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9

[물리학의 철학] Heisenberg (1958), Ch 2 “The History of Quantum Theory” 요약 정리 (미완성)

     

[ Werner Heisenberg (1958), Physics and Philosophy: The Revolution in Modern Science (Harper & Brothers Publishers), pp. 30-43.

  하이젠베르크, 「2장. 양자론의 역사」, 『하이젠베르크의 물리학과 철학』, 구승회 옮김 (온누리, 2011). ]



고전 물리의 한계와 양자론의 도입

19세기 말까지는 뉴턴 역학의 근본원리가 모든 역학 현상에 적용되는 것처럼 생각되었지만 적용 범위가 점점 제한됨.

그리하여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운 경우에는 상대성이론을 적용하고, 미시적 세계에서는 양자역학을 적용함.

양자 역학은 상대성 이론과 같이 물리학자 개인에 의한 성과물이 아니라 플랑크의 양자 가설로부터 다양한 분야의 학자 및 연구자에 의해 발전되어왔고 현재도 그 이론이 확장되고 있음.

양자론의 역사를 살펴보고 양자 역학이 어떤 가설과 증명을 통해 이론이 성립되어 왔는지 정리하고자 함.


양자론의 태동: 플랑크(Planck)의 양자가설로부터

19세기 말 레이리와 진스는 고온의 흑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설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음.

플랑크는 복사입자(진동자)가 단일한 에너지 양자만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불연속한 에너지 준위에서만 존재한다는 양자 가설에 의한 공식으로 열복사 현상을 설명하였고, 이는 성공적이었음.

양자 가설은 플랑크가 과거의 복사설과 조화시키려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이 가설이 새로운 방향으로 진일보하기 어려움을 겪다가, 몇 년 후 아인슈타인이 양자가설을 바탕으로 ‘광전효과’를 설명함으로써 기존의 파동 가설과 전적으로 다르게 빛을 설명하게 됨.


양자가설로 원자의 안정성 설명 

1911년 러더포드는 알파선을 물체에 통과시키는 실험으로 원자 모델을 도출함.

알파선의 일부가 원자를 투과하지 않고 반사되는 현상을 통해 원자는 거의 전체가 양전기를 띠고 있는 원자핵과 원자 주변을 회전하는 전자로 구성된다고 함.

보어는 양자론을 러더포드의 원자 모델에 적용하여 원자의 안정성은 물론 선 스펙트럼의 이론적인 의미를 설명할 수 있었고, 이는 좀머펠트에 의해 수학적으로 공식화됨.

보어의 이론에서 안정 상태의 존재는 후에 프랑크와 헤르츠, 슈테른과 게를라흐가 행한 각각의 실험에서 증명되어 양자 가설이 확립됨.


파동과 입자의 이원론

양자론의 패러독스는 여러 질문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점점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게 나타남.

유명한 예로 콤프턴(Compton)이 행한 <방사선분산실험>에서 원자에서 산란된 x-선 진동수는 입사된 x-선 진동수와 상이함을 발견함.

이 진동수의 변동은 빛의 파동론과 달리 하나의 빛 입자를 전자와의 충돌로써 산란이 설명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수용함으로써 공식화될 수 있었음.

이 무렵 드브로이는 파동과 입자 가설의 이원론을 물질의 기본 입자(전자)에까지 확대하고자 시도하였고 광파가 빛 입자의 운동에 대응하는 것과 동일하게, 물질파는 전자의 운동에 대응한다는 사실을 보여줌.

이처럼 드브로이의 제안은 양자조건으로부터 파동과 입자의 이원론으로 연결 지어 주는 교량 역할을 함.


양자론의 두 가지의 상이한 발전 

첫 번째는 역학 법칙을 전자의 위치나 속도에 대한 방정식이 아니라 주파수나 진폭의 방정식으로 서술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고, 이는 행렬 역학으로 불리는 수학 공식으로 나타남.

또 다른 발전은 드브로이의 물질파에 대한 해석에서 출발함.

슈뢰딩거는 드브로이의 정상파를 하나의 <파동방정식>으로 나타내고자 하였고, 수소 원자의 안정상태에서의 에너지 값을 그의 파동방정식의 고유치로 연역하는 데 성공함.

이는 고전적인 운동 방정식을 이에 상응하는 파동 방적식의 다차원 위상공간으로 바꾸어 쓸 수 있도록 함.


파동성과 입자성 간의 눈에 보이는 모순 해결: 확률파

1924년 크라머스와 슬레터는 파동성과 입자성 간에 눈에 보이는 모순을 <확률파>라는 개념으로 부정하고자 함.

전자기파는 실제파가 아니라 확률파임.

이러한 가설은 에너지 보존법칙이나 운동량 보존법칙이 모든 개개의 경우에 필연적으로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의미로서가 아니라 통계적인 법칙이라는 귀결을 낳음.

이후에 보른은 확률파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식에 있어서 확률파동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수학의 확률밀도 함수를 도입함.


보어와 슈뢰딩거의 논쟁 (코펜하겐 논쟁)

슈뢰딩거가 자신의 파동공식(슈뢰딩거 방정식)이 수학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제기하고 한동안 양자개념과 <양자비약(불연속적인 양자운동)>을 완전히 포기하고 원자 내의 전자를 3차원의 물질파로 대체하고자 했음.

1926년 코펜하겐에서의 토론과정에서 슈뢰딩거의 이런 해석은 플랑크의 열복사에 관한 법칙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이 밝혀짐.



(2022.11.18.)

    

2017/03/18

[강의] Wireless Philosophy - Race

   
PHILOSOPHY - Race: Racial Ontology
_#1 Introduction
_#2 Naturalist Theories of Race
_#3a Sociohistorical Theories of Race
_#3b Sociohistorical Theories of Race
  
PHILOSOPHY - Race: Race and Racist Institutions
  
PHILOSOPHY - Race: Race and the Carceral State 
  
  
(2017.03.18.)
  

[강의] Wireless Philosophy - Language

    
PHILOSOPHY - Language: Meaning and Language
  
Philosophy: Conventional Implicature
  
PHILOSOPHY - Language: Gricean Pragmatics
  
PHILOSOPHY - Language: Contrastivism 
_#1 Introduction ( www.youtube.com/watch?v=DJYTbmiG_7A )
  
PHILOSOPHY - Language: Conventional Implicature 
  
PHILOSOPHY - Language: Conditionals
  
  
(2017.03.18.)
  

운동선수와 직장인의 차이

   
올해 3월에 네이버 신임 대표이사로 취임하는 한성숙(50) 서비스총괄 부사장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왜 운동선수가 더 뛰어난 성적을 위해 밤새 훈련하는 일은 칭찬받고 직장인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해 야근하는 일은 흠으로 볼까요?” 
  
운동선수의 성적은 운동선수 것이지만, 직장인의 실적은 회사 것이기 때문이다.
  
  
* 링크: [중앙일보]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 내정자…유리천장 깨뜨린 알파걸
  
  
(2017.01.18.)
   

2017/03/17

이게 논문이냐?

     

내가 석 달 전에 쓴 논문을 다시 보니 “이게 논문이냐?”라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졌을 때도 나는 “이게 나라냐”라고 안 했는데, 내가 쓴 것을 다시 보니 “이게 논문이냐?”라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체질에 안 맞는 공부를 하려니 힘들다. 공부를 하다 보면 체질이 바뀌나 했는데 도통 체질이 안 바뀐다. 술을 못 먹는 체질이나 공부 못하는 체질이나 비슷한 것이 아닌가. 술이나 공부나 해봤자 늘지는 않고 괜히 몸이나 상하는 건 아닌가 걱정스러울 정도다. 대학원 다니면서 ‘술 못 먹는 사람이 회식 자리에서 이런 기분인가’ 싶기도 했다.
  
예전부터 알고 지내던 평론가 지망생을 얼마 전에 만났다. 그 분은 나보고 “교수하기에는 개그가 너무 아까운데...” 라고 했다. 나도 안다. 그런데 그렇다고 이 정도 개그로는 직업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도 안다.
  
이말년이 나를 시나리오 작가로 데려갔으면 좋겠다. 그런데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예상(1)
- 나: “혹시 시나리오 작가 필요하시나요?”
- 이말년: “내가 더 재미있어요.”
- 나: “네.”
  
예상(2)
- 나: “혹시 색다른 소재로 만화를 그리시는 건 어떠세요?”
- 이말년: “어떤 건데요?”
- 나: “대학원툰이요.”
- 이말년: “꺼지세요.”
- 나: “네.”
  
윤서인이 패륜 만화를 그려서 그렇지 그림은 예쁘게 그린다. 내가 시나리오를 쓰고 윤서인이 그림만 그린다면, 아무리 시나리오가 똥이어도 <조이라이드>보다는 나을 것이다. 그런데 내가 아무리 이렇게 살아도 윤서인 같은 것과 손을 잡을 수 없다.
  
결국 논문을 참칭하는 글을 다시 읽는다. “이게 논문이냐?”라는 말이 저절로 나온다.
  
  
(2017.01.17.)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