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ki Lehtinen (2012), “Introduction: Uskali Mäki’s realist philosophy of economics”, in A. Lehtinen et al. (eds.)(2012), Economics for Real: Uskali Mäki and the place of truth in economics (Routledge), pp. 1-40. ]
1. Introduction
2. The vision
3. Referential realism, explanation as redescription, and essentialism
4. Commonsensibles and constructive empiricism
5. Unification
6. The method of isolation
7. Truth, realisticness, and kinds of assumptions
8. Models and truth
9. Guidance for the reader
1. Introduction
1
- 주류 경제학에는 다양한 비-현실적 가정을 사용하는 복잡한 수리 모형들이 많음.
무한히 사는 개인, 완벽한 균형 예산, 완벽하게 합리적인 개인, 0인 거래 비용, CRS 등
1
- 비-현실적 가정들에 관한 의문은 경제학자들의 작업에 본성에 관한 것
참을 목표로 한 것인가, 단순히 지적인 게임을 하는 것인가?
1-2
- 이러한 질문은 경제학적 방법론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 밀튼 프리드먼: 경제 이론의 가정의 실재론은 이론에서 도출한 예측들이 정확한 한 문제가 되지 않음.(Friedman 1953)
프라드먼의 견해가 도구주의자들에게 인기
2
- 그러나 대부분의 방법론자들(과 경제학자들)이 도구주의를 버리는 많은 이유가 있음.
- 다니엘 하우스만의 비유 (Hausman 1994)
자동차가 매끄럽게 달린다면 후드 밑에 무엇이 있는지 알 필요가 없지만, 그것이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자마자 후드 내부에서 작동하는 것을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
- 또 다른 쟁점은 설명과 관련됨.
2
- 도구주의의 결함, 그리고 경제학 방법론에 관한 라카토스와 포퍼 식 접근에 따라, 토니 로우슨(Tony Lawson)과 우스칼리 매키는 1990년대에 거의 동시에 메타-이론적 접근으로서 실재론(realism)을 시작함.
2
- 매키와 로우슨은 둘 다 실재론이지만, 그들의 접근은 근본적으로 다름.
- 로우슨은 로이 바스카(Roy Bhaskar)의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에서 영감을 얻었고, 주류 경제학이 실재론과 일치할 수 없으며 그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함.
- 매키는 과학적 실재론이 경제학의 주류든 아니든 여러 접근과 화해할 수 있다고 봄.
출발점은 realism(meta-theoretical doctrine)과 realisticness(an attribute of scientific representations such as assumptions)의 차이점
비-현실적 가정들의 기능이 실재론과 양립가능한 한, 과학적 실재론은 비-현실적 가정들과 양립가능함.
2-3
실재론에 대한 로우슨의 설명이 실린 논문이나 선집은 쉽게 이용가능함.
매키는 다작을 했지만 대부분 전문적인 학술지에 출판함.
매키의 견해는 일반적인 철학자나 경제학자가 로우슨의 것만큼 접근하기는 어려움.
매키가 자신의 지적 이력을 제공하고 학생들과 인터뷰를 하고 로우슨의 실재론이나 수사법을 자신의 것과 비교했지만, 매키의 경제 철학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은 없음.
이 책은 경제학에 대한 매키의 과학적 실재론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그러한 누락을 교정하고자 함.
3
4
- 2절: 경제학의 철학에 대한 매키의 전망
- 3절: 존재론적・지시적 반-실재론에 관한 매키의 비판
- 4절: 상식적 존재자들(commonsensibles)의 관한 매키의 개념이 그러한 쟁점들과 어떻게 관계되는지 밝히고, 구성적 경험주의에 관한 매키의 견해를 나타냄.
- 5절: 통합(unificaation)에 관한 매키의 설명
- 6절: 분리(isolation)에 관한 매키의 방법
- 7절: realisticness와 가정들의 종류들에 관한 매키의 기여
- 8절: 모형에 관한 매키의 최근 연구
2. The vision
4-5
매키의 프로그램
매키의 1981-182
이러한 프로그램적 선언은 매키의 비전이 처음부터 목표가 되는 학문의 특수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경제학적 방법론과 연결됨을 보여줌.
이러한 자연주의는 실재론적 과학철학과 관련된 특징
5
매키는 과학철학에서의 딜레탕티즘(dilettantism)을 비판함.
이와 비슷하게 절충주의(eclecticism)를 피하기 어렵다고 주장함.
5-6
2000년이 될 때, 다니엘 하우스만이 매키와 로우슨의 실재론을 비판함.
실재론 자체가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실재론자 깃발을 흔든다’는 것을 비판함.
6
하우스만의 비판 이후에도 매키는 여전히 실재론자
...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이 가장 많이 알려진 버전이지만, 과학철학에서는 거의 논의되지 않음.
6
비판적 실재론자들이 매키의 실재론적 버전과 공유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들은 경제학이 실재론과 화해할 수 없다고 생각함.
3. Referential realism, explanation as redescription, and essentialism
6-7
매키는 주류 견해, 즉 실재론을 따르기 때문에 지적인 반란자는 아님.
p.7
최근에 매키는 수많은 실재론을 구분하고 자신의 견해가 거기에 속하지 않는다고 밝힘.
경제학과 관련된 존재론적 실재론은 경제학의 대상들이 존재한다고 함.
경제 이론과 관련된 지시적 실재론은 실재하는 어떤 것을 지시한다고 함.
표상적 실재론은 ...
7
이러한 분류의 중요한 특징은 lexicographically ordered 된다는 것
핵심 항목(items)에 관한 실재론자가 아니고서 어떤 항목에 관한 실재론자일 수 없음.
가장 핵심은 지시적 실재론에서 따라나온 존재론적 실재론이고, 그 다음이 다양한 의미론적 실재론들
7-8
매키는 주어진 학문에 맞추어 실재론을 최대화 하려는 노력
8
8
매키는 마흐럽(Machlup)의 견해에 반대함.
마흐럽은 경제학의 가정은 이론 용어를 포함하고 따라서 진리치를 가지지 않는다고 함.
8
그러면, 재기술로서의 설명은 무엇인가?
매키는 셀라스 같은 핵심 실재론 철학자에게서 개념을 빌려옴.
8-9
이론적 재기술은 본질적으로 본질주의(essentialism)와 관련됨.
이는 대상의 본질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함.
9
핵심은, 어떤 존재자가 무엇인지를 기술하는 방식으로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
어떤 것이나 어떤 현상을 설명하는 것은 그것의 본질이나 내재적 본성을 지시하는 것.
9
매키는 1990년대 초부터 탐구의 동일한 대상이 다른 학자에게 다른 본질로 받아들여졌음을 알았을 것.
예) 어떤 제도주의 이론은 거래 비용을 자본주의 경제 제도의 본질로 기술함.
다른 한편으로, 기업가적 각성(entrepreneurial alertness)은 인과력으로 이해되고, 오스트리아학파는 시장 과정을 시장의 본질에 관한 실재론적 표상으로 기술하고 기업자정신(entrepreneurship)을 시장의 본질로 기술함.
반면, 신-고전학파 경제학자는 가격 변동의 본질을 극대화의 징후(manifestation)로 고려함.
프리드먼은 ....
9
9-10
지시적 실재론을 확고하게 유지하는 두 번째 이유
참 경향(truth aptness) 개념이 매키의 실재론 브랜드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
veristic realism은 지시적 실재론을 전제하므로, 매키는 지시적 실재론을 양보하지 않을 것
매키는 경제 이론에서 전적으로 허구적인 존재자, 힘, 관계를 받아들이지 않음.
마흐럽은 한계주의적 회사가 허구에 불과하더라도, 그러한 기업들로 구성된 시장이 환경의 다양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관한 명제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함.
매키는 그러한 견해를 거부.
10
매키는 참에 관한 잉여 이론을 비판함.
잉여 이론의 근거는, “담지해야 할 참 담지자에 관한 속성이 없으므로, 참 담지자(truth bearers)는 없다는 것.”
10
대응 이론을 지지하는 논변은 경제학과 사회구성주의의 수사학을 비판하는 메키의 주요 주제
매키는 수사학자들과 사회구성주의자들을 자신의 반대자들이라고 생각함.
10
- 보닐라(Jesùs Zamora Bonilla)는 맥클로스키와 매키 사이의 ‘과학의 수사학’ 논쟁이 중요한 질문을 남겼다고 주장함.
왜 어떤 설득 전략은 성공적인가?
...
- 보닐라는 게임 이론적 모형이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고 주장함.
4. Commonsensibles and constructive empiricism
11
지시적 실재론의 중심성을 옹호하는 세 번째 이유는, 경제학이 상식적 존재자들을 다룬다는 매키의 주장과 관련됨.
선호나 믿음 같은 것들은 관찰불가능하다는 주장도 있음.
그러나 매키는, 그러한 것들이 관찰가능한 것이라고 하마. 왜냐하면 그러한 것들은 인간 세계의 상식적 furniture과 관련되기 때문.
11
상식적 존재자에 관한 개념은 재기술에 관한 셀라스식 개념과 관련됨.
11-12
매키가 ‘상식적 존재자’(commonsensble)이라는 용어를 1998년에 도입하지만, 이미 그로부터 10년 전에 기본적인 발상을 언급함.
p. 12
반 프라센의 실재론 특성 규정
매키는 이론을 수용하는 것과 믿는 것의 차이가 있다는 쪽에 편을 듦.
몇몇 실재론자(보이드, 필로스 등)는 매키를 실재론자로 여기지 않을 수도 있음.
12-13
뒤엠-콰인 식 미결정성과 매키
5. Unification
6. The method of isolation
p.21 #2
매키의 분리에 대한 서전의 비판
p.21 #3
매키의 대응
p.22 #1
서전의 비판은 매키보다 카트라이트에 더 영향을 줌
7. Truth, realisticness, and kinds of assumptions
8. Models and truth
9. Guidance for the reader
■ 책의 구성 [p. 31]
- 1부: 참의 개념과 분리의 방법
- 2부: 상식적 존재자 개념
- 3부: 경제학의 범위
- 4부: 매키의 과학적 실재론에 관한 대안적 메타 틀
p. 31
- 편집자들은 매키에게서 논문에 대한 응답을 받지 않음.
- 가장 큰 이유는 헬싱키에서 2011년 9월 4일에 하는 경제학 방법론에 관한 국제 네트워크(INEM) 학회가 열리기 전까지 이 책을 쓰는 것을 매키에게 숨기는데 성공하면, 우리가 경제학에 대한 매키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는 책을 함께 쓴다는 사실이 매키에게 뜻밖의 기쁨(pleasant surprise)을 줄 것임을 알았기 때문.
(202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