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 Bano & Romina Power - Felicità [이용의 <사랑 행복 그리고 이별>의 원곡]
( www.youtube.com/watch?v=Aj03puMsuD0 )
(2024.09.03.)
Al Bano & Romina Power - Felicità [이용의 <사랑 행복 그리고 이별>의 원곡]
( www.youtube.com/watch?v=Aj03puMsuD0 )
(2024.09.03.)
원래 우리 집은 한옥인데 살기 불편해서 내가 열일곱 살 때쯤에 아버지가 집을 고쳤다. 평온하게 집을 고친 것은 아니었다. 12월에 땅이 팔리자 아버지는 갑자기 돈이 생겼다며 집을 고치겠다고 했다. 당연히 다른 식구들은 모두 반대했고, 학교 갔다 돌아오니 집의 흙벽이 없어지고 목조 기둥만 남아 있었다. 집을 고칠 수밖에 없게끔 아버지가 그렇게 만들어놓은 것이었다. 그렇게 집을 고치기 시작해서 그 다음 해 3월에 개축이 끝났다. 겨울에 시작해서 봄에 끝날 개축이면 그냥 따뜻한 봄에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아버지는 한 달 정도면 개축이 다 끝날 줄 알았다고 했다.
개축이 끝난 후에도 아버지는 집에 희한한 짓을 많이 했다. 그러한 흔적 중 최근까지 남은 것이 화장실 벽에 뚫은 구멍이다. 환풍기를 설치하겠다며 벽에 구멍을 뚫은 것이다. 화장실 환풍은 중요하기는 한데, 화장실에는 창문이 있어서 별도의 환풍기를 설치할 필요까지는 없었다. 환풍기를 달았다면 또 모르겠는데, 구멍을 뚫어놓고는 환풍기도 설치하지 않았다. 돈 들여 사람 불러서 벽만 뚫은 것이다. 구멍을 제대로 메운 것도 아니었다. 구멍이 관보다 크니 관을 살짝 쪼개고 관 속에 수건 같은 것을 잔뜩 넣어서 대충 구멍을 메웠다. 그렇게 화장실 세 곳에 구멍이 뚫린 채 20여 년이 지났다.
내가 집에서 다른 시멘트 작업을 하다가 화장실 벽에 뚫린 구멍도 메우기로 마음먹었다. 화장실에 오래 있으면 똥 냄새도 못 맡는 법이라, 정신 나간 짓을 한 결과물을 20여 년을 보니 그냥 그런가보다 싶었는데, 어느 날 보니 이런 미친 짓이 없는 것이었다.
폐-콘크리트를 작게 부순 다음 시멘트를 바르면서 콘크리트 조각을 밀어 넣었다. 벽돌을 쌓고 미장을 하는 것도 아니고 작은 구멍에 시멘트를 채워 넣으려니 시멘트가 구멍에 잘 들어가지도 않고 기껏 집어넣어도 쉽게 흘러나왔다. 그래도 대강 하기는 했다. 시멘트로만 구멍을 메우면 밖에서 보기에 예쁘지 않을 것 같아서 빨간 벽돌 조각도 주워와서 구멍을 메우는 데 활용했다. 그렇게 20여 년 만에 화장실 구멍을 메웠다.
(2024.06.05.)
어느 국립대에 교수로 임용된 대학원 선배를 만나 점심식사를 했다. 학위 취득 이후 교수로 임용되기까지 어떤 준비를 했는지 들을 수 있었다.
선배는 수요자 위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구직자들이 간과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했다. 박사학위자들 대다수는 취업 준비를 해본 적 없이 곧바로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요자 위주의 관점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요자 위주의 관점이라는 게 누구나 아는 것 같고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경우에 따라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그 선배는 해당 대학의 총장이 어떤 것을 요구할지 알기 위해 유튜브 영상까지 찾아보았고 평소 총장이 “지역에 봉사하는 대학이 아닌, 지역과 한 몸이 되는 대학”을 강조했음을 파악했다고 한다.
집으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동료 대학원생과 임용과 관련된 이야기를 했다. 동료 대학원생은 과학철학 석사수료생인 목사님인데 최근 어느 국립대 연구교수가 되었다. 과학철학으로는 석사수료생이지만 신학박사라서 연구교수가 될 수 있었다. 나도 나중에 임용 준비를 할 때 해당 대학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고 그에 맞게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한 가지가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도대체 지역과 한 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기술학 전공자라면, 비-인간 행위자와 결합되어 이전과 다른 존재, 즉 지역과 한 몸이 된 인간이 되었다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목포에는 갯벌이 많으니까 갯벌에 몸을 반쯤 담그고 ‘갯벌 인간’이라고 한다면 어떨까? 그런데 왜 갯벌에 몸을 담가야 하나? 옆에서 목사님이 말했다. “갯벌이 의무통과점(obligatory passage point)이라고 하면 되죠.”
철학에서는 쩨쩨하게 물건 하나 들고 다른 존재가 되었다고 우기지 않는다. 정말로 다른 존재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데이비슨의 늪지인간(swampman)을 보자. 어느 날 갈대가 우거진 늪지의 나무 위에 벼락이 떨어져 엄청난 전류가 흐르고, 나무 옆에 서 있던 나의 몸은 분자 단위로 분해되고 나무의 분자들이 절묘하게 결합하여 물리적・기능적인 면에서 나와 완전히 똑같은 늪지인간이 생겨났다고 해 보자. 늪지인간은 나와 수적으로 구분될 뿐만 아니라, 그 구성분자들도 수적으로 다른 요소들로 이루어졌지만, 현재의 인과적・성향적 속성의 차원에서 이 늪지인간은 나와 별반 차이가 없다. 여기서 약간만 변형하면 갯벌인간(mudflatman)이 될 것이다.
그런데 총장님이 원하는 지역인간은 갯벌인간과 달리, 나와 수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면서 물리적・기능적인 면에서 기존의 구직자들보다 나으면서 인과적・성향적 속성의 차원에서 대학과 지역의 이해관계에 부합해야 할 것이다. 어떻게 해야 지역인간이 될 수 있을까? 나도 하루빨리 학위논문을 쓰고 지역인간이 되고 싶다.
(2024.06.01.)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