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11

EBS 드라마 <내 여친은 지식인>에 대한 감상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EBS 드라마 <내 여친은 지식인>을 연애와 인문학을 접목한 참신한 작품이라고 호평했다. 도대체 뭐가 참신한다는 건지 모르겠다. 대학을 배경으로 한 EBS식 청소년 드라마에, 요즈음 하도 개나 소나 인문학 가지고 염병들을 하니까 인문학 냄새 풍긴 것 같은데 어떤 점에서 참신하다는 것인가.
  
드라마의 대강의 내용은, 공대생인 남자 주인공이 인문대생인 여자 주인공과 연애하며 인문학을 알아간다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 아니랄까봐 주인공들은 일단 연애부터 한다. 인문대생인 여자 주인공은 별 것도 아닌 이야기를 항상 심각하고 재미없게 이야기하고, 남자 주인공은 상식이 없다는 이유로 여자 주인공한테 주눅 들어 있다.
  
여자 주인공이 아는 것은 자기 전공과 관련된 것이고 따지고 보면 그다지 전문적인 내용도 아니다. 전공 관련 내용이 상식 정도로 치부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그만큼 그 학문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여자 주인공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공대생 앞에서 그렇게 젠체하고, 남자 주인공은 여자 주인공 앞에서 “너는 맥스웰 방정식도 모르는 게 어디서 까부냐?”고 말 한 마디도 못 하고 무식하다고 무시나 받는다.
  
드라마는 남자 주인공이 상식이 전혀 없는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지방대 다니다 간신히 편입한 공대생으로 설정했다. 인문학 같은 데 관심 없는 공대생 정도로만 설정했어도 충분한데, 남자 주인공이 무식하다는 설정을 하려고 굳이 지방대 출신 편입생으로 만들었다. 나는 편입한 적도 없는 데도 기분이 불쾌했다.
   
무식해서 애인에게 구박받던 남자 주인공은 유식한 사람이 되기 위해 <지하철>(지금, 철학을 하자)이라는 인문학 스터디 모임에 가입한다. 20대가 만들었다고 하기에는 동아리 이름이 너무 구리다. 50대 아저씨들의 건배사 같다. 스터디 모임의 회원들도 역시나 별 것도 아닌 것을 가지고 재수 없는 말투로 심각하게 이야기한다. 쥐뿔 아는 것도 없으면서 나불대기나 좋아하는 겉멋 들고 멍청한 인문대생의 모습을 극단적으로 잘 표현했다. 어느 정도냐 하면 나도 모르게 ‘문송합니다 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 내가 사장이어도 인문대생 안 뽑겠다’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철학과 대학원을 다니는 내가 그런 생각이 할 정도였으니, 인문학과 먼 사람들이 그런 장면을 보면 어떤 생각을 할까?
  
철학과에 다른 과보다 미친 놈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 같기는 하지만, 어쨌든 대부분은 정상인이거나 정상인처럼 산다. 그런데 언론에서 철학 전공자는 대부분 정신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로 나온다. 누구 머리에서 이런 기획이 나오는지 모르지만, 웬만하면 그런 짓을 안 했으면 좋겠다. 유행을 타서 그랬는지, 아니면 자기 전공에 남다른 애착이 있어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그런 이상한 드라마를 만드는 것은 인문대학을 다니고 있거나 졸업한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학부 때 배운 게 아무리 좋았어도 직장에서 이상한 문과생 티를 내지 말고 아름다운 기억으로만 혼자 간직하고 제발 얌전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 링크: 
  
[EBS] 내 여친은 지식인 - 1화. 뭐가 진짜, 뭐가 가짜?
  
[EBS] 내 여친은 지식인 - 2화. 둘 사이의 거리
  
[EBS] 내 여친은 지식인 - 3화. 진정한 사랑이 자라나는 곳은?
  
  
(2016.12.11.)
     

2017/02/09

셰익스피어와 방어회



며칠 전에 방어회를 먹었다. 태어나서 처음 먹었다. 내가 한국에서 30년 넘게 살았는데 처음 먹었다. 먹고 나서, 이렇게 맛있는 생선이 있다니, 그동안 어머니는 나한테 방어회를 왜 안 사줬을까, 어머니는 나를 사랑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방어회를 먹으며 술을 마시고 나서 며칠 동안 술을 안 먹으니 아무래도 술을 먹어야할 것 같았다. 술을 먹어야겠는데 뭐 하고 먹어야 할까. 마침 숙소 근처에 횟집이 있었다. 방어회를 먹기로 했다. 마침 그날 계좌에 돈이 들어왔다.

몇 주 전, 나는 어느 중고서점에서 <시공사 셰익스피어 선집 세트>를 사서 온라인 중고서점에 매물로 올려놓았다. 팔리면 팔고 안 팔리면 내가 읽을 생각이었다. 동료 대학원생이 내 상품을 보고 사고 싶어 했다. 동료는 매물로 올린 가격대로 사겠다고 책을 했지만, 아는 사람끼리 값대로 다 받는 것이 좀 그래서 나는 얼마 깎아서 팔았다. 그래도 밑지지 않고 몇 푼 남기기는 했다.

횟집에 가서 방어 반쪽에 채소와 초고추장 추가해서 1만 1천 원 주고 샀다. 편의점에서 맥주를 샀다. 맥주 맛은 잘 모르지만 회에는 독일 맥주보다는 일본 맥주를 마시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았다. 350ml짜리 기린 맥주 다섯 캔을 1만원에 샀다.

숙소에 와서 혼자서 회에 맥주를 먹었다. 혼자 먹으면 무슨 맛이냐는 사람도 있는데, 좋은 음식은 혼자 먹어도 맛있다. 여럿이서 흥겹게 먹는 맛도 있지만 혼자서 멀거니 앉아 꼭꼭 씹어 먹는 맛도 있다.

가난했던 이덕무는 <한서> 한 질을 이불 삼고 <논어> 한 권을 병풍 삼아 겨울을 났다고 하니 반고와 공자 덕에 겨울을 난 셈이다. 나는 셰익스피어 덕분에 회 한 접시를 먹었다.

(2016.12.09.)


2017/02/08

트럼프 관련 자기계발서가 정말로 나오다



나는 트럼프 관련 자기계발서가 나올 것이라고 지난달에 예측했다. 내 예측이 실현되었다. 『트럼프: 승자의 생각법』이라는 책이 2016년 12월 5일에 출간되었다.






(2016.12.08.)


2017/02/06

성균관대 총동창회보를 보고



총동창회에서 동창회보가 온다. 동창회비 내라고 동창회보가 온다.

동창회보 1면에는 “모교 건학 618주년”이라고 큼지막하게 써있다. 성균관대와 조선시대 성균관 사이에 연속성에 대해서는 형이상학적인 탐구가 필요할 것 같은데, 이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역사가 장구하다고 자랑한다. 그런 글을 보면 내가 쓴 글도 아닌데 괜히 남사스럽다.

조선시대 성균관과 성균관대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고 하면 조선시대 웬만한 인물들은 죄다 성균관대 출신이 된다. 정도전, 이황, 이이, 정약용, 김정희, 홍대용, 유형원 등이 자랑스러운 학교 선배가 되고, 세종은 대학 이사장이 된다. 학생들 공부 열심히 하고 교수들 연구 열심히 하고 동문들 열심히 산다고만 해도 총동창회보에 쓸 내용은 충분할 것 같은데, 그렇게도 학교에 자랑할 것이 없는지 총동창회보에는 항상 유구한 역사가 장강처럼 흐른다. 그런데 이조차도 충분하지 않다고 여겼는지 동창회보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2000년대 모교는 인재창출 요람으로 부상했다. 정홍원・이완구・황교안 국무총리와 이원종 청와대 비서실장의 등장으로 역사 속 인물들의 맥을 잇고 있다.”





유구한 역사까지는 그런가보다 하겠는데 이건 아니다 싶다. 나는 지금까지 총동창회비를 안 냈는데 앞으로도 안 낼 거다. 나중에 돈 많이 벌어도 절대로 총동창회비는 안 낼 거다.

내가 투덜투덜하니까 동료 대학원생이 이렇게 말했다. “〇〇씨, 그러지 마요. 저희 학교는 난리도 아니었어요.” 그 사람은 서강대를 졸업했다.

(2016.12.06.)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