1. 진리의 문제가 제기되는 언어철학적 문맥은 어떤 것인가?

2. 고유명사(proper name)에 관한 Kripke의 견해와 Russell의 견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

3. “x=y⊃(fx⊃fy)”와 같이 표현될 수 있는 동일자 식별불가능성의 원리를 받아들이면 내포성의 역설이 발생한다. 그 이유를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4. 양상논리학의 접두어 ‘□’와 ‘◇’는 각각 보편양화사와 존재양화사처럼 작동한다고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x)□Fx와 □(∃x)Fx 사이의 함축 관계는 어떻게 되며, 이 함축관계를 기반으로 ◇(x)Fx와 (x)◇Fx 사이의 함축관계를 도출하시오.

5.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은 무엇이며, Strawson의 비판은 Frege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가 없는가? 확대 적용 가능성 여부의 근거는 무엇인가?


■ 1992년 1학기 석사

1. 프레게에 있어서 명제함수를 개념과 대상을 중심으로 논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에 관하여 약술하시오.

2. 거짓말장이 역설을 약술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적어도 두 개를 택하여 설명하고 평가하시오.

3. 의미론의 대표적 유형의 내용과 그 난점에 관해 논하시오.

4. Russell의 기술론(theory of description)이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가?

5.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 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 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1992년 1학기 박사

1. 진리는 반드시 필요한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2. “특정언어를 떠나서 ‘무엇이 존재하는가?’를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명제를 논하시오.

3. 비트겐슈타인의 『철학탐구』 201에 나타난 “규칙 따르기의 역설”은 무엇을 노리는 것인가?

4. Kripke의 “Rigid Designator”와 Russell의 “Logically Proper Name”을 비교하시오.

5. 실수들이 열거불가능한 무한 집합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인 칸토(Cantor)의 대각선 논법을 설명하시오.


■ 1992년 2학기 석사

1. 프레게에 있어서 개념(Begriff)과 대상(Gegenstand)의 구분을 설명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를 논하시오.

2. Tractatus의 “Sachverhalt”를 의미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시오.

3. 지시적 의미론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4. 타르스키의 의미론적 진리론을 설명하고, 그 이론 안에서 거짓말장이 역설이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밝히시오.

5. 다음 논변을 de re/de dicto modality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시오.

(1) 9 = 행성의 개수
(2) □ ( 9 〉 7)
(3) 그러므로, □ (행성의 개수 〉 7)


■ 1993년 1학기 석사

1. 고유명사에 대한 기술주의(descriptivism)의 입장을 설명하고, 비판적 입장에서 논하시오.

2. 타르스키의 의미론적 진리론은 자연언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그 이유를 밝히시오.

3. “무엇이 존재를 부정한다는 것은 항상 자기모순적이다.” 이 명제를 Russell과 연결하여 논하시오.

4. 양화사 해석의 두 가지 가능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5. 양상논리학에 대한 회의의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 1993년 2학기 석사

1. 『논리철학논고』(Tractatus)의 “Sachvelhalt”가 “Tatsache”와 어떻게 다른지를 의미의 문제 및 진리의 문제와 관련하여 논하라.

2. Russell의 Theory of Description이 전제하고 있는 의미론의 정체는 무엇이며 그 의미론은 Russell의 이론에서 과연 어떤 방식으로 옹호되고 있는가?

3. Quine에 의하면 신화적 대상이나 물리적 대상은 모두 ‘문화적 구성물’ (Cultural Posits)이라는 점에서 근본적 차이가 없다. 이러한 그의 논변을 재구성하고, 비판적으로 논하라.

4. 의미검증이론(Verifiability Theory of Meaning)에 있어서 번역가능성(Translatability) 원리의 역할을 논하라.

5. 양화사에 대한 대입적 해석과 존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 1993년 2학기 박사

1. 언어와 실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지시(reference)는 필수적인가? 긍정하는 이론과 부정하는 이론을 각각 하나씩 재구성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2. ‘언어의 창조성’에 관한 Wittgenstein의 전・후기 해명(Tractatus와 Philosophsche Untersuchungen)을 비교적으로 재구성하고,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실수들이 열거불가능한 무한집합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인 Cantor의 대각선 논법을 설명하시오.

4. Wittgenstein의 회의론에 대한 입장은 무엇이며, 그 핵심 주장은 어떤 방식으로 Forms of Life와 연결되어 있는가?

5. “언어에 관한 논의는 전통적인 철학의 문제영역인, 인식론과 존재론 혹은 윤리학의 문제영역에 앞서서 행해져야 할 문제이다.” 이 주장은 어떤 의미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


■ 1994년 1학기 석사

1. ‘원초적 번역의 불확정성’을 옹호하는 적어도 두개의 논변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2. 의미지시론(reference theory of Meaning)의 장점과 단점에 관해 논하시오.

3. 소위 ‘언어사용의미론’(use theory of Meaning)의 허실은 무엇인가.

4. 콰인이 변항에 존재론적 의미를 부여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5. 의미론적 역설을 설명하고 그 해결책 중 하나를 골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4년 1학기 박사

1. 의미론과 진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2. “참”, “거짓” 등의 진리술어들은 어떤 의미론적 기능을 갖는가? 잉여론을 중심으로 논하시오.

3. Kripke가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or)라는 말의 도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 핵심 논점은 무엇인가?

4. Wittgenstein이 ‘삶의 양식’(Lebensform)이라는 말을 도입함으로써 드러내고자 한 논점은 무엇인가?

5. Kripke는 양상개념을 이용하여 어떻게 materialism을 논박하고 있는가? 그의 논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1994년 2학기 석사

1. 언어를 세계에 대한 그림으로 볼 수 있는 근거에 관하여 논하시오.

2. 언어적 상대주의(Linguistic Relativism)를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논거를 약술하고,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On Denoting”에 나오는 Russell의 Frege이론에 대한 비판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논평하시오.

4.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5. 의미론적 역설 하나를 예로 들고 그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1994년 2학기 박사

1. “진리는 인식적 개념이 아니다.” 이 명제를 설명하고 논하시오.

2. “특정언어를 떠나서 ‘무엇이 존재하는가?’를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명제를 설명하고 비판하시오.

3. Kripke의 심신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4.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은 무엇이며, Strawson의 비판은 Frege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가 없는가? 확대 적용 가능성 여부의 근거는 무엇인가?

5.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 1995년 1학기 석사

1.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 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 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2. Russell의 기술론에 있어서 고유명사는 Frege의 Sinn을 가지고 있는가?

3. 의미의 문제에 대해서 언어행위론이 어떤 공헌을 한다고 보는가?

4.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5. “진리는 규제적 이념이다.” 이 명제를 논하라.


■ 1995년 1학기 박사

1.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Anti-essentialism이라고 해석하는 근거는 무엇이며, 그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2.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4.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5. “언어적 표현의 의미는 청자에 대하여 일정한 효과를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에 의하여 밝혀져야 한다.” 이 명제를 논하시오.


■ 1995년 2학기 석사

1. 언어가 왜 철학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가?

2. 콰인이 변수에 존재론적 의미를 부여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다음 논변을 de re/de dicto modality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시오.

(1) 9 = 행성의 개수
(2) □( 9 〉 7)
(3) 그러므로, □(행성의 개수 〉 7 )


■ 1996년 1학기 석사

1. Tractatus의 Sachverhalt는 Tatsache와 어떻게 다른가?

2. ‘검증의미론’(Verification Theory of Meaning)은 의미론이라기보다는 경계구분(Demarcation)의 문제라고 하는 포퍼의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라.

3. 크립키의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ion)와 럿셀의 ‘논리적 고유명사’(Logically Proper Name)를 비교 고찰하시오.

4. 양화사에 대한 존재적 해석과 대입적 해석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시오.

5. 진리와 의미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 1996년 1학기 박사

1. 비트겐슈타인이 ‘의미사용론’(Use Theory of Meaning)을 내세웠다는 논자들이 있는데, 이런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라.

2. 크립키의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ion)와 럿셀의 ‘논리적 고유명사’(Logically Proper Name)를 비교 고찰하시오.

3. Davidson이 ‘자비의 원리’(Charity Principle)를 도입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4. 양화사에 대한 존재적 해석과 대입적 해석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시오.

5. 진리와 의미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2020.01.20.)
    

2017/08/24

[과학철학] Kemeny and Oppenheim (1956), “On reduc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John G. Kemeny and Paul Oppenheim (1956), “On reduction,” Philosophical Studies 7, pp. 6-19. ]
 
 
  1. The Concept of Reduction
  2. Previous Definitions
  3. New Definitions
  4. Further Research
 
 
  1. The Concept of Reduction

■ 과학적 진보의 유형 [pp. 6-7]
- 유형(1): 실제 지식의 증가
- 유형(2): 이론 총체의 진보
유형(2)에서 특히 중요한 사례는 기존 이론이 새 이론으로 대체되는 것
 
환원의 특징 [p. 7]
- 특징(1): 새 이론이 이전 이론이 수행한 역할을 해야 함.
옛 이론이 다루었던 모든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특징(2): 새 이론의 단순성이 옛 이론과 호의적으로 비교되지 않는 한, 우리는 옛 이론이 새 이론으로 대체된 것을 우리가 인지하지 못함.
과학에서 이론적 용어의 경제성을 가능하게 함.

환원의 예 [p. 7]
- 예(1): 기계론자(mechanist)와 생기론자(vitalist)
생물학이 물리학(또는 물리화학)으로 환원될 수 있느냐에 대한 논쟁
- 예(2): 고전 화학의 많은 부분이 원자 물리학으로 환원됨.

7-8
과학에 대한 엄격한 논리적 분석은 가망 없음.
과학자들이 근본 가정을 명확히 하는 것은 그들의 역할이 아니며, 엄격한 논리 규칙에 따라 그러한 작업을 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음.
이러한 작업은 이상화된 형태에서 과학을 고찰하는 과학철학자들의 작업임.

8


 
  2. Previous Definitions

[p. 9]
- 우저(Woodger)는 한 이론의 internal reduction에 관한 정의를 제공함.
- 네이글(Nagel)은 한 분야와 다른 분야의 환원을 정의함.
- 여기서 우저의 환원 이론을 W-환원(W-reduction), 네이글의 환원 이론을 N-환원(Nreduction)이라고 부를 것.

정의 1. T₂는 T₁으로 W-환원된다 if: 
(A) Voc(T₁)가 Voc(T₂)의 진부분집합(proper subset)이다.
(B) Voc(T₂)에 있지만 Voc(T₁)에 없는 모든 용어 P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쌍조건문 (x)[Px≡Mx]가 있다:
(1) M은 Voc(T₁)에 관한 것이다.
(2) 쌍조건문이 잘 성립한다.
(C) 쌍조건문에 의한 T₂의 번역, 즉 T₂의 각 P를 그에 대응하는 M에 의해 교체한 것의 결과는 T₁로부터 도출된 것이어야 한다.

[pp. 9-10]
네이글의 정의에서, 파라미터 t가 들어감.

정의 2. 시점 t에 B₂는 B₁으로 N-환원된다 if: 
(A) 시점 t에 존재하는 B의 이론적 어휘는 시점 t에 존재하는 B1의 용어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B) 모든 용어 P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쌍조건문 (x)[Px≡Mx]가 있다:
(1) M은 B₁의 이론적 어휘와 관련된다.
(2) 쌍조건문이 잘 성립한다.
(C) 이러한 쌍조건문에 의한 시점 t에 존재하는 B₂의 이론들의 번역은, 시점 t에 존재하는 B₁로부터 도출된다.

[p. 10]
- 두 정의는 다음과 같이 연결됨.
• 시점 t에 B₂는 B₁으로 N-환원된다 iff 시점 t에 존재하는 B₁ 이론들의 연언이 t에 존재하는 결합된 분야들의 이론들의 연언을 W-환원한다.
- 다음과 같이 단순화할 수 있음.
• W-red(T₁, T₂): 정의1
• N-red(B₁, B₂, t): 정의2
• ᵗTⲃ: t에 존재하는 분야 B의 모든 이론들의 연언
• N-red(B₁, B₂, t) iff W-red(ᵗTⲃ₁, ᵗTⲃ₁・ᵗTⲃ₂)


B2의 이론과 B1의 이론 사이에서 이 일어났을 경우, 오직 그 경우에만 B2는 B1으로 환원된다.


11
- 가능한 질문: “환원하는 이론은 환원되는 이론보다 더 낫지 않다. 더 단순한 이론이 복잡한 이론에 의해 대체되었다면 우리는 무엇을 얻었는가?”
환원하는 이론이 더 강력하다면, 그 이론의 추가적인 복잡성이 허용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일 것.
이는 그 이론이 얼마나 체계화되었는지와 관련됨.
환원하는 이론은 적어도 환원되는 이론만큼 체계화되어야 함.

11-12
ᵗO은 우리가 관찰해온 모든 것을 (사소하게) 설명할 수 있음.
ᵗO: 데이터에 관한 우리의 관찰들의 총체
이론은 여기에 무엇을 추가할 수 있는가?
추가할 수 없다는 것이 중요함.
이론의 역할은 이론의 역할이 우리에게 더 많은 사실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실들을 실질적으로 다루기 쉬운 형태로 정리하는 것.
관찰 진술들의 무한한 집합 대신 우리는 합리적으로 단순한 이론을 가짐.


12
케미니와 오펜하임은 정의 2에서 C를 다음과 같이 바꿀 것을 요구함.

(N-C′) 적어도 ᵗTⲃ₂만큼 잘 체계화된 B₁의 이론 T₁가 있고, T₁는 쌍조건문에 의해 ᵗTⲃ₂의 번역으로부터 따라나온다.
(W-C′) T₁는 적어도 Tⲃ₂만큼 잘 체계화되었으며, Tⲃ₂의 번역은 쌍조건문에 의해 T₁로부터 따라나온다.

저자들의 지적(1)

저자들의 지적(2)

13
- 저자들의 지적(3): 네이글과 우저의 정의에 두 가지 지나치게 단순화된 부분이 있음.
(1): 네이글과 우저는 이론 T₂의 번역이 정확하게 T₁으로부터 도출된다고 주장함.
(2): 네이글과 우저는 두 이론의 연결이 단순한 쌍조건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믿음.

(1)은 기존의 이론이 대체로 일정한 한계 내에서만 유지된다는 사실, 그리고 심지어 대략적으로만 유지된다는 사실을 무시함.
예) 케플러의 법칙을 뉴턴의 법칙으로 환원할 때, 우리는 충분히 작은 질량을 가진 큰 중심 질량의 경우로 제한해야 함.
케미니와 오펜하임은 이런 점들이 근본적으로는 중요하지만, 우리의 이론들이 옳다고 우리가 암묵적으로 가정하는 한 그것들을 고려할 방법이 없음.
그래서 (1)에 대해서는 네이글과 우저에 동조할 것임.

그러나 (2)에 대한 정당화는 없는 것으로 보임.


  3. New Definitions

13-14
환원의 본질이 오직 두 이론만을 비교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관찰의 영역을 가져와야 함.
T₂의 용어가 단순히 T₁의 용어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T₁은 T₂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이상을 해야 함.
케미니와 오펜하임은 관찰 데이터 O를 도입함.

정의 3. Red(T₁, T₂, O) iff 
(1) Voc(T₂)는 Voc(T₁)에 없는 용어들을 포함한다.
(2) T₂로 설명할 수 있는 O의 어떠한 부분이든 T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T₁은 적어도 T₂만큼 체계적이다.

정의 4

정의 5

케미니와 오펜하임은 O의 특정한 값을 원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정의를 도입함.

정의 6. Red(T₁, T₂)는, 모든 O가 T2와 일치한다면, Red(T₁, T₂, O)와 동일하다.

정의 7. Intred(T₁, T₂) if Red(T₁, T₂) and Voc(T₁)이 Voc(T₂)의 진부분집합

Intred: 내적 환원(internal reduction)

정의 8. Red(T₁, T₂, O) iff Red(T₁, ᵗTⲃ₂)를 만족하는, B₁의 어떤 이론 T₁가 t에 존재한다.
 
정의 9. Intred(B₁, B₂, t) iff Red(B₁, B₂, t) and B₁은 B₂의 분과이다.


15
정리 1. Red(T₁, T₂) iff (1) Voc(T₂)는 Voc(T₁)에 없는 용어들을 포함하고, (2) T₂가 함축하는 모든 관찰 진술은 T₁도 함축하고, (3) T₁은 적어도 T₂만큼 체계적이다.
Intred(T₁, T₂) iff 위의 세 조건이 유지되면서 Voc(T₁)이 Voc(T₂)의 부분집합이라는 것이 추가된다.

케미니와 오펜하임은 우저와 네이글의 정의가 자신들의 정리의 특수한 사례라고 주장하고자 함.

정리 2. 정의 1의 C가 W-C′으로 대체된다면, 그것은 정의 7의 특수한 사례를 정의한다. B2가 생략되더라도 마찬가지다.

정리 3. 정의 2의 C가 N-C′으로 대체된다면, 그것은 정의 8의 특수한 사례를 의미한다. B2가 생략되더라도 마찬가지다.



  4. Further Research

17
여기에 대한 대안적 설명으로 “부분적 환원”의 정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환원은 미시 이론의 수단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파이글의 “설명의 수준들”(levels of explanation)에 관한 명백한 연결


(2020.02.13.)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