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제5장. 내재론과 외재론」, 『현대 인식론』 (민음사, 2003). ]
내재론과 외재론을 다루는 상이한 세 차원과 관련된다.
인식정당성을 설명하는 이론은 한 믿음이 적절한 근거에 의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해야 한다.
-> ‘근거’, ‘적절함’, ‘의존함’
-> 인식정당성의 근거, 근거의 적절성, 토대 관계
인식 정당성의 근거
증거주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경험적 상태와 문제의 믿음 사이의 ‘증거관계’가 그 믿음의 정당성에 핵심적이다.
(이때 경험적 상태가 명제적 내용을 가지는가의 문제)
과정주의: 인지적 상태가 아니라 ‘인지적 과정’을 한 믿음의 인식정당성의 근거로 본다.
신빙성 있는 지표이론은 지식을 분석할 때 한 믿음이 그 믿음을 참이게 하는 사실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 주목
-> 관찰 가능하지만 내성가능하지 않다.
-> 외재론
근거의 적절성
근거 내재론/외재론과 적절성 내재론/외재론의 관계
근거 외재론은 한 믿음을 지식이게 만드는 근거는 외적인 사실이라고 본다.
-> 적절성의 기준은 외적인 사실과 믿음 사이의 관계에 있다.
-> 그 관계는 내성의 밖에 존재하는 사실과 관련된다.
-> 적절성 외재론
근거 내재론은 반드시 적절성 내재론일 필요는 없다. 증거주의는 증거와 믿음 사이의 객관적 확률, 주관적 확률, 둘 다 근거로 제시 가능하다.
토대 관계
토대 내재론: 믿음과 증거 사이의 지지 관계에 대한 (상위의) ‘믿음’이 인식정당성의 토대관계를 이룬다.(내성 가능)
토대 외재론: 토대관계를 ‘인과관계’를 통해 분석하는 입장(인과관계는 내성 불가능)
(1) 모든 근거 외재론은 토대 외재론
(2) 대우에 따라 토대 내재론은 근거 내재론
(3) 과정주의 이론은 본질적으로 토대 외재론
(4) 증거주의 이론은 토대 외재론일 수도 있고 내재론일 수도 있다.
인식정당성에 대한 전통적 견해의 경향
(1) 인식 주체의 평가에 따른 상위 믿음의 요구
(2) 인식정당성을 심리 상태의 함수로 봄에 따른 반인과론 -> 내재론적 성격
발생적 견해
: 인식상태나 인식 성향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음 -> 외재론적 성격
-> 객관적으로 참일 확률이 높아야 함.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