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8

나탈리 골드버그의 『글 쓰며 사는 삶』



나탈리 골드버그(Natalie Goldberg)는 글쓰기 책을 쓰는 미국 작가다. 1986년에 출간한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Writing Down the Boens)는 미국에서만 100만 부 이상 팔렸다.

1990년에 출간한 『글 쓰며 사는 삶』(Wild Mind: Living the Writher’s Life)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자신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고 싶을 때 멈추어도 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나는 이렇게 답한다. 이야기하고 싶은 것을 알아내는 동안에도 손을 움직이는 것이 좋다. 나는 오랫동안 글쓰기 훈련을 해오면서 이 원칙을 엄격하게 지켜왔다. 무슨 일이 있어도 손을 계속 움직였다. 첫 번째 생각을 놓치지 않고 그것을 포착하려 했다. 잠시 멈춘다고 해서 별 문제는 없겠지만 그런 뒤에 곧바로 다시 쓰는 건 늘 쉽지 않았다. 원한다면 쓰기를 멈추고 자신이 쓰고 싶은 것을 더 구체적으로 떠올려도 좋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틈이 생기면 몽상에 빠져서 글쓰기에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19-20쪽)


그런데 『글 쓰며 사는 삶』을 출간한 이후 나탈리 골드버그는 슬럼프에 시달려서 10년 이상 글을 쓰지 못했다. 이는 구체적인 기술이 아니라 막연한 지침을 전달하는 책에 별다른 효용이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일 것이다.

* 참고 문헌

나탈리 골드버그, 『글 쓰며 사는 삶』, 한진영 옮김 (페가수스, 2010)

(2015.09.08.)


2015/11/06

[강의계획서] 철학의 근본문제 (강진호, 2007년 2학기)



- 수업명: <철학의 근본문제>

- 2007년 2학기

- 서울대 학부 교양수업

- 담당교수: 강진호



■ 수업목표


이 과목은 철학의 근본문제들 중 네 가지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수강자들에게 철학을 심층적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의 철학적 문제들이 논의될 것이다.


(1) 신이 존재하는지를 증명할 수 있는가?

(2) 우리는 세계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는가?

(3) 자아(self)는 존재하는가? 그리고 자아동일성의 기준은 무엇인가?

(4) 도덕의 본성은 무엇이며 우리는 도대체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강의를 통해 위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 고전적 철학 텍스트들 및 현대 철학자들의 관련 논문들을 논의한다.



■ 교재 및 참고문헌


* 르네 데카르트 지음, 최명관 옮김, 『방법서설. 성찰』 (훈복문화사)

* 조지 버클리 지음, 한석환 옮김, 『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 (숭실대학교 출판부)

* 존 페리 지음, 김영정 옮김, 『개인의 동일성과 불멸성에 관한 대화』 (철학과 현실사)

*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서병훈 옮김, 『공리주의』 (책세상)

* 임마누엘 칸트 지음, 백종현 옮김, 『윤리형이상학 정초』 (아카넷)



■ 강의계획


1주. 강의 소개. “철학이란 무엇인가?”


2주. 신 존재 증명 - 존재론적 증명


3주. 신 존재 증명 - 존재론적 증명 (계속). 우주론적 증명


4주. 신 존재 증명 - 설계 증명. “파스칼의 도박”


5주. 지식과 회의주의 -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와 “Cogito ergo sum”


6주. 지식과 회의주의 - 로크의 간접 실재론


7주. 지식과 회의주의 - 버클리의 관념론


8주. 자아와 자아동일성 - 문제의 소개 / 중간고사


9주. 자아와 자아동일성 - 흄의 자아 이론


10주. 자아와 자아동일성 - 자아의 수수께끼: 다니엘 데넷


11주. 도덕의 본성 - 도덕적 이기주의


12주. 도덕의 본성 - 밀의 공리주의


13주. 도덕의 본성 - 칸트의 윤리 이론


14주. 도덕의 본성 - 칸트의 윤리 이론


15주. 도덕의 본성 - 칸트의 윤리 이론 / 기말고사



(2015.11.11.)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