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1

토론 수업의 윤리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의문



교수자의 개입 없는 자연스러운 토론을 통해 학생들의 윤리적인 의식을 고양할 수 있다는 것은 거의 망상에 가까운 생각이다. 그런 망상을 하는 사람들이 가끔씩 있는 모양인데, 본인이 몸소 그런 체험을 하고 나서 자기가 가르치는 학생들도 그러한 체험을 하게 만들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아닌 것 같다. 대부분 망상은 경험에 근거하지 않는다.

그러한 사람들은 <철학 입문> 같은 수업에서 들었던 소크라테스 식 산파술을 떠올리며 토론 수업을 구상했을지도 모르겠다. 그건 주인공이 소크라테스니까 가능한 것이며, 마치 중국 무협영화 본 사람이 ‘영화 <엽문3>에서는 견자단이 영춘권으로 타이슨과 대등하게 싸우던데...’ 하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일어나더라도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다.

플라톤의 『국가』 1권만 읽어도 그런 게 왜 안 되는지 알 수 있다. 올바름이 무엇인지를 논의할 때 트라시마코스가 난입해서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을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 물론, 플라톤의 『국가』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가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나라면 그런 상황에서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을 어떻게 반박할지 소크라테스의 반박을 읽어보지 말고 생각해 보자. 단시간에 마땅한 대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트라시마코스의 주장은 직관적이며 소크라테스의 반박은 직관적이지 않다. 현실의 토론 수업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트라시마코스가 이긴다는 말이다.

실제로 어느 대학교에서는 (논리력 향상이나 토론 예절 습득 같은 것이 아닌)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학부생 대상 토론대회를 얼었다고 한다. 토론대회의 개최 목적이 학부생들의 인성 함양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아니지만, 기획 단계에서 높으신 분이 토론을 통한 인성 함양을 구상했다더라는 말을 건너 건너로 들었다. 그렇게 정한 토론 주제는 “올바르게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였고 그딴 거 없다고 주장한 팀이 대상을 받았다. 트라시마코스가 이긴 것이다.

“올바르게 살아야 할 이유가 있는가?”처럼 토론 주제가 아예 추상적인 것이어서 현실적인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이라고 하면 그나마 괜찮을 수도 있다. 실제 생활과 관련된 구체적이면서 민감한 주제이고 동시에 반동적인 입장이 변론하기도 유리한 주제를 토론 주제로 골라놓고 별다른 준비 없이 밑도 끝도 없이 무작정 학생들에게 토론을 시킨다면 어떻게 될까? 그건 학생들보고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잘못을 저지르라고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왜 반동적인 생각을 가진 학생들에게 승리의 경험까지 제공하려고 하는가?

교수자의 개입 없는 자연스러운 토론 수업으로 학생들의 윤리적인 의식을 고양할 수 있다는 망상은,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에 대한 반응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르겠다. 마치 외부의 이물질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격렬한 반응이 일어나지만 내부에서 어떤 물질이 생성되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처럼, 외부에서 어떤 생각이 유입되면 그에 대해 반발하게 되지만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던 지식에서 스스로 유도하여 어떤 결론에 도달하게 되면 그러한 생각에 저항감을 가지지 않는다고 생각한 게 아닐까? 그런데 그렇게 생각하면 안 된다. 암세포든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되는 이상 단백질)이든 우리 몸 내부에서 형성되듯이 반동적인 생각도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

(2024.07.21.)


2024/09/19

[강연] 조한혜정 교수



[EBS 특별기획] 통찰 - 조한혜정 교수 & 정철 박사

[27] 나는 관계한다 고로 존재한다 돌봄과 상생

_#1 ( www.youtube.com/watch?v=4IONY4NooD4 )

_#2 ( www.youtube.com/watch?v=cRVwPnGsOcs )

[28]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전환과 연대

_#1 ( www.youtube.com/watch?v=7n6jYmaVdKA )

_#2 ( www.youtube.com/watch?v=ZwTv1FEoKGo )

(2024.11.05.)


2024/09/17

[대학원] 서울대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필독문헌 목록 (2024년 기준)



■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I 부문> 1 영역: 서양고중세철학

- <I 부문> 2 영역: 서양근대철학

- <II 부문> 1 영역: 이론철학 1

- <II 부문> 2 영역: 이론철학 2

- <II 부문> 3 영역: 실천철학

<I 부문> 1 영역: 서양고중세철학 (4문 출제 2문 답)

- <서양고중세철학> 분야는 필독 문헌에 제시된 플라톤의 저작 관련 문제 중 한 문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관련 문제 중 한 문제를 선택하여 총 두 문제에 답해야 한다.

-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응시자가 답한 문제에 대해 구두시험을 실시한다.

-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구두시험은 필기시험 후 2주 내에 실시하며, 시험시간은 30분 이내로 한다.

- 구두시험까지 통과한 경우에 한해 <서양고중세철학> 분야에서 합격한 것으로 인정하며, 부분합격은 인정하지 않는다.

■ Platon, Politeia, 1권부터 2권 369a까지, 3권 412a에서 4권 끝까지, 5권 472a부터 7권 끝까지

■ Platon, Phaidon

■ Aristoteles, Ethica Nicomachea, 1-5권, 10권 6-9장

■ Aristoteles, Metaphysica, 4권, 7권, 12권

<I 부문> 2 영역: 서양근대철학 (4문 출제 3문 답)

- <서양근대철학> 분야는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응시자가 답한 문제에 대해 구두시험을 실시한다.

-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구두시험은 필기시험 후 2주 내에 실시하며, 시험시간은 30분 이내로 한다.

- 구두시험까지 통과한 경우에 한해 <서양근대철학> 분야에서 합격한 것으로 인정하며, 부분합격은 인정하지 않는다.

■ Descartes, Meditationes de Prima Philosophia

■ Hume,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 Kant, Kritik der reinen Vernunft, 처음부터 A292=B349까지

■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처음부터 IV: Die Wahrheit der Gewissheit seiner selbst(A161=GW9, 131)까지

<II 부문> 1 영역: 이론철학 1 (3문 출제 3문 답)

■ Husserl, Vorlesungen zur Phanomenologie des inneren Zeitbewußtseins (1893-1917), Den Haag: Martinus Nijhoff, 1966. (Husserliana X), 3-134쪽. (이남인/김태희 역, 『내적시간의식의 현상학』)

■ Heidegger, Sein und Zeit

■ Gille Deleuze, Différence et Répétition

<II 부문> 2 영역: 이론철학 2 (6문 출제 3문 답)

- <이론철학 2> 분야는 <형이상학 및 인식론>, <논리 및 언어철학>, <과학철학>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고 각 영역은 다시 두 항으로 구성된다.

- <이론철학 2> 분야의 응시자는 각 항에서 하나씩 출제된 총 여섯 문제 중 각 영역에 속하는 문제를 하나씩을 선택하여 총 세 문제에 답해야 한다.

- Kripke의 Naming and Necessity와 Ayer의 Language, Truth, and Logic을 제외한 모든 필독문헌은 다음 논문 모음집 중 하나에 수록되었다.

■ Beaney (ed.), The Frege Reader (Blackwell 1997) [‘FR’]

■ Chalmers (ed.), Philosophy of Mind (Oxford 2002) [‘PM’]

■ Curd and Cover (ed.), Philosophy of Science: The Central Issues [‘PS’]

■ Davidson, Inquiries into Truth and Interpretation (Oxford 2001) [‘ITI’]

■ Kim, Korman, and Sosa (ed.), Metaphysics: An Anthology (Wiley-Blackwell 2012) [‘M’]

■ Kim and Sosa (ed.), Epistemology: An Anthology (Blackwell 2000) [‘E’]

■ Martinich (ed.), The Philosophy of Language, 6th ed. (Oxford, 2012) [‘PL’]

▣ 영역 A-1: 형이상학

■ Quine, “On What There Is” (M)

■ Carnap, “Empiricism, Semantics, and Ontology” (M)

■ Kripke, Naming and Necessity, Lecture III

■ Putnam, “The Nature of Mental States” (PM)

■ Armstrong, “Universals as Attributes” (M)

■ Lewis, “Causation” (M)

■ Parfit, “Personal Identity” (M)

▣ 영역 A-2: 인식론

■ Gettier,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E)

■ Nozick, “Knowledge and Skepticism” (E)

■ Goldman, “What is Justified Belief?” (E)

■ Sosa, “The Raft and the Pyramid” (E)

■ Quine, “Epistemology Naturalized” (E)

■ DeRose, “Solving the Skeptical Problem” (E)

▣ 영역 B-1: 논리 및 언어철학 (1)

■ Frege, “Function and Concept” (FR)

■ Frege, “On Sense and Reference” (FR)

■ Russell, “On Denoting” (PL)

■ Ayer, Language, Truth, and Logic (2nd edition), Introduction, Ch.I, Ch.IV

■ Quine, “Two Dogmas of Empiricism” (PL)

■ Grice, “Meaning” (PL)

▣ 영역 B-2: 논리 및 언어철학 (2)

■ Davidson, “Truth and Meaning” (ITI)

■ Davidson, “Radical Interpretation” (ITI)

■ Lewis, “Languages and Language” (PL)

■ Grice, “Logic and Conversation” (PL)

■ Kripke, Naming and Necessity, Lectures I-II

■ Kripke,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PL)

▣ 영역 C-1: 과학철학 (1)

Ch.2 Rationality, Objectivity, and Values in Science (PS)

■ Thomas S. Kuhn, “The Nature and Necessity of Scientific Revolutions”

■ Thomas S. Kuhn, “Objectivity, Value Judgment, and Theory Choice”

■ Ernan McMullin, “Rationality and Paradigm Change in Science”

■ Larry Laudan, “Kuhn’s Critique of Methodology”

■ Helen E. Longino, “Values and Objectivity”

■ Kathleen Okruhlik, “Gender and the Biological Sciences”

Ch.4 Indiction, Prediction, and Evidence (PS)

■ Peter Lipton, “Induction”

■ Karl Popper, “The Problem of Induction”

■ Wesley C. Salmon, “Rational Prediction”

■ Carl G. Hempel, “Criteria of Confirmation and Acceptability”

■ Peter Achinstein, “Explanation v. Prediction: Which Carries More Weight?”

■ Nelson Goodman, “The New Riddle of Induction”

Ch.6 Models of Explanation (PS)

■ Rudolf Carnap, “The Value of Laws: Explanation and Prediction”

■ Carl G. Hempel, “Two Basic Types of Scientific Explanation”

■ Carl G. Hempel, “The Thesis of Structural Identity”

■ Carl G. Hempel, “Inductive-Statistical Explanation”

■ Peter Railton, “A Deductive-Nomological Model of Probabilistic Explanation”

■ Philip Kitcher, “Explanatory Unification”

■ James Woodward, “The Manipulability Conception of Causal Explanation”

▣ 영역 C-2: 과학철학 (2)

Ch.7 Laws of Nature (PS)

■ A. J. Ayer, “What Is a Law of Nature?”

■ Fred I. Dretske, “Laws of Nature”

■ D. H. Mellor, “Necessities and Universals in Natural Laws”

■ Nancy Cartwright, “Do the Laws of Physics State the Facts?”

Ch.8 Intertheoretic Reduction (PS)

■ Ernest Nagel, “Issues in the Logic of Reductive Explanations”

■ Paul K. Feyerabend, “How to Be a Good Empiricist – A Plea for Tolerance in Matters Epistemological”

■ Thomas Nickles, “Two Concepts of Intertheoretic Reduction”

■ Philip Kitcher, “1953 and All That: A Tale of Two Sciences”

Ch.9 Empiricism and Scientific Realism (PS)

■ Grover Maxwell,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oretical Entities”

■ Bas C. van Fraassen, “Arguments Concerning Scientific Realism”

■ Alan Musgrave, “Realism versus Constructive Empiricism”

■ Larry Laudan, “A Confutation of Convergent Realism”

■ Juha T. Saatsi, “On the Pessimistic Induction and Two Fallacies”

■ Ian Hacking, “Experimentation and Scientific Realism”

■ David B. Resnik, “Hacking’s Experimental Realism”

■ Martin Carries, “What Is Right with the Miracle Argument: Establishing a Taxonomy of Natural Kinds”

■ Arthur Fine, “The Natural Ontological Attitude”

■ Alan Musgrave, “NOA’s Ark – Fine for Realism”

<II 부문> 3 영역: 실천철학 (4문 출제 3문 답)

▣ 1문 범위

■ J. S. Mill, Utilitarianism, chapters II, IV

■ Peter Singer, “Famine, Affluence, and Morality”

■ Peter Railton, “Alienation, Consequentialism, and the Demands of Morality”

■ T. M. Scanlon, “Contractualism and Utilitarianism”

■ Thomas Nagel, “War and Massacre”

■ James Rachels,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 P. F. Strawson, “Freedom and Resentment”

■ J. Baird Callicott,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 2문 범위

■ A. J. Ayer, “Critique of Ethics and Theology” in his Language, Truth and Logic

■ Gilbert Harman, “Ethics and Observation” in his The Nature of Morality

■ J. L. Mackie, “The Subjectivity of Values” in his Ethics: Inventing Right and Wrong

■ John McDowell, “Values and Secondary Qualities” in his Mind, Value, and Reality

■ John Rawls, Political Liberalism

▣ 3문 범위

■ Hannah Arendt, The Human Condition

▣ 4문 범위

■ Jürgen Habermas, Faktizität und Geltung

* 출처: 서울대 철학과 홈페이지

( http://phil.snu.ac.kr/board/html/menu4/sub04_1_4.html )

(2024.10.01.)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