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0

최충헌 형제의 이의민 제거 네 줄 요약

     

정중부는 죽었다.
이의민은 늙었다.
왕실은 약하다.
  
“내 비둘기 내놔!”
 
 
 
 
(2016.07.10.)
    

2016/09/09

바바 사주로와 신분제

   

김시덕 교수가 경향신문 기사를 통해 소개한 ‘바바 사주로’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언어 천재의 흥미로운 이야기일 뿐 아니라 에도시대 일본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이기도 하다. 한국에 주로 알려진 난학은 『해체신서』(解體新書) 같은 단편적인 사례와 관련된 것이지만, 실제로 일본인 난학자들은 나가사키를 통해 들어온 유럽의 다양한 학문을 공부했다고 한다. 김시덕 교수는 바바 사주로가 난학의 그러한 측면들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바바 사주로는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어 통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영어를 배웠고 일찍부터 어학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1808년 스물두 살의 바바 사주로는 도쿠가와 막부의 부름을 받고 에도로 갔고, 1811년에는 유럽 문헌을 번역하는 부서인 <화란서적화해어용>(和蘭書籍和解御用)의 책임자가 되었다. 1818년과 1822년에 에도 근처에 영국 배가 나타나자 그에 대한 대응을 담당했으며,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3개 국어(영어・네덜란드어・일본어) 대조 회화집인 <통역관필수영어집성>(譯司必用厄利亞語集成)을 집필했다. 이 뿐만 아니다. 바바 사주로는 청나라에서 수입한 만주어 사전을 독학하여 일본에 만주학을 만들었으며, 일본에 억류 중인 러시아인 바실리 골로브닌에게서 2년 간 러시아어를 배워 종두법 책을 일본어로 번역하고 러시아학도 확립했다.
    
도쿠가와 막부 당시 일본은 신분 사회였고 바바 사주로는 평민이었다. 바바 사주로는 어떤 대우를 받았을까? 김시덕 교수는 이렇게 덧붙인다.
  
“평민 신분인 통역관이 어학 능력을 인정받아 사무라이 지위를 받고, 훗날 도쿄대학이 되는 정부부처가 오로지 그를 위해 설치되는 등 그는 사회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인정받았고 사회를 위해 그 능력을 십분 발휘했다. 바바와 같은 인물의 존재는 동시대 비서구권의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 난학이 융성한 배경에는 세상을 이념의 스펙트럼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공부를 중시하고, 그런 능력을 지닌 사람은 신분을 막론하고 대우하는 사회구조가 있었다.”
  
여기까지는 19세기 초반 일본의 이야기다. 그리고 다음은 21세기 초반 한국의 이야기다. 한국의 교육부 정책기획관 나향욱은 기자들 앞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신분제를 공고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민중은 개・돼지다. 개・돼지로 보고 먹고살게만 해주면 된다. [...] 나는 1%가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다. 어차피 다 평등할 수는 없기 때문에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 신분이 정해져 있으면 좋겠다. 미국을 보면 흑인이나 히스패닉, 이런 애들은 정치니 뭐니 이런 높은 데 올라가려고 하지도 않는다. 대신 상・하원처럼 위에 있는 사람들이 걔들까지 먹고살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거다.”
  
  
* 링크(1): [경향신문] 한국이 모르는 일본(5) - 바바 사주로, 에도시대 일본이 낳은 천재 (김시덕)
  
* 링크(2): [경향신문] 교육부 고위간부 “민중은 개돼지··· 신분제 공고화해야”
  
  
(2016.07.09.)
    

2016/09/07

어머니 친구의 자식 자랑

     

지난 주말, 어머니는 고등학교 동창 모임을 다녀오셨다. 거기서 유독 한 친구가 자식 자랑을 해서 어머니는 “그렇게 자랑하려면 커피라도 사고 자랑해라”라고 하셨다고 한다. 그 친구는 친구들한테 커피를 사고 카페에서 자식 자랑을 이어갔다. 자식 자랑할 게 없는 다른 친구는 해외여행 다녀온 자랑을 했다고 한다.
  
어머니는 별 것도 아닌 걸 가지고 뭐 그렇게 자랑을 하느냐, 재미없는 이야기를 듣느라 지겨워 죽는 줄 알았다고 하셨다. 어머니 친구의 자식이 그렇게 전도유망한지는 모르겠는데, 솔직히 현재로서는 어머니 친구의 자식 상태가 내 상태보다는 나아 보인다. 그래도 나는 호기롭게 말했다. 사실, 그럴수록 더 호기롭게 말해야 하는 법이다. “내가 겨우 그런 거 하려고 지금 이러는 게 아니에요. 몇 년만 있어 봐요. 그런 건 아무 것도 아니니까.”
  
백수인 내가 남의 직업을 비하하려고 그런 말을 한 건 아니다. 그런 상황에서 호기로운 모습을 보여야 부모가 조금이라도 안심을 한다. 자식이 대학원생인데 “공부할수록 느끼는 건데 저는 공부가 체질에 안 맞나 봐요”라고 솔직하게 말하면 부모는 속이 뒤집힌다. 부모가 어린 자식의 정서 발달을 위해 산타할아버지가 존재한다고 거짓말을 하듯, 다 큰 자식도 부모의 정서 안정을 위해 거짓말을 할 필요가 있다.
  
내가 호기로운 모습을 보이자 어머니의 표정은 조금 밝아졌다. 그래도 어머니는 아직 짜증이 다 풀리지 않은 듯 이렇게 말씀하셨다. “아니, 지들이 미국놈이야? 왜 아메리카노를 마셔?” 어머니 친구들은 아메리카노를 마셨고, 어머니는 라떼를 마셨다고 한다.
  
  
(2016.07.07.)
     

2016/09/02

고양이에게서 배우는 협력



진화 운운하면서 “네 조상은 경쟁에서 살아남아 너를 낳았는데 왜 너는 경쟁을 두려워하느냐?”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물학 지식이 고등학교 <생물I>에서 멈춘 사람들이 꼭 그런 소리를 한다. 그들은 자기 조상이 퍽이나 강해서 자기를 후손으로 남긴 줄 아나 보다.

인간을 포함하여 많은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것이 개체들 간의 협력이다. 모든 개체가 다른 모든 개체와 경쟁해서 가장 강한 개체만 살아남아 오늘날에 이른 것이 아니다. 갓난아기 심청이 효녀 심청이 된 것은 동네 아낙들이 젖을 먹였기 때문이지 심청이나 심청이네 아빠가 뛰어나거나 강해서가 아니었다.

한 집에 사는 어미 고양이들은 자기 새끼와 남의 새끼를 구분하지 않는다. 피 한 방울 안 섞인 새끼들도 형제자매처럼 지낸다. 가끔 사람보다 고양이에게 배우는 게 더 많을 때도 있다.









(2016.07.02.)


2016/09/01

윤서인과 빅맥 지수



빅맥 지수(Bic Mac Index)는 <이코노미스트>가 1986년부터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발표하는 지수다. 이 지수는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하여 각 나라의 상대적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한다.

빅맥 가격으로 여러 나라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이유는 빅맥이 전 세계에서 팔리고 전 세계 어디서나 재료 구성, 조리법, 크기가 표준화되었기 때문이지 전 세계 사람들이 꼭 빅맥을 먹어야 해서가 아니다. 봉구스 밥버거 지수나 김혜자 도시락 지수가 안 나오는 것은 한국 사람만 먹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예전보다 빅맥이 잘 안 팔리면서 빅맥 지수의 신뢰성이 의심받기도 하며, 이에 따라 스타벅스 지수(Starbucks Index) 등이 제안되기도 했다.








* 참고: [두산백과사전] 빅맥 지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14632&cid=40942 )

(2016.07.01.)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