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8
[강연] 자현스님
2022/11/27
[경제학의 철학] Hoover (2011), “Counterfactuals and causal structure” 요약 정리 (미완성)
[ Kevin D. Hoover (2011), “Counterfactuals and causal structure”, in P. Illari et al. (eds.)(2011), Causality in the Sci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338-360. ]
16.1 Introduction
16.2 Woodward’s manipulation account
16.3 The structural account
16.3.1 Simon on causal order
16.3.2 Modularity and difference-making
16.3.3 Counterfactual analysis
16.4 Counterfactuals and policy analysis
16.4.1 Impostor counterfactuals
16.4.2 An illustration from monetary economics
16.4.3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16.4.4 Epistemic opportunism
16.1 Introduction
338
인과성은 반-사실적 조건문에 관한 분석과 밀접히 관련됨.
338-339
루이스
우드워드도 원인을 반-사실적으로 정의함.
카트라이트는 이를 공격함
339
우드워드의 설명은 Peter Spirtes, Clark Glymour and Richard Scheines (2001) and Judea Pearl (2000)에서 도출함
16.2 Woodward’s manipulation account
340-341
우드워드의 설명은 루이스의 설명과 근본적으로 다름
(DC)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X to be a direct cause of Y with respect to some variable set V is that there be a possible intervention on X that will change Y (or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Y) when all other variables in V besides X and Y are held fixed at some value by interventions. (Woodward 2003, p. 55)
Woodward (2003, p. 98) intervention variable (I) for a variable X with respect to a variable Y은 네 가지 기준
1. I causes X;
2. I acts as a switch so that when it takes the right values it can eliminate the effect of all other variables in determining X;
3. any causal path from I to Y goes through X;
4. I is independent of any variable Z that causes Y otherwise than through X.
341
우드워드의 직접적 인과 정의에서 반-사실성의 역할은 두 가지
16.3 The structural account
343
구조적 설명은 Spirtes et al과 Pearl의 그래프-이론적 분석과 관련됨.
16.3.1 Simon on causal order
16.3.2 Modularity and difference-making
16.3.3 Counterfactual analysis
16.4 Counterfactuals and policy analysis
16.4.1 Impostor counterfactuals
16.4.2 An illustration from monetary economics
353-354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s
354
루카스 비판
357
경제학 등에서의 인과적 지식에 대한 카트라이트의 회의주의
16.4.3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16.4.4 Epistemic opportunism
(2023.04.29.)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잘못된 인용은 논문을 망친다. 인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해야 논문이 제 격을 갖춘다. 필요한 인용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은 인용도 좋지 않다. ■ 지나친 인용은 깊이 있는 분석을 방해한다 - 인용을 얼마나 풍부하게 해야 하는지는 ...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