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9

인간 지네



과학학과에서 경기도 여주로 워크숍을 다녀왔다. 낮에 신륵사와 영릉에 갔다가 저녁 때 숙소에서 레크리에이션 같은 것을 했다. 프로그램 중에는 교수와 학생이 조를 이루어 문제를 맞추는 것도 있었다. <그림으로 말해요>라는 코너였는데, 주제별로 어떤 단어를 제시하면 조에서 한 사람당 5초씩 해당 단어를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하고 남은 한 사람이 맞추는 것이었다. 우리 조가 고른 주제는 ‘직업’이었다. 다른 주제보다는 훨씬 표현하기 쉬워 보여서 조원들이 안심했는데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요, 만약에 변리사를 그려보라고 하면 어떻게 하죠?” 내 말에 조원들이 일순간 멈칫했다. 다행히 그런 문제는 나오지 않았다.

소방관을 표현하는 건 비교적 쉬웠다. 문제는 대학원생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내 앞순번의 사람들이 방, 의자, 책상 등을 그렸다. 나는 대학원생의 좌절, 고뇌, 슬픔을 대충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표현했다. 시간이 부족해서 눈물을 못 그렸다.

나 다음 순번의 사람이 눈물을 마저 그려넣었다면 좋았을 텐데 나와 똑같은 그림을 연이어 두 개 더 그렸다. 그래서 모양이 약간 흉측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새로 부임한 신임 교수님은 그 그림을 보고 대학원생임을 알아맞혔다.

레크리에이션이 끝나고 간단히 술을 마실 때, 나는 좌절한 대학원생 그림이 연달아 세 개가 붙어있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인간 지네’라고 할까봐 걱정했다고 말했다. 주위에 있던 사람들이 그 말을 못 알아들었다. “인간 뭐요?” 이름을 알지만 잘 모르는 사람도 있었다. “인간 지네라고 이상한 게 있다고는 듣기는 들었는데 잘 모르겠네요.” 중학생 아들에게서 인간 지네라는 것을 들어봤다는 분도 있었다. 그게 뭔가 궁금해서 물어보니 아들이 말을 하다 말았다고 한다. 나는 그 분께 아들이 중학생이라니 일단 혼내라고 말했다.

그 와중에 신임 교수인 과학정책 선생님이 “풉!”하고 웃었다. 내가 “어? 선생님은 아시죠?”라고 물으니 과학정책 선생님은 금세 표정을 바꾸고 “모릅니다”라고 답했다. 아무래도 신임 교수님은 인간 지네 시리즈를 아시는 것 같다.

(2023.09.09.)


2023/11/07

[참고 문헌] 자연 법칙 - 인과 (영어 단행본)



Max Kistler (2006), Causation and laws of nature (Routledge).

Walter Ott (2009), Causation and laws of nature in early moder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2.15.)


2023/11/05

[한국 가요] 강산에 (Kang San Eh)



강산에 -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

( www.youtube.com/watch?v=pNirSs2N0hw )

강산에 - 넌 할 수 있어

( www.youtube.com/watch?v=qPhaSz9VefY )

강산에 - 지금

( www.youtube.com/watch?v=D4_6uuQr9fg )

강산에 - 널 보고 있으면

( www.youtube.com/watch?v=2y0W1y0eeV4 )

강산에 - 깨어나

( www.youtube.com/watch?v=0JXwcn505Rw )

강산에 - 삐딱하게

( www.youtube.com/watch?v=M0UjUdW3WnI )

강산에 - 라구요

( www.youtube.com/watch?v=Efw6x5EvuJ0 )

강산에 - 와그라노

( www.youtube.com/watch?v=9qcwAzSXM64 )

(2023.11.12.)


자신이 『환단고기』 신봉자인 줄 몰랐던 『환단고기』 신봉자



고등학교에서 아르바이트를 할 때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언급한 적이 있다. 연역 논증이 무엇이냐고 학생들에게 물어보니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답하고 귀납 논증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니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답했다. 틀린 답변이다. 연역 논증은 전제들이 참일 때 결론이 필연적으로 참인 논증이고 귀납 논증은 전제들이 참일 때 결론이 개연적으로 참인 논증이다.

학생들이 틀린 답변을 했다고 지적하자 몇몇 학생들이 당황했다. 중학교 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다는 것이었다. 그 말에 나는 “교과서 내용은 대체로 맞지만 다 맞는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교과서에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 여기까지만 말했어야 했는데 나는 “교과서 집필진이 모두 멀쩡한 사람이라는 보장도 없다. 『환단고기』 신봉자가 윤리 교과서 집필진이었던 적도 있다”고 말했다. 내가 “『환단고기』 신봉자”를 언급하자 학생들이 더욱 술렁거렸다. 몇몇 학생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도저히 믿기지 않을 일이었을 것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 교수는 교과서 집필진이었던 당시에는 『환단고기』를 위서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그 교수는 같은 시기에 공자는 한국인이라고 주장했다. 공자는 동이족이고 동이족은 한국인이니까 공자는 한국인이라는 놀라운 삼단 논법을 펼쳤다. 그 교수는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그러한 내용을 정리하여 책으로 출판했고, 그 교수가 소속된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그 책을 읽혔다. 이는 중국에까지 알려졌다. 중국 매체는 한국 모 대학에 공자가 한국인이라고 주장하는 교수가 있다고 보도했다. 당시 한국 언론에서는 해당 대학에 그러한 이름을 가진 교수가 없다며 중국 매체의 보도를 가짜 뉴스인 것처럼 다루었으나, 유학생들이 한국어가 서툴러서 그 교수의 이름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했을 수는 있어도 그러한 사실 자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 문제의 책이 바로 『곰이 성공하는 나라』이다.(대웅제약 창업주 자서전 제목으로 썼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내가 15년 전쯤에 실제로 보았던 것을 말했는데도 학생들은 믿기 못하겠다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렇게 쉬는 시간이 되었고 학생 중 한 명이 소리쳤다. “우와, 진짜 있네?” 휴대전화로 검색했는데 『곰이 성공하는 나라』라는 책이 정말로 있으니 놀랐던 것이다. 근처에 있던 학생들이 그 학생에게 몰려들었다. 목차만 봐도 어마어마한 책임을 눈치챈 것 같았다.

쉬는 시간이 끝나고 다시 수업 시간이 되었을 때, 학생들은 그 책을 두고 여전히 웅성거렸다. 이미 원래 강의 내용 같은 것은 알 바가 아닌 상황이 되었다. 나는 그 교수가 자신이 환단고기 신봉자임을 어떻게 자각하게 되었는지 설명했다.

그 교수는 『환단고기』를 위서라고만 알고 실제로는 한 번도 안 읽어보았는데, 대학원 지도학생 중 한 명이 그 교수에게 『환단고기』를 읽어볼 것을 강력하게 권유하여 별 생각 없이 읽어보았더니 자신이 평생동안 한 연구와 정확히 일치하여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자기가 평생동안 한 연구가 『환단고기』와 일치하면 자기 연구가 망했다고 생각해야 하는데, 반대로 그 교수는 자기 연구가 『환단고기』가 역사서임을 입증하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내가 소설을 못 읽어서 잘 모르는데 보르헤스 소설 중에 그와 비슷한 내용의 소설도 있다고 한다. 그야말로 소설 같은 이야기인데 내가 이러한 일을 두 눈으로 직접 보았다고 말한다면 누가 곧이곧대로 믿겠는가?

하여간 요새 그 교수는 증산도 방송인 <상생방송>에서 『환단고기』 강의를 한다고 알고 있다. 나는 그 교수가 언젠가 그러고 돌아다닐 줄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

(2023.09.05.)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