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0
2016/09/09
바바 사주로와 신분제
2016/09/07
어머니 친구의 자식 자랑
2016/09/02
고양이에게서 배우는 협력
진화 운운하면서 “네 조상은 경쟁에서 살아남아 너를 낳았는데 왜 너는 경쟁을 두려워하느냐?”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물학 지식이 고등학교 <생물I>에서 멈춘 사람들이 꼭 그런 소리를 한다. 그들은 자기 조상이 퍽이나 강해서 자기를 후손으로 남긴 줄 아나 보다.
인간을 포함하여 많은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것이 개체들 간의 협력이다. 모든 개체가 다른 모든 개체와 경쟁해서 가장 강한 개체만 살아남아 오늘날에 이른 것이 아니다. 갓난아기 심청이 효녀 심청이 된 것은 동네 아낙들이 젖을 먹였기 때문이지 심청이나 심청이네 아빠가 뛰어나거나 강해서가 아니었다.
한 집에 사는 어미 고양이들은 자기 새끼와 남의 새끼를 구분하지 않는다. 피 한 방울 안 섞인 새끼들도 형제자매처럼 지낸다. 가끔 사람보다 고양이에게 배우는 게 더 많을 때도 있다.
(2016.07.02.)
2016/09/01
윤서인과 빅맥 지수
빅맥 지수(Bic Mac Index)는 <이코노미스트>가 1986년부터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발표하는 지수다. 이 지수는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하여 각 나라의 상대적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한다.
빅맥 가격으로 여러 나라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이유는 빅맥이 전 세계에서 팔리고 전 세계 어디서나 재료 구성, 조리법, 크기가 표준화되었기 때문이지 전 세계 사람들이 꼭 빅맥을 먹어야 해서가 아니다. 봉구스 밥버거 지수나 김혜자 도시락 지수가 안 나오는 것은 한국 사람만 먹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예전보다 빅맥이 잘 안 팔리면서 빅맥 지수의 신뢰성이 의심받기도 하며, 이에 따라 스타벅스 지수(Starbucks Index) 등이 제안되기도 했다.
* 참고: [두산백과사전] 빅맥 지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14632&cid=40942 )
(2016.07.01.)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 성한아・홍성욱 (2012), 「개인과 조직 사이에서: 챌린저호 폭발사고에 대한 재해석과 STS-공학윤리의 접점 찾기」,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53-60쪽. ] I. 서론 II. 일상적 실행의 공학 윤리 III. 개인과...
-
어머니의 사랑이나 헌신을 언급할 때 흔히 나오는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사랑에 눈 먼 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연인에게 변하지 않을 사랑을 고백했고 연인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의 어머니의 심장을 가져오라고 했습니다....
-
올해도 배나무에 꽃이 피었다. 죽지 않고 살아서 올해도 꽃을 피웠다. 담장 안에 있던 배나무를 옮겨심은 것은 작년 2월이다. 건설업체가 우리집에 민사소송 관련하여 가처분신청을 걸었을 때 내가 사유지 경계에 옮겨 심은 나무가 50그루 정도 된다.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 Ronald N. Giere, John Bickle, and Robert Mauldin (2005),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5th Edition (Cengage Learning) Ronal...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잘못된 인용은 논문을 망친다. 인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해야 논문이 제 격을 갖춘다. 필요한 인용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은 인용도 좋지 않다. ■ 지나친 인용은 깊이 있는 분석을 방해한다 - 인용을 얼마나 풍부하게 해야 하는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