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03

[생물학의 철학] M. Weber (2005), Ch 5 “Experimental Systems: A Life of Their Own?” 요약 정리 (미완성)



[ Marcel Weber (2005), Philosophy of Experimental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7-153. ]

5.1 Experimental Systems as Functional Units of Research

5.2 Ox-Phos Revisited

5.3 The Role of Epistemic Norms

5.4 Local Settings versus Universal Standards

5.1 Experimental Systems as Functional Units of Research

p.133

자멕닉(Paul Zamecnik)이 한 일

Rheinberger가 단백질을 합성하는 발달을 기술함. 이때의 결론

결론1: 실험 체계는 1940년대의 암 연구로부터 발전되어서 나옴

133-134

결론2: 실험 체계는 disciplinary boundaries로 이동함

p.134

결론3: 각 기술 혁신은 시험관 시스템(vitro system)의 발전에 결정적

p.134

결론4:

134-135

결론5: 이론의 역할

Kay는 이론적 작업의 일부는 정보에 대한 수리적 이론에 의존했다고 주장함

그러나 Rheinberger은, 이러한 이론적 작업이 자멕닉과 다른 실험실의 작업과 독립적으로 발달했다고 설명함

p.135

“coding”, “message”, “template” 등 정보와 관련된 이론적 용어는 단백질 합성을 이해하는 도구

그러나 시험관 시스템에서, 이러한 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도록 생산된 것들은 정보 이론적 개념의 도움 없이 존재하게 된 것

p.135

요약하자면, Rheinberger가 그리는 실험 생물학의 연구 과정은 전통적인 철학적 설명과 다름

5.2 Ox-Phos Revisited

5.3 The Role of Epistemic Norms

5.4 Local Settings versus Universal Standards

(2017.09.23.)


2023/08/02

정치적 올바름 유행에 편승해서 작품을 만든다면



디즈니의 <인어공주> 실사판을 두고 말이 많다. 요새 디즈니가 PC(정치적 올바름) 가지고 어쩐다더라, 애초부터 그냥 못 만들 예정이었는데 관객들이 욕할까봐 디즈니에서 PC로 선수 쳐서 욕하는 관객들을 인종주의자로 만든다더라 어쩐다더라 하는 이야기도 들었다.

어차피 나는 <인어공주>를 볼 생각도 없고 디즈니 주식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 디즈니가 PC로 염병을 하든 말든 내가 알 바는 아닌데, 그래도 소수자를 존중하면 존중하는 거지 “우리가 이렇게 정치적으로 올바르다!”고 하며 몸부림칠 필요까지 있나 싶다. 애초에 <인어공주> 이야기 자체가 왕자가 인어공주와 말 한 마디 못 하고 얼굴만 보고 반해야 하는 건데 과연 <인어공주> 실사판의 여주인공이 그에 적합한가? 심지어 PC 논란이 있는 작품마다 유색 인종이 기존 작품보다 더 못 생기게 나온다는 점에서 이게 PC가 맞는지, 오히려 인종 차별이 투영된 게 아닌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그러든가 말든가 내가 제작자라면, PC가 광풍이든 말든 여기에 편승해서 한몫 잡으려고 할 것 같다. <인어공주>에서 주인공 인어공주를 백인 여성에서 흑인 여성으로 바꾼 것처럼 <가루지기>에서 주인공 변강쇠를 한국인 남성에서 흑인 남성으로 바꾸는 것이다. HBO 드라마 <가루지기> 어떤가?

한국 고전에서 흑인 남성이 주인공이라니 뜬금없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몇 가지 설정만 추가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에서 흑인 용병을 데려왔는데(심지어 이건 역사적 사실이다), 이 용병이 본국으로 안 돌아가고 조선에 정착했고 당시 조선인보다 우월한 신체 조건을 이용하여 여기저기 농락하고 돌아다녔다고 해보자. 여기서 우월한 신체 조건이란 꼭 인종적인 선입견이 투영된 건 아니고 용병이니까 체격이 건장하고 운동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 정도로 해두자. 어쨌든 이건 인어공주의 자매들이 모두 다른 인종인 것보다 훨씬 그럴듯할 뿐 아니라 건전한 설정이다.

(2023.06.02.)


2023/07/31

자식 사랑과 효심

화천이가 낳은 새끼가 다섯 마리인 줄 알았는데 여섯 마리였다. 여섯 마리나 낳고는 없어졌다. 자기 발로 집을 나간 건지, 다 자란 새끼들 등쌀을 못 이겨 쫓겨난 건지, 동네 산책하다가 사고로 죽은 건지 모르겠다.

화천이가 이전에 낳은 새끼 중 한 마리는 다 자랐고 두 마리는 거의 다 자랐다. 다 자란 하얀놈과 거의 다 자란 까만놈이 새끼 여섯 마리에게 젖을 먹인다. 둘 다 새끼를 밴 것 같지는 않은데도 그런다.

어느 날은 창고에서 삐약삐약 하고 새끼 고양이가 우는 소리가 났다. 하얀 놈인지 까만 놈인지 새끼 고양이 한 마리를 창고 구석에 있는 상자에 물어다 놓은 것이었다. 나는 새끼 고양이를 원래 있던 현관문 앞에 데려다 놓았다. 얼마 이따가 창고에서 또 삐약 삐약 하는 소리가 났다. 나는 또 새끼 고양이를 현관문 앞에 데려다 놓았다. 그렇게 하루에도 몇 번이나 새끼 고양이를 창고에 데려갔다. 누가 새끼 고양이를 옮기나 보니 하얀 놈도 옮겼고 까만 놈도 옮겼다. 하얀 놈이나 까만 놈이나 자기가 어미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예전에 규장각에서 강연을 들었을 때 주자학 전공 선생님이 청중들에게 왜 유교에서는 자식을 사랑하라고는 하지 않으면서 부모한테 효도하라고 강조하는지 아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그 선생님의 대답은 “자식 사랑은 본능이라서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잘 하는데 효도는 본능이 아니라서 시시때때로 강조해도 잘 안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화천이의 다 자란 새끼들이 하는 것을 보니 몇 년 전에 들었던 것이 떠올랐다.

어머니는 화천이의 다 자란 새끼들을 보며 “화천이를 왜 쫓아냈어, 이 새끼들아! 나가서 화천이 찾아와!”라고 하셨다. 다 자란 새끼들은 사람이 하는 말은 못 알아듣고 화천이가 낳은 새끼들만 끌어안고 있었다.

(2023.05.31.)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