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30

『쿤의 주제들: 비판과 대응』 출판의 뒷이야기



『쿤의 주제들: 비판과 대응』은 서울대 철학과 교수인 조인래 선생님이 편역한 책이다. 쿤의 작업과 관련된 논문을 번역한 국내에 몇 안 되는 책으로, 이화여대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그런데 여기에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 조인래 선생님은 이화여대에서 근무한 적이 없는데 그 책은 왜 이화여대출판부에서 출판되었을까? 책의 머리말에는 이화여대 철학과 선생님의 제안으로 책이 시작되었다고만 간략하게 써있다. 내가 책의 출판에 관한 자세한 내막을 알게 된 것은 조인래 선생님 정년퇴임 강연 자리였다.

두산인문관에서 조인래 선생님의 정년퇴임 강연 및 퇴임식이 끝난 후 호암교수회관에서 저녁식사 자리가 있었다. 식사에 앞서 조인래 선생님과 인연이 깊은 선생님들이 돌아가면서 한 마디씩 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 때 책의 머리말에 언급된 이화여대 철학과 선생님도 참석하셨다. 그 선생님은 1980년대만 해도 한국에서 쿤에 관한 연구가 잘 되어있지 않았다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 그 당시 제가 어디에 쿤을 비판하는 글을 쓴 적이 있었어요. 그 이후에 어떤 자리에서 조인래 선생님을 만났는데 선생님이 ‘정 선생님, 그거 틀렸어요’라고 하는 거예요. 내가 쿤을 잘못 이해한 거예요. 그래서 저는 ‘아, 그래요? 그럼 어떡하죠?’라고 했어요. 그렇게 제가 조인래 선생님한테 쿤을 연구한 논문을 모아서 책을 내자고 제안했는데, 당시에 쿤을 다룬 논문이 국내에 많지 않았고 또 수준이 고르지 않다고 생각해서 쿤에 대한 외국 논문을 번역해서 책으로 내기로 했고 [...]”


그렇게 그 선생님이 주선해서 책을 이화여대출판부에서 출판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나는 그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약간 놀랐다. 웬만한 사람은 자기 주장이 틀렸음을 알게 되면 숨기거나 뭉개려고 한다. 그런데 그 선생님은 자기 주장이 틀렸음을 지적한 사람에게 쿤 연구서를 낼 것을 제안했을 뿐 아니라, 그 당시에 자기가 쿤을 잘못 이해했다고 담담히 말씀하셨다. 당시에 한국의 쿤 연구 수준이 높지 않았다고만 말했어도 되는데도 그런 것이다. 그 선생님이 인격자라는 이야기는 여러 군데에서 들은 적이 있었다.

그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은 뒤 『쿤의 주제들』을 보니 감회가 새로웠다. 그 전에는 번역된 책을 읽으면서 예전 선생님들의 수고에 빚지고 있다고만 생각했는데, 그 선생님의 말씀을 들은 다음에는 그 책을 보면서 지적 정직성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었다.

(2020.01.30.)


2020/03/29

전략적 측면에서 본 이문열 삼국지



『삼국지연의』에는 독화살에 맞은 관우의 팔을 화타가 치료해주는 이야기가 나온다. 살을 가르고 뼈를 깎는 수술을 받으면서도 관우는 태연하게 마량과 바둑을 둔다. 『이문열 평역 삼국지』를 쓴 이문열은 이 부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

그런데 흥을 깨는 일이 될는지 모르지만, 여기서 다시 한 번 들춰보고 싶은 것은 정사(正史)이다. 진수의 삼국지에는 「화타전」에도 「관우전」에도 이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다. 「관우전」에 빠진 것은 별로 역사적 가치가 없어서라면 이해가 되지만, 대단찮은 치료 얘기까지도 상세히 적힌 「화타전」에까지 빠진 것은 아무래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삼국지 위지(魏志)의 여러 전(傳) 중에서 무제(조조), 문제(조비)의 기(記)와 원소, 원술 등 몇 사람의 전을 빼면 가장 긴 게 화타전이고, 화타는 거의 의자(醫子)라기보다는 방술사(方術士)에 가까울 만큼 신비하게 기록되어 있다. 『연의』의 저자가 민간의 속설이나 이제는 전해지지 않는 어떤 기록에서 그 이야기를 옮겨 적었다고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나, 혹 그 신비한 화타를 빌려 관공을 높이려고 꾸며 넣은 얘기는 아닌지.(8권, 161-163쪽)

여기서 이문열이 실수한 부분이 있다. 삼국지 촉서 「관우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관우는 일찍이 날아오는 화살에 왼쪽 팔이 꿰뚫린 적이 있었다. 나중에 상처는 다 나았지만 구름이 잔뜩 낀 날이나 비오는 날이면 으레 뼈에 통증이 왔다. 의원이 말했다.

“화살촉에 독이 있었는데 그 독이 뼛속으로 들어갔습니다. 팔을 찢어서 뼛속의 독소를 없애면 통증이 사라질 것입니다.”

관우는 곧 팔을 펴고 의원에게 째도록 했다. 그때 관우는 마침 장수들을 초청하여 연회를 열어 서로 마주했다. 팔에서 나는 피가 흘러 떨어져 그릇에 가득했지만 관우는 구운 고기를 자르고 술을 마시며 평소처럼 웃으며 말하였다.(촉서, 146쪽)

번성에서 조인과 싸울 때의 있었던 일이 아니고 화타가 치료한 것도 아니지만, 어쨌든 관우가 팔 수술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심지어 장수들에게 구운 고기를 잘라주기도 했다.

이문열은 왜 「관우전」에 나오는 수술 장면을 보지 못했을까? 일단 분량이 많아서는 아니다. 이문열의 말과는 달리 「화타전」은 『삼국지』의 다른 전보다 분량이 많은 편은 아니며, 「관우전」은 「화타전」보다도 분량이 적다. 관우가 수술 받는 내용은 배송지 주에 나오는 것도 아니고 진수가 서술한 촉서에 나온다. 이문열이 자기가 한 말과 달리 실제로는 진수의 『삼국지』를 제대로 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당시 한국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문열이 진수의 『삼국지』를 제대로 읽지 않았다고 비판하기도 어렵다. 이문열 삼국지가 나온 것이 1988년인데 내가 알기로 진수의 『삼국지』가 처음 번역된 것은 1994년이다. 리동혁의 『삼국지가 울고 있네』에서 지적하는 이문열 삼국지의 오역을 본다면, 당시 이문열은 『삼국지』 원문을 읽을 정도의 한문 실력을 갖추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문열의 한문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이는 단순히 작가로서 게으른 것이라고 치부할 수도 없는 문제다. 한문을 웬만큼 잘 하지 않고서는 번역서 없이 혼자 힘으로 역사서를 읽기 힘들다. 번역서 본문에 그렇게 많은 주석이 달려있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이문열이 나본이나 모본을 정통으로 번역하거나 진수의 삼국지에 기반하여 새롭게 창작하는 것이 아니라 ‘평역’이라는 제3의 길을 선택한 것은, 꽤나 전략적인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번역과 완전 창작 중 어느 길로도 가기 힘들었던 이문열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기에는 평역이라는 형태가 가장 좋은 선택지였을 것이다. 이문열 삼국지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것은 일종의 전략의 승리라고도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나관중, 『삼국지』, 이문열 평역, 개정판 (민음사, 2002).

진수, 『삼국지 촉서』, 김원중 옮김 (민음사, 2007).

(2020.01.29.)


2020/03/28

세책소설 낙서로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엄마 욕



뉴스나 신문에서는 무슨 일만 터지면 대단히 새로운 현상인 것처럼 호들갑을 떨지만, 자료를 찾아보면 과거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던 경우가 많다. 어느 신문에서는 아이들이 온라인상에서 엄마 욕하는 것을 전대미문의 해괴한 일인 것처럼 보도하기도 했는데,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 후기에도 사람들은 엄마 욕을 했다.

국문학에서는 낙서도 연구한다. 낙서를 분석하다 보면 당대의 시대상 같은 것을 엿볼 수도 있다고 한다. 조선 후기 낙서가 많이 남아 있는 것 중 하나는 ‘세책소설’이라고 불리는 소설책이다. 세책소설은 도서 대여점인 세책집에서 빌려주는 소설책이다.

17세기 말부터 조선에서 소설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가까운 사람에게 필사본을 빌리는 방식으로 소설이 유통되다가, 소설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18세기 초에는 돈을 받고 책을 빌려주는 세책집이 서울 중심부에 등장하기 시작했고, 18세기 중반에는 서울 부녀자들 사이에서 소설책 빌려보는 것이 유행했다. 18세기 세책집에서는 세책소설의 훼손을 막고자 패물이나 솥 등을 담보로 잡고 책을 대여했다.

19세기 말이 되자 기존의 세책집은 사양 산업이 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세책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세책집은 서울 중심부에 위치하고 깨끗이 필사한 필사본이나 잘 찍은 목판본을 대여했다. 그와 달리, 새로운 세책집은 조악한 필사본과 저질의 목판본과 활자본을 조금 갖춘 영세한 가게였는데, 영세한 대신 기존의 세책집과 달리 서울 변두리와 지방에까지 퍼져나갔다. 세책소설의 낙서는 세책집이 영세화하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대출 도서 관리가 잘 안 되면서 낙서가 늘어난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낙서 내용의 대부분이 책 주인 욕이고 가끔씩 책 주인 엄마 욕도 같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가와이 히로타미가 수집한 가와이 문고에 있는 『전운치전』에는 이런 낙서가 있다.

책 주인 보아라. 네 어미와 붙을 놈아, 이것이 글씨냐 무엇이냐. 시라는 식초는 아니 시고 시지 말라는 식초 병마개가 시구나. 어찌 이리 오자 낙자가 많은지 볼 수가 없으니, 보지도 못하고 천금 같은 돈을 주니, 어찌 원통치 아니랴. 그러나 오늘 밤에 네 어미가 나를 오라고 했다. (정병설, 159쪽)

돈 주고 책을 빌렸는데 책 상태가 좋지 않아 책을 못 읽고 돈을 버리게 되었다면서 책 주인과 그의 엄마를 욕하는 것이다. 가와이 문고에 있는 세책소설은 실제로도 책 상태가 안 좋다고 한다. 그런데 책 상태가 좋은 소설에도 낙서는 빈번히 나타난다. 서울대 규장각에서 소장한 『화충선생전』 끝 장에는 책 주인의 당부 문구가 적혀 있다.

말이 비록 허무맹랑하나, 또 장난꾼이 보시기는 우스운 말이 많사오나, 착실히 보시고 낙장은 마옵소서 (정병설, 161쪽)

그런데 당부 문구 바로 밑에 저질 낙서가 있다.

책 주인 보라. 그간 평안하냐. 나는 잘 있다. 네 어미도 잘 있느냐. 들으니 네 어미가 씹에서 피 난다더니, 잊지 않았느냐. 전일 네 어미가 내게 오라 하거늘 일이 있어 한 번도 가지 못하였더니 금일은 부득이 가고자 하노라. 네 어미에게 요깃거리나 잘 차려 놓아라 일어라. 방이 찰 듯하니 불이나 뜨뜻이 때라 일러라. 임진년 7일 아무개 쓰다.(정병설, 162쪽)

글씨가 나쁘지 않은 책에도 낙서하는 것이 유행이 되었던 것이다. 세책소설의 저질 낙서는 조선시대 사람들도 욕을 해야만 하는 이유가 있어서 욕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욕하고 싶어서 욕했음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에도 저질 낙서가 있었다는 것을 무엇을 시사하는가? 조선시대에도 그랬으니, 오늘날 어린 아이들이 온라인상에서 남의 엄마 욕하고 자기 엄마 욕하고 게임에서 상대방의 부모 안부 묻고 상대방 어머니가 현모양처임에 감탄하는 것도 괜찮은 일이라는 것인가? 아니다. 오늘날 사람들이 나쁘다면 옛날 사람들보다 특별히 더 나쁜 것이 아니라 옛날 사람들이 나빴던 것과 비슷한 정도로 나쁘다는 것이다.

근대인이 전-근대인보다 타락했고, 근대성이 그 타락의 원인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 모양이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그들은 무엇을 근거로 그렇게 믿는가?

* 참고 문헌

정병설, 『조선의 음담패설: 기이재상담 읽기』, 예옥, 2010.

(2020.01.28.)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