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2

[과학사] A.M. Diamond Jr. (1988), “The Polywater Episode and the Appraisal of Theories” 요약 정리 (미완성)



[ Arthur M. Diamond Jr. (1988), “The Polywater Episode and the Appraisal of Theories”, in A. Donovan et al. (eds)(1988), Scrutinizing Science: Empirical Studies of Scientific Chan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81-198. ]

1. Background and Data

2. Relevance of Polywater to the Thesis Clusters

3. Thesis (T2.8)

4. Theses (T2.5) and (T2.6)

5. Thesis (GA4.5)

1. Background and Data

[pp. 181-182]

- 소련의 학자 페디야킨(Fedyakin)이 1961년 중합수(Polywater)를 발견함.

• 중합수는 아주 작은 모세관에 넣고 압축하면, 일반적인 물보다 끓는점이 높고 어는점이 낮은 물

- 소련의 저명한 물리화학자 보리스 데랴긴(Boris Deryagin)의 강연으로 미국과 영국에도 알려짐

• 1973년 데랴긴이 중합수 현상이 물에 포함된 불순물 때문에 나타났을 것이라고 결론 내릴 때까지 중합수를 주제로 한 논문은 400건 이상 출판됨.

[pp. 182-183]

- 문헌 자료 수집

• 112건의 출판물 대상으로 찬성/반대/중립으로 구분

• 찬성: 중화수의 이상한 현상들은 일반 물과 다른 구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 반대: 중화수의 이상한 현상들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 때문에 발생한다.

• 찬성 66건, 반대 42건, 중립 4건

- 연구자 분류

• 찬성 문헌들을 썼으면 찬성 연구자. 이후 반대 문헌을 써도 초기에 찬성 문헌을 썼으면 찬성 연구자로 분류함.

• 반대 문헌들을 썼으면 반대 연구자

• 어느 쪽 문헌도 쓰지 않았으면 중립

2. Relevance of Polywater to the Thesis Clusters

3. Thesis (T2.8)

4. Theses (T2.5) and (T2.6)

5. Thesis (GA4.5)



[p. 195]

- 1968년 기준으로 생물학적 연령과 전문가적 연령(Ph. D. 이후 경력)을 분류함.

- (1), (3), (5): 생물학적 연령과 중합수에 비판적인 것은 음의 상관관계. 나이 든 학자일수록 중합수에 더 우호적

- (2), (4), (6): 경력과 중합수에 비판적인 것은 양의 상관. 학자로서 경력이 길수록 중합수에 더 비판적

- 그러나 상관도가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 나이/경력이 새로운 지도 가정의 수용과 큰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하기 어려움.

(2018.12.05.)


2024/04/01

[심리철학] Jaegwon Kim (2011), Ch 4 “Mind as the Brain: The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요약 정리 (미완성)



[ Jaegwon Kim (2011), Philosophy of Mind, 3rd Edition (Routledge), pp. 91-.

김재권, 「제4장. 두뇌로서의 마음: 심리-신경 동일론」, 『심리철학』, 권홍우・원치욱・이선형 옮김 (필로소픽, 2023), 151-쪽. ]

4.1 마음과 두뇌의 상관관계

(Mind-Brain Correlations)

4.2 마음-두뇌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Making Sense of Mind-Brain Correlations)

4.3 단순성으로부터의 논증

(The Argument from Simplicity)

4.4 심리-신경 동일성에 관한 설명 논증

(Explanatory Arguments for Psychoneural Identity)

4.5 심성 인과로부터의 논증

(An Argument from Mental Causation)

4.6 심리-신경 동일론에 대한 반론들

(Against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4.7 환원적 물리주의와 비환원적 물리주의

(Reductive and Nonreductive Physicalism)

4.1 마음과 두뇌의 상관관계

(Mind-Brain Correlations)

4.2 마음-두뇌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Making Sense of Mind-Brain Correlations)

4.3 단순성으로부터의 논증

(The Argument from Simplicity)

4.4 심리-신경 동일성에 관한 설명 논증

(Explanatory Arguments for Psychoneural Identity)

4.5 심성 인과로부터의 논증

(An Argument from Mental Causation)

4.6 심리-신경 동일론에 대한 반론들

(Against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4.7 환원적 물리주의와 비환원적 물리주의

(Reductive and Nonreductive Physicalism)

(2024.10.06.)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