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30

[경제통계학]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 통계학이란?

- 통계학(Statistics): 연구 대상이 되는 자료(data)들을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결론(정보)을 도출하기 위한 하나의 과학

• 통계학은 자료(data)로부터 정보(information)를 찾아내는 수단임.

• 통계학의 목적은 자료의 불확실성을 제거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임.

■ 기술적 통계학과 추론적 통계학

- 통계학의 형태는 기술적 통계학과 추론적 통계학으로 나뉨.

- 기술적 통계학(Descriptive Statistics)

• 연구 대상의 자료를 수집하고 도표, 그림 또는 수치 등을 이용하여 자료에 대한 특성이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 요약, 설명하는 방법을 다룸.

• 수치 또는 지표를 이용하는 기법: 평균값, 분산값 등의 수치를 이용하여 자료의 특성 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 그래프를 이용하는 기법: 자료가 지닌 특성이나 정보를 여러 형태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방법

- 추론적(추정적) 통계학(Inferential Statistics)

• 수집된 자료(표본)에 내재된 정보/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자료(모집단)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정보를 과학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다룸.

■ 기술적 통계학

- 기술적 통계학은 자료(data)의 수집, 정리, 요약하여 자료의 특성/정보를 나타내는 방법을 다룸.

- 그래프 또는 도표를 이용하는 기법: 비교적 쉽게 자료의 특성이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 예) 원 그래프(pie chart), 선 그래프(line graph), 막대 그래프(bar chart), 히스토그램(histogram), 산포도(scatter plot) 등

- 수치 또는 지표를 이용하여 자료의 특성를 파악하는 기법

• 자료값들의 위치(location) 또는 집중화를 측정하는 방법: 평균값(mean), 중앙값(median), 최빈값(mode)

• 자료값들의 변동성(variability) 또는 산포경향을 측정하는 방법: 범위(range), 분산(variance),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추정적 통계학

- 기술적 통계학은 자료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이를 토대로 자료에 대한 어떤 결론이나 추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결론 도출이나 추정 과정을 위해 추정적 통계 기법이 필요함.

- 추정적 통계학: 표본 자료를 토대로 전체자료(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함.

- 기본 요소

• (1) 모집단(population)

• (2) 표본(sample)

• (3) 통계적 추정과정(statistical inference)

■ 기초 용어: 변수와 자료

- 변수(variable): 숫자 또는 특성 등으로 표현된 값이 경우에 따라 변화되는 것

-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ble): 숫자로 표현된 변수

• 예) 학생들의 학점, 개인별 소득, 주가 등

- 질적변수(qualitative variable): 특성, 범주 등으로 표현된 변수

• 예) 성별(남, 여), 직업(사무직, 노동직), 학력(중졸, 고졸, 대졸) 등

• 질적변수는 코드화를 통해 양적변수로 전환이 가능함.

* 상수(constant): 경우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어 하나의 값만 가지는 것

- 자료(data):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변수들의 관측값 또는 측정값의 집합

• 예) 2024년도 경제학과 학생들의 학점, 2020-24년의 국가별 GDP 등

■ 기초 용어: 모집단과 표본

- 모집단 (population): 연구 대상이 되는 모든 자료들의 집합

•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술적 통계치: 모수(parameter)

- 표본(sample) :모집단에서 추출된 일부 자료의 집합

• 표본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술적 통계치: 통계량(statistic), 모집단(Population)

- 표본은 모집단의 부분집합(subset)임.

■ 기초 용어: 통계적 추정

- 통계적 추정(statistical Inference): 표본자료를 토대로 하여 모집단 자료를 추정하거나 결과를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함.

- 표본자료의 통계량(statistic)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모수(parameter)를 추정하는 과정

- 통계적 추정을 하는 현실적인 이유

• 대규모 크기의 전체 모집단 자료를 직접 조사 분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또한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됨.

• 모집단의 일부 자료인 표본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더 쉽고, 더 적은 시간 및 비용으로 분석이 가능하므로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모집단 전체자료에 대해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통계적 추정의 문제점: 표본자료를 이용한 통계적 추정과정에서 도출된 모집단에 대한 결론이나 추정 결과가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계적 추정 과정에 대한 신뢰성 측정(measures of reliability)이 필요함.

• 신뢰성 측정에는 신뢰수준(confidence level) 또는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을 이용함.

■ 신뢰수준과 유의수준

- 신뢰수준(confidence level): 많은 추정과정들이 실행된 가운데 정확한 결론이나 추정결과를 나타내는 추정과정의 통계적 비율을 나타냄.

• 예) 95%의 신뢰수준: 100번의 추정과정들 중에서 적어도 95번의 추정과정들이 통계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함.

-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여러 번의 추정과정들에서 나타난 결론들에 내재된 통계적인 오류 또는 에러의 비율을 나타냄.

• 예) 5%의 유의수준: 추정과정에서 나타난 결론들이 적어도 5% 정도의 통계적인 오류가 있으며 따라서 도출된 결론이 틀릴 수 있음을 나타냄.

(2024.12.05.)


2024/03/27

환단제국 쇠망사



『환단고기』에 나오는 대로 한민족이 수메르 문명도 만들었고 중국 대륙도 지배했고 고구려, 백제, 신라도 다 중국에 있었다고 치자. 그렇다면 언제, 어떻게 그 넓은 영토를 잃어버렸나? 그렇게 대단한 제국이 있었다면 망하더라도 한순간에 뿅 하고 망하지는 않았을 것 아닌가? 핵폭탄을 수십 발을 동시에 맞은 것도 아닐 것이고, 설사 핵폭탄을 수십 발 맞았다고 한들 그 정도로 광활한 영토를 확보했던 제국이라면 몰락할 때의 상황을 보여줄 흔적이나 기록이 충분히 있을 것이다. 하다못해, 몇 대 단군이 중국 황제하고 산동반도 걸고 도박을 했다든가, 황제가 밑장을 뺐다든가, 단군이 한 눈을 판 사이에 화투패가 바뀌고 탄에 당했다든가 하는 게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고대에 위대한 제국이 있었다고 믿으면서 광활한 영토가 언제 어떻게 증발했는지 안 궁금한가? 그 정도로 허술한 사람들이니까 사이비 역사학을 믿는 건가?

기존의 사이비 역사학이 한민족이 고대에 얼마나 잘 나고 잘 나갔는지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니, 그 제국이 어떤 식으로 몰락했는지 지어낸다면 사이비 역사학 시장의 블루 오션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환단제국 쇠망사』 같은 것을 만들어 출판한다면 기존 독자들이 환장하고 사볼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던 사람들도 블루 오션에 뛰어들기 위해 『환단제국 쇠망사』 독서 모임을 하고 강연회를 열지도 모른다.

『환단제국 쇠망사』를 펴낸다면 별도의 홍보활동을 하지 않아도 사이비 역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자가 발전에 의해서 널리 퍼져나갈 것이다. 그렇게 10년 쯤 기존 사이비 역사학 시장에서 돈을 빨아먹은 다음, 기자 회견을 열고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

“어? 그거 소설인데요? <교보문고>에도 ‘한국 소설’로 분류되어 있잖아요? 그걸 왜 역사책인 것처럼 다루는 거예요? 저는 한 번도 그게 역사책이라고 한 적이 없어요.”

이렇게 하면 돈도 벌고 사이비 역사학에 타격도 주는 1석 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2024.01.27.)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