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2/08

고량주를 마시고 정신을 잃다



지난 주말에 중국 음식점에서 술을 마셨다. 그날 간 중국 음식점은 짜장면, 짬뽕 나오는 한국식 중국 음식점이 아니고 중국 사람이 먹는 음식과 비슷한 음식이 나오는 중국 음식점이었다. 양고기 샤브샤브와 양념에 볶은 양고기를 안주로 먹었다.

처음에는 양념이 매우 강하다고 느꼈는데, 술을 마실수록 양고기 양념이 약해지더니 나중에는 마치 집에서 먹는 돼지고기 볶음의 양념처럼 느껴졌다. 예전에 동아리 후배와 비슷한 음식을 먹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양념이 너무 강해서 나온 음식의 반도 못 먹었다. 왜 이번에는 지난번과 달랐을까? 내가 그동안 중국 음식에 익숙해져서? 중국식 중국 음식을 거의 안 먹었기 때문에 그건 아닌 것 같다. 아마도, 후배와 먹을 때는 술을 마시지 않았고, 이번에는 고량주를 마셔서 그랬던 것 같다.

양고기를 먹으면서 나는 중국 음식의 향과 기름기 등이 중국 술의 도수와 상관관계가 있지 않겠느냐고 가설을 제시했다. 러시아는 추우니까 도수가 높은 술을 먹는다고 치더라도, 중국은 상해만 가도 여름에 더워서 죽을 판이니 날씨 때문에 도수가 높은 술을 마시는 건 아닐 거고, 음식과 관계가 있지 않겠냐는 것이었다. 양념이 강하니 도수가 높아져야 하고 도수가 높아지니 양념이 강해져야 하는, 일종의 오디오쟁이가 거덜 나는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중국 음식에도 나타나지 않았을까? 물론, 이는 근거 없는 추측일 뿐이다.

(* 오디오쟁이 망하는 패턴: 오디오를 산다 → 더 좋은 스피커를 산다 → 출력이 약해 출력을 높인다 → 스피커가 약해 스피커를 높인다 → 출력이 약해 출력을 높인다 → 스피커가 약해 스피커를 높인다 → ... → 파산)

그런데 나는 정작 중요한 것을 간과하고 있었다. 술을 마시면서 음식 맛을 다르게 느끼는 것은 맛이 갈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것을 말이다. 세 사람이 고량주 네 병을 나눠 마시고 있었던 그때, 나는 이미 맛이 가고 있었다.

마트에서 먹을거리를 사와 대학 동기 자취방에 갔다. <무한도전>을 보며 아이스크림을 숟가락으로 퍼먹다가 중간에 내가 정신을 잃었다. 아침에 일어나보니 나는 어제 입었던 옷을 그대로 입은 채 방바닥에 반듯하게 누워있었다.

나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대학 동기에게 말했다. “<수호지> 보면 술집에서 심심하면 술에 약 타잖냐. 그거 약 탄 거 아니고 그냥 과음한 거다. 보면 주인공들이 ‘어... 정신은 멀쩡한데 몸이 안 움직이네.. 어...’ 이러잖냐. 멀쩡하긴 뭘 멀쩡해. 술 먹고 맛 가는 놈들이 다 그렇지. 나는 어제 그런 체험을 했다.” 동기는 이렇게 말했다. “너 아직 술이 안 깬 것 같은데?”

중국에 증류주가 소개된 것은 원나라 때라고 알려져 있다. 몽골군이 중동에서 증류법을 배워왔고 거기서 지금 동아시아 증류주의 역사가 시작된다고 한다. 『수호지』의 배경은 송나라 때지만 저작 시기는 원말 명초이기 때문에, 그 당시 사람들의 경험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그 중에는 증류주 먹고 맛이 가는 경험도 있었을 것이다. 발효주를 먹고 맛이 가는 것과 증류주를 먹고 맛이 가는 것은 다른 경험이며 이게 소설에 반영되었을지 모른다. 일어나자마자 이런 생각이 들었던 것은, 동기의 말대로 내가 술이 덜 깼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동기 집에서 나와 곧바로 교회에 갔다. 교회에 가서 예배에 참석했고 기도하며 회개했고 새 사람이 되었다. 새 사람이 되었으니 연말에 또 술을 마실 것이다. 원래 새 술은 새 사람이 먹는 법이다.

(2014.12.16.)


2015/02/06

한국은 왜 일본처럼 번역 사업을 하지 못했나



일본은 메이지유신 때부터 번역 사업을 했기 때문에 일본어로 학문을 할 수 있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다면서, 한국도 일본처럼 했어야 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이건 의지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왜 한국은 일본처럼 할 수 없었나?

번역 사업을 하려면 번역 인력이 있어야 한다. 외국어만 잘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분야를 잘 알면서 외국어를 잘 해야 한다. 번역에는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자기 연구를 미루어두고 번역에 시간을 전념할 수 없다. 연구자 수가 많으면 번역에 전념하는 사람도 생길 수 있고 많은 사람들이 돌아가며 번역해도 되니까 이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겠는데, 한국에서는 어떤 분야든 연구자 수가 충분하지 않다.

연구자 수는 경제 규모와 인구 규모에 비례한다. 중국 정부가 동북공정을 해서 고구려 역사가 쟁점이 되었을 때, 중국은 고구려사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100명이 넘는데 한국은 다섯 명 밖에 안 된다면서 분통을 터뜨리는 사람들이 종종 있었다. 그런데 중국은 한국보다 인구가 25배 정도 많기 때문에 그 정도 연구 인력이 있는 것이 당연하다. 한국의 사학 전공자가 고구려사에 몰리면 다른 분야가 구멍 난다.

일본은 18세기 초반에 이미 인구가 3천만 명이 넘었다. 한국은 20세기가 들어서야 인구가 3천만 명이 넘어서는데, 김구 선생이 “3천만 동포에게 고함”이라고 할 때의 그 3천만은 남북한 합쳤을 때의 숫자다. 한국은 20세기가 되어서야 인구가 3천만 명이 되는데, 분단되어서 그게 반 토막이 난다. 이후로도 반세기 동안은 번역 사업 같은 것을 할 여건이 못 되었고, 지금도 연구자는 모자라다. 정부에서 돈을 아낌없이 지원한다고 해도 연구자가 모자라서 단기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듣기로, 일본에서는 웬만한 외국 서적은 1년 이내에 일본어로 번역된다고 하는데, 현재 한국에서는 연구자들이 1년 내내 번역만 해도 일본처럼 될 수 없다. 그렇다고 연구를 안 할 수 없으니 그냥 원어로 봐야 한다. 여기서 한국과 일본의 길이 달라졌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상황이 이러니, 모국어로 학문을 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은 없다. 통일한다고 해도 북한이 워낙 상태가 메롱이라 한 세대 안에 뭔가 뾰족한 수가 안 나올 것이다. 당분간은 연구자가 이중 언어 사용자 비슷하게 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영어를 아직도 심각하게 못 하는 나는 그냥 가슴이 답답하다.

* 링크: [한국일보] 우리말로 학문하기 / 서화숙

( www.hankookilbo.com/v/196508af110047d99e9d600dea9ef2df )

(2014.12.05.)


2015/02/01

중고 책에 적혀 있던 문구

중고서점에서 『1968 -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이라는 책을 샀다. 68운동을 다룬 책이다. 책 겉표지 안쪽에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

트로츠키의 전기를 읽고

벅차고 착잡한 마음을 가눌 수 없다

이제 그가 그토록 바랬던 유럽의 운동이

그가 죽은 지 28년이 지난 후 어떻게 발현되는지 궁금하다

오래전에 읽었으나 아무 감흥이 없었던 책을

트로로 인해 다시 든다

2010.9.16.

그 밑에는 이런 글도 있었다.

두 달을 넘겨 난 여전히

시험감독 중이다

책 뒷면 안쪽에는 이런 글도 있었다.

역사 속에 있었던

그 많은 사람들은

나머지 인생을 어떻게, 무엇으로 살았을까?

10.9.20.

(2014.12.01.)

2015/01/31

[외국어] 순수 국내파가 영어 실력을 끌어올리는 일곱 가지 방법

  
(1) 좋은 문장을 그냥 외운다
  
- 복잡하지만 좋은 문장, 쓰면 멋있어 보일 것 같은 문장들을 접하면, 그냥 외운다. 
- 메모해놓고 하루에 한 문장씩만 외우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다. 
- 외운 다음, 어떻게든 그 문장을 응용해서 써보면 확실히 머리에 남는다.
  
  
(2) 문법을 이해한 후 해당 예문을 그냥 외운다
  
- 일단 어떠한 문법을 이해했으면 그 다음에는 그냥 해당 예문을 외운다. 
예) 가정법을 이해하면 “If i had had enough money I would have bought a new car.” 같은 문장들을 그냥 외운다. 
- 그러고 나서 그 문장을 응용해서 써본다. 문법을 그냥 외운다.
  
  
(3) 쓴다
  
- 잘 쓰면 잘 말한다. 자기소개 한 쪽을 영어로 써본 사람은 의외로 많지 않다. 
- 태어나서 제대로 된 글을 영어로 쓴 사람도 많지 않다. 
- 글을 쓴 다음 원어민한테 첨삭해달라고 한 후 교정한 문장을 그냥 외운다.
  
  
(4) 받아 쓴다
  
- 듣기가 안 되면 그냥 받아쓰는 것이 제일 좋다. 
- 한 문장을 10분 동안 붙잡고 해도 된다. 그냥 모두 다 받아쓴다. 
- 중요한 건, 토익 리스닝 같은 것만 하면 제자리이고, 시험 문제에 나오는 작위적인 문장들 말고 다큐멘터리나 뉴스에 나오는, 원어민들이 실제로 쓰는 문장을 받아쓰면 실력이 훨씬 빨리 는다는 점이다. 
- 토익, 토플 등 시험에서 쓰이는 문장들은 죽은 글이 많다. 
  
  
(5) 듣기 실력을 늘린다
  
- 한국 사람들이 영어를 못하는 이유는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않아서다. 
- 미국에 살면서 하루에 열두 시간씩 영어에 노출된다면, 미국에 3년 살면 영어에 노출되는 시간은 1만 3천 시간이다. 
- 한국에서 일주일에 매일 두 시간씩 과외를 받으면 3년 동안 영어에 노출되는 시간은 2천 시간이다.(이 2천 시간 중 절반은 한국어로 진행하거나 별 도움도 안 되는 뻔한 문장만 접하기 때문에 실제 노출 시간은 1천 시간 정도로 보면 된다.) 여섯 살부터 스물 살까지 이렇게 공부해도 실제 노출은 5천 시간밖에 안 된다.
- 영어를 잘하려면, 많이 노출시켜야 한다. 듣기를 잘해야 영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어느 정도 듣기가 되면, 출퇴근하거나 밥을 먹거나 모든 순간에 무언가를 듣고 있을 수 있다. 무조건 많이 노출시켜야 한다.
  
  
(6) 단어 학습도 가속도가 붙는다
  
- 한자가 한국어 고급 단어의 뿌리를 이루듯, 라틴어(로망스어 계열)가 영어 고급 단어의 뿌리를 이룬다. 단어공부 많이 하다보면 나중에는 처음 접한 단어도 대충 무슨 뜻인지 알게 된다.
- 단어를 외우는 것뿐만 아니라 문장에 써보고, 구글링 하면서 미묘한 차이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사전에 쓰인 의미와 실제로 쓰이는 의미가 상당히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글 많이 써보면 단어는 쉽게 는다.
  
  
(7) 말해라
  
- 다양한 주제로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항상 좋은 문장을 하나 외워서 그걸 실제로 호시탐탐 기회를 보다가 한 번씩 써보자. 그래야 그 문장이 내 것이 된다.
  
  
* 출처: 순수 국내파로 영어실력 최고로 끌어올리는 법
  
  
(2017.05.14.)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