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전곡항과 궁평항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전곡항과 궁평항에 다녀왔다. 전곡항은 아마도 처음 간 것 같고(어렸을 때 갔을 수도 있으나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궁평항은 여러 번 가기는 했는데 최근 몇 년 간 가지 않았다. 몇 년 사이에 꽤 많이 바뀌었다.
전곡항 근처에 있는 횟집에서 점심을 먹은 뒤, 고렴산 수렴공원 둘레길을 걸었다. 얕은 언덕 만든 둘레길인데 옆에 바다가 보였다. 둘레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해랑 해상케이블카가 있었다. 케이블카는 타지 않았고 케이블카를 타는 건물에 있는 카페에서 커피만 마셨다.
카페에서 유리창 너머로 바다를 보면서 한국이 선진국이 다 되었나 보다 하고 생각했다. 내가 전곡항을 처음 왔기 때문에 그 전에 어땠는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어차피 어렸을 때 보았던 경기 남부의 바다라는 것은 다 거기서 거기였기 때문에 해상케이블카가 생기기 전에 어떠했을지는 대충 짐작할 수 있다. 바다가 있기는 있는데 물이 맑은 것도 아니고 경치가 아름다운 것도 아니고 아저씨들이 횟집에서 여기가 동해인지 서해인지 헷갈릴 정도로 술을 진탕 먹고 가는 곳이 내가 어렸을 때 보았던 바닷가의 모습이다. 그랬을 곳이 이렇게 근사한 관광지가 되었다니 신기한 일이다. 아직 마흔이 되지 않은 내가 어렸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신기해할 정도면, 도대체 노인들은 얼마나 신기해할까? 노인들이 박정희 덕에 잘 먹고 잘 살게 되었다고 믿고 길거리에서 태극기를 흔든다고 해도, 그렇게까지 비난하지는 말아야겠다.
커피를 다 마시고 나서 궁평항에 갔다. 궁평항 방파제에서 해수욕장으로 이어지는 인도교가 있었다. 비교적 최근에 생긴 것이다. 바닷바람을 맞으며 다리를 건너 해변을 지나 해송 군락까지 갔다. 더 가면 유원지 공사장이 있다고 하는데 거기까지는 가지 않았다. 몇 년 전에 왔을 때는 해송이 있고 모래밭이 있고 그걸로 땡이었다. 그 때는 바다가 좋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달랐다. 해변이 약간 정돈되고 산책로가 생긴 것만으로도 느낌이 전혀 달랐다.
조만간 시간이 되면 제부도에 가봐야겠다. 예전에 갔을 때는 딱히 인상적인 것을 못 보았던 것 같은데 지금 가면 뭔가 다른 것이 있을 것 같다.
(2023.01.30.)
2023/03/28
2023/03/27
[경제학의 철학] Maziarz (2020), Ch 2 “Regularities” 요약 정리 (미완성)
[ Mariusz Maziarz (2020), The Philosophy of Causality in Economics: Causal Inferences and Policy Proposals (Routledge), pp. 11-51. ]
2.1 Reducing causality to constant conjunctions
2.1.1 From constant conjunctions to the regularity view of laws
2.1.2 Further developments
2.1.3 Criticism and rejection of the regularity view
2.1.4 The regularity approach in the philosophy of economics
2.2 Establishing constant regularities
2.2.1 Econometric research
2.2.2 Cliometrics
2.2.3 Other methods
2.3 Policymaking on the basis of regularities
2.3.1 Cliometric results and (failed) interventions
2.3.2 Is theory-driven econometrics more reliable?
2.4 You shall not translate causal claims
2.1 Reducing causality to constant conjunctions
- '인과성에 대한 규칙성 접근'은 흄까지 거슬러 올라감
- 네 가지 유형
(1) 인과성은 두 사건의 항상적 결합으로 이해됨
(2) '필연적 연결'을 예화하는 경험적 규칙성으로 인과성을 정의함.
(3) 원인은 차이를 만드는 요소이거나 INUS 조건들로 정의됨/
(4) 논리실증주의적 환원주의에 따르면, 자연 법칙에서 appearances를 넘어서는 것은 없음.
- 구성
2.1절: 네 가지가 '규칙성 접근'에 속한다
2.2절: 어떻게 경제학자들이 경험적 규칙성들을 포괄하지 않았는지
2.3절: 정책결정에 이러한 증거들을 어떻게 사용할지
2.1.1 From constant conjunctions to the regularity view of laws
2.1.2 Further developments
2.1.3 Criticism and rejection of the regularity view
2.1.4 The regularity approach in the philosophy of economics
2.2 Establishing constant regularities
2.2.1 Econometric research
2.2.2 Cliometrics
2.2.3 Other methods
2.3 Policymaking on the basis of regularities
2.3.1 Cliometric results and (failed) interventions
2.3.2 Is theory-driven econometrics more reliable?
2.4 You shall not translate causal claims
(2023.11.23.)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 성한아・홍성욱 (2012), 「개인과 조직 사이에서: 챌린저호 폭발사고에 대한 재해석과 STS-공학윤리의 접점 찾기」,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53-60쪽. ] I. 서론 II. 일상적 실행의 공학 윤리 III. 개인과...
-
어머니의 사랑이나 헌신을 언급할 때 흔히 나오는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사랑에 눈 먼 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연인에게 변하지 않을 사랑을 고백했고 연인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의 어머니의 심장을 가져오라고 했습니다....
-
올해도 배나무에 꽃이 피었다. 죽지 않고 살아서 올해도 꽃을 피웠다. 담장 안에 있던 배나무를 옮겨심은 것은 작년 2월이다. 건설업체가 우리집에 민사소송 관련하여 가처분신청을 걸었을 때 내가 사유지 경계에 옮겨 심은 나무가 50그루 정도 된다.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 Ronald N. Giere, John Bickle, and Robert Mauldin (2005),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5th Edition (Cengage Learning) Ronal...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잘못된 인용은 논문을 망친다. 인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해야 논문이 제 격을 갖춘다. 필요한 인용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은 인용도 좋지 않다. ■ 지나친 인용은 깊이 있는 분석을 방해한다 - 인용을 얼마나 풍부하게 해야 하는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