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9/21

글쓰기에서의 절제의 중요성



글 쓸 때 가장 필요한 덕목이 있다면 아마도 절제일 것이다. 글에서 쓸데없는 부분은 쳐내는 데는 절제력이 필요하다. 쓸 내용을 다 썼으면 거기서 멈추고 뺄 내용을 빼야 글이 나아진다. 많은 사람들은 넣지 말아야 할 것을 더 넣어서 글을 이상하게 만든다.


있어야 할 것이 없는 것보다 없어야 할 것이 있는 것이 글에 더 해롭다. 있어야 할 것이 약간 없으면 좀 밋밋하다 싶은 글이 될 수 있지만, 없어야 할 부분이 버젓이 있으면 심지어 글도 아닌 것이 될 수 있다. 마치, 삼계탕에 인삼이나 마늘이 안 들어가면 조금 아쉽지만 먹을 수 있는 삼계탕이 되지만, 삼계탕에 독극물이 들어가면 아예 못 먹는 것이 되는 것과 비슷하다.


망한 글에 이상한 짓을 해서 더 망하게 된 경우는 하나도 안타깝지 않다. 빚이 100억 원 있으나 101억 원 있으나 별반 차이가 없다. 내가 안타깝게 여기는 것은 멀쩡하게 글을 잘 써놓고는 막판에 이상한 문장 몇 개를 덧붙여서 뒷맛이 안 좋게 된 경우다. 논문 중에도 그런 경우가 있다. 서론부터 본론까지 멀쩡하게 써놓고 결론 끝부분에 유치한 글을 덧붙여서 글이 격조가 떨어지는 논문도 가끔씩 있다. 연구를 멀쩡히 잘 해놓고는 왜 막판에, 꼭 고미숙 박사의 책을 세게 읽은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이 쓴 것 같은 문장을 덧붙여서 사람 마음을 아프게 하는가? 그럴 거면 연구나 제대로 하지 말지. 그런 글을 보면 남이 쓴 글인데도 내가 안타깝다.


『삼국지연의』를 예로 들면, 글 쓸 때 절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종강본 삼국지를 기준으로 하면, 삼국지는 120화로 구성된다. 120화 중에서 상당 부분을 제거해도 이야기 전개에 문제가 없고 소설의 완성도도 떨어지지 않는다. 관우가 오관육참장 안 하고 황하를 곧바로 건너가서 유비를 만났다고 해도 되고, 주유가 제갈량을 시샘한 부분을 덜어내도 되고, 화타나 좌자의 일화는 아예 통으로 없애도 된다. 조금 아쉬울 수 있지만 대세에 큰 영향을 안 준다. 그러나 삼국지에 한 문단을 덧붙이는 것만으로도 삼국지의 품격에 어마어마한 손실을 줄 수 있다. 한 문단이면 충분하다.


제갈량이 오장원에서 죽어가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병든 제갈량이 누워있고 촉에서 온 유선의 사신이 제갈량에게 후사를 묻는다. 제갈량은 장완과 비의를 추천하고 나서 곧바로 눈을 감는다. 제갈량의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리고 제갈량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한 줄 띄고 이런 글을 덧붙인다고 하자.


“새파란 놈이 낮부터 쳐자고 있고 팔자 좋구만?”


“익덕, 말을 삼가게. 공명 선생이 듣겠네.”


“들으라고 이러는 거예요. 지금 우리가 몇 번째 여기 온 거예요? 우리 형님이 어떤 분인데 비싼 척은 비싼 척이야? 아, 생각할수록 성질나네. 확 불싸지를까보다.”


밖이 소란스러워 자고 있던 제갈량이 눈을 떴다. 눈가에 고인 눈물을 손으로 닦는다.


‘뭐지? 밖이 왜 이렇게 소란스러워? 얼굴이 온통 수염으로 뒤덮인 사람은 왜 저렇게 고래고래 소리 지르지? 그 옆에 있는 사람은 귀가 왜 저렇게 크고 팔은 또 왜 저렇게 길어?’


눈을 가늘게 뜨고 정신을 수습하던 제갈량이 깨닫는다.


‘아, 시발 꿈이었네.’



(2019.07.21.)



2019/09/20

[과학사] Kuhn (1977), “The History of Sci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Thomas S. Kuhn (1977), Essential Tension: Selected Studies in Scientific Tradition and Chan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05-126.
Thomas S. Kuhn (1968), “The History of Scienc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14, pp. 74-83. ]
  
  
  1. Development of the Field
  2. Internal History
  3. External History
  4. The Merton Thesis
  5. Internal and External History
  6. The Relevance of the History of Science
 

  1. Development of the Field

105-106
-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학과로서 과학사는 최근에 만들어진 새로운 분야.
과학자들에게 과학사는 교육을 위한 부산물이었음.
전문성의 개념을 설명, 전통 확립, 학생들에게 관심을 끄는 수단,
 
106
과학사에 철학적 요소가 더 명백히 나타남. 
철학적 관심은 과학사 연구에 있어 창조적 활동에 모티브를 제공함.
 
106-107
- 이전의 과학사 연구는 과학적 방법이나 개념이나 진화를 보여주어 그러한 방법이나 개념을 더 명확하고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함.
과학 외적인 요소, 기술이나 종교가 과학에 끼친 영향도 살펴볼 수 있음.
 
107-108
아마도 가장 중요했던 영향은 철학사였음.
사상가들의 태도가 철학에서 과학사로 옮겨짐.
 
109-110
- 근대 과학사의 형성의 세 번째 요소
과학의 일반적인 역사에서 특정 분야의 과학사로 대체되고 변화됨.
독일 사회학이나 마르크스 역사학 등의 영향을 받음.
특히 제도적이고 사회경제적인 요소가 과학의 발달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연구, 
- 과학적 사고와 기구의 발달, 둘 사이 및 자연과의 상호관계 연구가 여전히 강조가 되고 있음.
그러나 과학사를 과학 그 자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에 부정하는 집단이 있음.
결과적으로 과학사는 크게 “내적인 접근”과 “외적인 접근”이라는 두 가지 구별되는 방법론으로 분류할 수 있음.
  

  2. Internal History
 
111
특정 과학 분야의 역사 연구가 불균등하게 진행됨,
과거에서 현재적 지식을 추구하기 때문,
기술적인 원천 자료가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
 
112
연구 분야가 제한되는 경우
생물학의 경우 19세기 다윈주의나 16-17세기 해부학, 생리학에 연구가 집중됨.
  
 
  3. External History
 
113
과학의 발달과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적 맥락에서 과학을 연구함.
이러한 연구에는 세 가지 특징적 형식이 있음.
가장 오래된 것은 과학 단체, 제도에 관한 연구.
교육적인 단체 등을 연구함.
 
113-114
서구 사상에서의 과학의 영향.
특히 17-18세기, 뉴턴, 베이컨, 다윈 등.
과학 제도와 사상에 관한 관계. 과학의 환경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를 강화
근대 과학의 기원이나 과학사의 본질에 관한 연구에서 중심적 역할.
 
 
  4. The Merton Thesis

115-116
17세기 과학사에 관한 논쟁에서 가장 큰 쟁점은 머튼 명제
는 가장 큰 이슈. 
그것은 두 가지 구별되는 형태로 나뉨.
논제(1)
베이컨주의자들이 실행적 기예(practical arts)로부터 배우고 과학을 유용하게 하려고 한 것까지 정도를 강조하는 것.
실제적인 문제를 강조하는데 관심 있음.
논제(2)
청교도주의가 17세기 과학 형성의 일차적 유발 원인으로 지적.
머튼 명제가 부적절하다고 비판받으나 그가 묘사했던 현상은 의심되지 않음.
 
116
머튼은 육체 노동과 실험, 자연에 대한 직접적 대면의 중요성을 강조.
반면, 새 세대의 역사가들은 16-17세기의 새로운 기구나 실험, 관찰 등이 과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
 
117-118
- 과학 혁명기에 대한 머튼의 주장은 맞지 않은 면이 있고 타당한 면도 있음. 
17세기에 과학의 개념을 변형하는데 큰 역할을 끼친 요소가 없다고 현 시대 역사가들이 주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다루는데 노력해야 함, 
전기와 자기에 관한 연구 등은 고전 과학의 연구와 다른 패턴을 보여줌.
17세기 자연에 대한 이해와 관련 없음.
이것은 수정된 머튼 명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
 

  5. Internal and External History

118-119
최근에 쿤이 과학 발전에 관한 머튼 논제를 논의함.
쿤은 발전 초기에 사회적 필요와 가치가 주요한 결정 요소였지만 발전 말기에서는 기술적 전문성이 그 위치를 대신함. 과학의 내적 접근은 성공한 듯 보였으나 
내적 접근의 자율성이 본질적으로 오해하기 쉬움, 문제의 개념과 구조가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과학 발전의 다른 측면이 있음.
예) 타이밍
과학 발전의 외부적 접근이 강조됨.
 
119-120
내적 외적 접근이 각자의 자율성이 있지만 실제로는 상보적인 관계임.
 
 
  6. The Relevance of the History of Science
 
120
과학사의 미래는 낙관적.
과학사는 과학 연구 그 자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게다가 간접적으로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여 과학 교육이나 행정, 정책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줌.

121-122
과학사의 영향을 받은 두 분야
분야(1): 과학철학
그것이 역사적인 사례와 상충한다고 비판받기도 함.
분야(2): 과학사회학
연구하는 형태가 역사로부터 얻어짐.
   
  
(2019.10.28.)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