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23

영화 <리얼> 감상문



무엇을 본 것인가. 꿈을 꾼 것인가. 나는 영화 <리얼>을 보았다.

영화 <리얼>의 줄거리를 모르겠다. 나는 분명히 영화가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 두 눈을 뜨고 보고 있었다. 그런데도 무슨 내용인지 정리하지 못하겠다. 뭔가 굉장한 것을 본 것 같다는 인상은 남는다. 아니다. 보지 말았어야 하는 것을 본 것인가?

어쨌거나 파편적인 기억은 있다. 극 중 김수현은 1인 3역을 하고 온 몸에 문신을 하고 특정 부위에 구슬을 박았으며, 성동일은 연변 사투리를 쓰는 잔인한 깡패이며, 이성민은 도박을 즐겨하고 환자에게 마약을 처방하는 정신과 의사이며, 설리는 그냥 연기를 못했다. 깡패들은 김수현한테 주먹 한 방 맞으면 석고상처럼 몸이 굳은 채로 바닥에 꼬꾸라졌고, 여자들은 반쯤 벗거나 다 벗고 나왔으며, 화면은 항상 어두웠다. 영화에 아까 본 것 같은 장면이 또 나오고 그와 비슷한 장면을 또 나와서 내가 영화를 제대로 보고 있는 건지, 내가 착각을 하거나 꿈을 꾸는 건 아닌지 의심하게 되었다. 정신이 몽롱해지면서 몸이 나른해졌다. 내가 영화를 보고 있는 건지 꿈을 꾸는 건지 헷갈리면서 ‘이게 현실인가. 아, 이래서 영화 제목이 <리얼>인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매트릭스> 같은 영화를 통해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는 책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영화 보고 아무 말이나 지어내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이겠냐만은, <리얼>은 그러한 다른 영화보다도 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다른 영화들이 관객에게 무엇이 정의인지, 실재와 가상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등을 묻는다면, <리얼>은 더 근본적인 문제, 즉 동일률이란 무엇인지 같은 것들을 묻는다. 영화에서 김수현은 깡패이자 르포 작가이자 부자로 1인 3역을 맡는다. 분명히 김수현이 김수현을 죽였는데 죽은 줄 알았던 김수현이 살아있고 김수현을 죽인 김수현이라고 알고 있던 것이 사실은 김수현이 아니니 말이다. 영화를 보면 보통은 개연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따지는데, 영화 <리얼>을 보면 개연성이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다. 이런 영화는 영어 자막을 넣어서 지젝한테 보내야 한다.

나는 어린 애들이 “인생 영화” 같은 표현을 쓰는 것을 보면서 ‘얼마나 살면서 보고 들은 것이 없으면 고작 그런 거 하나 가지고 인생 영화라고 하나’ 하는 생각을 했다. 하루살이가 조조 영화 본 것을 점심 먹으면서 인생 영화라고 하는 것과 뭐가 다른가? 그래서 나는 웬만한 것을 보고도 인생 영화 같은 소리를 안 했는데, 영화 <리얼>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다. <리얼> 정도면 누구라도 인생 영화라고 해도 될 만한 영화다. 앞으로 최소한 30년 안에는 한국 영화 중에 <리얼> 같은 영화는 나오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2017.10.23.)


2017/12/22

[한국 가요] URI

  

URI - You & I

( www.youtube.com/watch?v=11I0HnQdAhQ )

(2018.01.01.)

[군사] 제식훈련의 역사

    

■ 군대가 대형을 갖추는 이유

- 군대가 대형을 갖추는 이유는 무기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임.

- 지휘관이 운용하는 전술은 무기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 편집 방식.

■ 고대 그리스와 로마

■ 오다 노부나가의 삼단철포 전략

- 1575년 6월 29일, 오다 노부나가는 나가시노 전투에서 다케다 가쓰요리(다케다 신켄의 4남)의 기마 군단을 물리침.

- 당시 조총을 장전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렸음.

-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부나가는 3열 발사 전법을 사용함.

• 군사를 세 줄로 나누고, 순서대로 총을 장전하고, 심지에 불을 붙이고, 발사하도록 함.

■ 네덜란드 마우리츠의 일제 사격법

- 스페인과 전쟁할 때, 군사들을 3열로 배치해 열을 바꾸어가며 번갈아 사격하도록 함.

• 당시 머스캣 소총은 장전 속도가 느렸고 이를 일제 사격법을 통해 극복했다.

- 마우리츠의 대형 유지 전술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 중장갑 보병의 밀집대형을 응용한 것.

■ 근대적 군대 체계의 요소 - 제식훈련, 징병제, 직업군인

- 제식훈련

- 제식훈련을 통해 대형을 유지하려면 병사들을 평상시에도 병영에 주둔시키며 반복 훈련을 시켜야 함. → 징병제

- 병사들이 매번 바뀌어도 지휘 체계의 연속성이 유지되려면 군인을 직업으로 하는 장교가 있어야 함. → 직업군인

■ 프로이센의 작전참모 제도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마우리츠의 군대 체계를 받아들여 프로이센 군대를 육성했다.

• 이 때 처음 만든 것이 작전참모 제도.

- 작전참모는 행군로 탐색, 전투 지역 결정, 숙영지 선택, 군용지도 제작, 작전 계획 및 전투 지휘 체계 수립, 전투력 유지를 위한 병참 등을 담당함.

• 작전참모는 군대의 공간 편집을 책임지는 사람.

- 프로이센 군대의 작전참모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과정.

• 헬무트 폰 몰트케가 지휘하는 참모본부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1866), 프로이센-프랑스 전쟁(1870-1871)에서 탁월한 작전 수립하여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함.

■ 메이지 유신의 군대 체계

- 메이지 시대 초기의 일본 지도자들은 프랑스식 군대에 더 관심을 가졌으나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프로이센 군대 체계를 받아들이기로 함.

• 일본은 프로이센의 군대 체계를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도입함.

• 몰트케 참모총장은 부하 장교인 클레멘스 빌헬름 야콥 메켈을 일본에 파견함.

- 일본군은 프로이센의 참모본부를 그대로 모방하여, 군령을 총괄하고 작전 계획을 체계적으로 입안하는 참모본부를 설치함.

■ 세이난 전쟁

-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의 핵심 인물이었으나 권력에서 소외되자 지방의 사무라이들을 동원해 메이지 정부와 맞섬.

- 사이고 다카모리가 정부에 대항한 이유: 징병제

• 징병제를 도입하면 사무라이의 기반이 흔들리게 됨.

• ‘일본 육군의 아버지’라 불리는 오무라 마스지로는 징병제를 주장하다가 사무라이들에게 암살당함.

- 세이난 전쟁은 평생 싸움만 한 사무라이와 징병된 평민들 간의 전쟁.

• 세이난 전쟁에서 사이고 다카모리의 반군은 전멸했고 다카모리는 동굴에 들어가 자결함.

• 이는 전력이 뛰어난 개인들이 규율대로 대열을 유지하는 신식 군대를 이길 수 없음을 보여준 사례.

■ 현대 군대의 제식훈련

- 머스캣 소총이나 조총은 근접전에서 위력을 발휘하기 힘듦.

• 이러한 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병사들이 발사 대형을 유지해야 함.

• 병사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동요하지 않고 발사 대형을 유지하게 하는 훈련이 제식훈련.

- 무기의 화력이 발전하면서 군대에서 제식훈련이 가지는 효용은 줄어듦.

• 총의 장전 속도와 발사 속도가 빨라지면서 대형을 맞추어 진군할 필요가 없어짐.

• 현대 군대에서 제식훈련은 규율을 내면화하기 위해 사용됨.

• 외부 권력이 강요하는 규율은 논리적인 설명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익히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

* 참고: 김정운, 『에디톨로지』 (21세기북스, 2014년), 228-241쪽.

(2016.07.14.)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