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9/11
[경제학의 철학] Hoover (2013), “Identity, Structure, and Causal Representation in Scientific Models” 요약 정리 (미완성)
2015/09/10
옛날 책 제목은 왜 그렇게 긴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같은 책의 원문을 보면 문장 호흡이 너무 길어서 그 당시 사람들은 이런 문장을 어떻게 읽었나 싶을 정도다. 그런데 칸트 전공자에 따르면 당시에 나온 책과 비교하면 『순수이성비판』은 문장이 짧은 편이라고 한다. 당시는 책 제목도 엄청나게 길어서 『순수이성비판』(Kritik der reinen Vernunft)이라는 제목부터 혁신적이었다고 한다.
1715년 독일에서 나온 책 중에는 책 제목이 이런 책이 있었다고 한다.
『빳빳함의 고수 및 폭이 넓은 여성 치마, 현재 일상적인 고래수염 치마를 오늘날 그토록 크고 넓게 만들 정도로 찬탄해 마지않을 귀부인을 상당히 곡해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더 나은 정보를 위해』
(Der wolvertheigte Steiffe und weite Weiber-Rock, zu besserer Information aller derjenigen, welche dem hochlöblichen Frauenzimmer so sehr verübeln, daß es mit denen jetzt üblichen Fischbein Röcken sich heutiges Tages so groß und breit machet)
* 참고 문헌: 미하엘라 비저, 『역사 속에 사라진 직업들』, 권세훈 옮김 (지식채널, 2012), 78쪽.
(2015.07.10.)
2015/09/09
한국 언론의 성매매 보도 방식
지난 6월 서울경찰청은 강남권 오피스텔을 배경으로 대규모 영업을 하거나 변태 성매매를 알선한 성매매 업소를 단속하여 업주, 성매매 여성, 성매매 남성을 포함하여 총 366명을 검거했다고 한다. 언론은 성매매 업소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떻게 손님을 모으는지, 시간당 얼마인지, 언제 주로 영업하는지 보도했다. 특히나 성매매 여성들 중에 어떤 여성이 있는지도 비교적 상세히 보도했다.
성매매 여성들 역시 달라졌다. 해가 진 시간에 집을 나와 성매매에 하루를 쏟던 과거와 달리 요즘 성매매 여성들은 방학을 맞아 등록금이나 해외여행 경비를 단시간에 마련하려는 대학생부터 전문직 여성까지 다양해졌다.
성매매 단속에 나섰던 한 경찰 관계자는 “국내 굴지 대기업에 다니는 한 여성은 친구들과 술을 마신 뒤 성매매업소의 이른바 ‘마담’의 연락을 받고 업소의 술자리에 합석했다”며 “이후 마담에게 접대 요청을 받고 이 여성은 ‘용돈도 벌고, 기분도 풀고’ 라는 생각에 함께 술을 마시던 남자에게 돈을 받고 성관계를 맺었다”고 귀띔했다.
성매매 여성들 중에 대학생들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한 경찰은 “성매매 여성들 중 30% 이상을 여대생들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들 중에는 며칠 바짝 돈을 벌어 해외여행을 가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어와 중국어, 영어에 능통하며 이름만 대면 다 알만한 대학에 다니는 엘리트 여대생들도 있다”며 “이들 중에는 성매매를 했다는 것에 죄의식이 없는 이들도 있어 조사할 때 깜짝깜짝 놀라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대기업에 다니는 여성까지 성매매를 한다니 놀라운 일이기는 하다. 그런데 해당 기사는 어떤 여성들이 성매매를 하는지는 이렇게 자세히 보도하면서도 성을 구매하는 남성들이 어떤 사람들인지는 한 줄도 보도하지 않았다. 이상하지 않은가? 한국 언론은 마약 조직이 잡히면 누가 마약을 사는지에 초점을 맞추면서, 왜 성매매 조직이 잡히면 누가 성을 파는지에 초점을 맞추는가?
* 링크: [News1] “낮타임 성매매를 아시나요?” 대기업 다니는 여성까지…
( http://news1.kr/articles/?2317896 )
(2015.07.09.)
2015/09/07
2015/09/05
[강의] Wireless Philosophy - Political
PHILOSOPHY - Political: Government and Marriage
_ Government's Role
( www.youtube.com/watch?v=AUH5IQ15SYU )
_ Minimal Marriage
( www.youtube.com/watch?v=q7xXHQPSXBY )
_ Friends with Legal Benefits
( www.youtube.com/watch?v=3TW_Gw9dEXk )
_ Polyamory
( www.youtube.com/watch?v=ukRfrKTOwd8 )
_ Just Care
( www.youtube.com/watch?v=HNg_xcf6y7w )
PHILOSOPHY - Political: Original Position
( www.youtube.com/watch?v=nO5me_5c8dM&feature=youtu.be )
(2017.03.25.)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북아일랜드 - 헌책방 통합검색 ( www.bookisland.co.kr ) 노란북 (중고 책 가격비교) ( www.noranbook.net ) 북코아 ( www.bookoa.com ) ...
-
내가 동료 대학원생한테 농담으로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아무래도 교수가 안 될 것 같은데, 교수가 안 되면 양아치라도 되어야겠다”고 했다. 그러자 동료 대학원생은 그 양아치라는 것이 어떤 것을 가리키느냐, 칼럼니스트를 말하는 것이냐고 물었다. 칼럼니스...
-
생각보다 이명박의 글씨체가 예쁘다. 물론 악당이 이런 글씨를 쓴다는 것이 그렇게 놀라운 일은 아니다. 원래부터 글씨는 사람의 인격 같은 건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글씨가 예쁘냐 안 예쁘냐는 기술의 문제다. 글씨를 못 쓸 정도로 성격이 ...
-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되면 이러한 악순환을 끊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나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정치보복의 악순환을 끊을 것이라고 믿는다. 정치보복의 악순환이라는 것은 정치보복을 당한 세력 중 일...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