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19

소개팅 3



소개팅하고 애프터를 해야 한다고 해서 문자를 한 통 보냈는데 반응이 없었다. 내가 별로인가 보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1. 무덤덤형]

“아, 그렇군요.”, “아, 그래요.”, “아, 그러시구나...”

대부분 사람들의 반응이 이렇다.

[2. 주선자형]

“둘 다 좋은 분이고 잘 어울릴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군요. 그런데 다른 사람들도 그런 것 같더라구요. 주선자가 볼 때는 둘이 잘 어울릴 것처럼 보이는데 당사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역시 주선자는 좋은 사람.

[3. 감정이입형]

“(방청객처럼) 어어... 어떡해요...”

당사자인 나는 덤덤한데 나보다 더 안타까워하는 사람들.

[4. 탄식형]

“아하......”, “허어.........”

꽤 친한 사람들 중 일부가 보이는 반응. 매우 안타까운 나머지 차마 말을 잇지 못함.

[5. 분노형]

“아오, 넌 이 새끼야 정말... 아후.... 나중에 얘기하자.”

“형은 진짜... 아우..... 진짜....”

형제 또는 형제처럼 지내는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

[6. 내 마음속의 놀부형]

- 놀부들: “소개팅 어떻게 됐어요?”

- 나: “실패!”

- 놀부들: “앗싸!”, “오예!”

이렇게 가볍게 좋아한 사람도 있었으나 손뼉을 치고 발을 구르며 정말 격렬하게 좋아한 사람도 있었다. 평소 모습과 너무 달라 약간 놀랄 정도였다. 누구나 마음 한구석에는 놀부 한 명씩 있나 보다.

[7. 키다리 아저씨형]

- 키다리 아저씨: “같이 옷 사러 갑시다.”

- 나: “왜요?”

- 키다리 아저씨: “더 이상 이렇게 살면 안 돼요.”

이렇게 말하고 카페로 이동해서 비비크림 사용법을 보여준 후 쓰던 비비크림, 썬크림, 미스트를 나에게 주었다. 커피 한 잔을 마시고 술집으로 자리를 옮겨 맥주를 마셨다.

- 나: “그런데 저한테 왜 이런 호의를 베푸는 건가요?”

- 키다리 아저씨: “저는 단지 ◯◯씨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2013.10.1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