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8/20

[기독교] 구약성서 「창세기」 요약 정리 (미완성)



[ The Holy Bible - New International Version (1984년판).

개역개정판 성경전서 제4판 (2005년 11월) ]

■ 천지 창조 [1:1-2:3]

- 첫째 날: 빛과 어둠을 나누고 각각 ‘낮’과 ‘밤’이라고 부름.(1:3-5)

- 둘째 날: 궁창(expanse)을 만듦.

•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을 나누고 궁창을 ‘하늘’이라고 부름.

- 셋째 날: 바다와 땅을 만듦.(1:9-13)

• 하늘 아래의 물을 한 곳에 모아 뭍을 드러나게 함.

• 물을 ‘바다’라고 부르고 뭍을 ‘땅’이라고 부름.

• 땅에 식물이 자라게 함.

- 넷째 날: 하늘에 해, 달, 별을 만들어 땅을 비추고 낮과 밤을 주관하게 함.(1:13-19)

- 다섯째 날: 땅과 하늘과 바다에 생명체를 만들고 번성하라고 함.(1:20-23)

- 여섯째 날: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만듦.

• 사람이 생육하고 번성하며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고 함.

- 일곱째 날: 하나님이 모든 일을 마치고 안식함.(2:1)

■ 에덴 동산 [2:4-2:25]

- 땅에 식물이 없고 안개만 지면을 적심.(2:5-6)

-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짓고 코에 생기를 불어넣음.(2:7)

- 에덴에 동산을 만들고 거기에 사람을 둠.(2:8)

• 동산 한가운데에 생명의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2:9)

• 에덴에서 흘러나온 네 강: 비손, 기혼, 힛데겔, 유브라데 (2:10-14)

- 하나님이 아담에게 다른 열매는 먹어도 되지만 선악과를 먹으면 죽으니 먹지 말라고 함.(2:16-17)

- 아담이 각종 짐승들의 이름을 붙이게 함.(2:18-19)

- 하나님이 아담의 갈비뼈로 여자를 만듦.(2:21-24)

- 아담과 그의 아내는 벌거벗었지만 부끄러워하지 않음.(2:25)

■ 인간의 타락 [3:1-3:24]

- 뱀이 여자가 선악과를 먹게끔 유혹함.(3:1-5)

- 여자가 선악과를 먹은 뒤 아담에게 선악과를 주어 아담도 먹음.

• 둘의 눈이 밝아져 자기들이 벗은 줄 알고 무화과나무 잎으로 치마를 만들어 가림.

• 하나님이 아담과 그의 아내를 불렀으나 벗은 것이 부끄러워 숨음.

- 뱀은 저주를 받아 배로 기어다니게 됨.(3:14)

- 뱀이 여자와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됨.(3:15)

- 여자는 출산하는 고통을 얻음.(3:16)

- 남자는 평생 수고해야 그 소산을 먹게 됨.(3:17)

- 아담이 아내 이름을 하와(Eve)라고 지음.(3:20)

- 하나님이 가죽옷을 만들어 아담과 하와에게 입히고 에덴 동산에서 쫓아냄.

■ 가인과 아벨 [4:1-4:26]

- 하와가 가인(Cain)과 아벨(Abel)을 낳음.

• 형인 가인은 농사짓는 자, 아우인 아벨은 양 치는 자가 됨.

- 주님이 아벨의 제물은 받고 가인의 제물을 받지 않음.

- 가인이 아벨을 들판에서 죽임.(4:8)

• “네 아우 아벨은 어디에 있느냐?”, “제가 내 아우를 지키는 자입니까?”(4:9)

- 가인이 주님 앞을 떠나 아덴 동쪽 놋(Nod) 땅에 거주 (4:16)

- 가인의 후손들

• 가인 - 에녹(Enoch) - 이랏(Irad) - 므후야엘(Mehujael) - 므드사엘(Methushael) - 라멕(Mamech)

• 라멕이 아다(Adah)와 씰라(Zillah)를 아내로 맞이함.(4:19)

• 아다가 낳은 야발(Jabal)은 가축치는 자의 조상이 됨.

• 야발의 동생 유발(Jubal)은 수금과 퉁소 잡는 자의 조상이 됨.

• 씰라가 낳은 두발가인(Tubal-Cain)은 구리와 쇠로 기구를 만드는 자가 됨.

• 두발가인의 누이는 나아마(Naamah) (4:22)

- 아담이 셋(Seth)을 낳고 셋이 에노스(Enosh)를 낳음.(4:25-26)

■ 아담의 계보 [5:1-5:32]

- 아담이 130세에 셋(Seth)을 낳고 930세에 사망.(5:4-5)

- 셋은 105세에 에노스(Enosh)를 낳고 912세에 사망.(5:6-8)

- 에노스는 90세에 게난(Kenan)을 낳고 905세에 사망.(5:9-11)

- 게난은 70세에 마할랄렐(Mahalalel)을 낳고 910세에 사망.(5:12-14)

- 마할랄렐은 65세에 아렛(Jared)을 낳고 895세에 사망.(5:15-17)

- 아렛은 162세에 에녹(Enoch)을 낳고 962세에 사망.(5:18-20)

- 에녹은 65세에 므두셀라(Methuselah)를 낳고 365세에 사망.(5:21-24)

- 므두셀라는 187세에 라멕(Lamech)을 낳고 969세에 사망.(5:25-27)

- 라멕은 182세에 노아(Noah)를 낳고 777세에 사망.(5:28-31)

- 노아는 500세 이후에 셈(Shem), 함(Ham), 야벳(Japheth)을 낳음.(5:32)

■ 대홍수 [6:1-8:19]

-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을 아내로 삼음.(6:1-2)

• 사람의 수명은 120년이 되게 함.(6:3)

• 네피림(Nephilim)이 있었고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용사를 낳음.(6:4)

- 사람이 생각하는 것이 모두 악함을 주님이 알고 사람을 만든 것을 한탄함.(6:5-6)

• 지면에 있는 모든 것과 공중의 새까지 쓸어버리고자 함.(6:7)

- 노아는 주님께 은혜를 입음.(6:8)

- 하나님이 노아에게 말한 것(1)

• 인간의 포악함이 땅 위에 가득하므로 인간들을 없앨 것임.(6:13)

• 고페르 나무(cypress wood)로 방주를 만들고 그 안에 칸을 나누고 역청(pitch)을 안팎에 칠할 것.

• 방주 규격: 길이 300규빗(450피트), 너비 50규빗(75피트), 높이 30규빗(45피트).

• 창문을 만들고, 문은 방주 옆에 만들고, 방주를 3층으로 만들 것.

• 새, 가축, 땅 위의 모든 짐승을 암수 한 쌍씩 보낼 테니 방주에 태울 것.

• 노아의 가족과 짐승들이 먹을 양식을 비축할 것.

- 하나님이 노아에게 말한 것(2) [7:1-7:4]

• 노아와 그 가족들은 모두 방주에 들어갈 것.

• 정결한 짐승은 암수 일곱씩, 부정한 짐승은 암수 둘씩, 공중의 새도 암수 일곱씩 데려올 것.

• 7일 뒤 40일 밤낮으로 비를 내려 모든 생물을 지면에서 쓸어버릴 것임.

- 노아는 주님이 명한 것을 모두 함.

- 암수 둘씩 방주에게 들어간 지 7일 후에 홍수가 땅을 덮침.(7:10)

• 그 날이 노아가 600세 되던 해 둘째 달 열이렛날

- 40일 주야로 비가 쏟아짐.

• 방주가 땅에서 떠올라 물에 떠다님.

• 물이 15규빗이 오르니 산이 잠김.

• 땅 위의 모든 생물이 죽음.

•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던 자들만 살아남음.

- 홍수가 그침

• 하나님이 바람을 땅 위로 불게 함.

• (홍수가 난 지) 150일 후에 물이 줄어들기 시작함.

• 일곱째 달 열이렛날에 방주에 아라랏 산에 머묾.

• 열째 달 초하루에 산들의 봉우리가 보임.

• 40일 후 노아가 방주에서 까마귀를 내보내니 땅이 마를 때까지 날아 왕래함.

• 노아가 비둘기를 내보내니 온 지면에 물이 있어 방주로 돌아옴.

• 7일 후 노아가 비둘기를 방주에서 내보내니 감람나무 새 잎을 물고 옴.

• 다시 7일 후 노아가 비둘기를 방주에서 내보내니 돌아오지 않음.

- 노아의 601년 첫째 달 초하루날에 땅 위에서 물이 걷힘.

• 둘째 달 스무이렛날에 땅이 완전히 마름.

- 하나님은 노아와 함께 한 모든 생물들이 번성할 것이라고 함.

■ 하나님이 노아에게 한 언약 [8:20-9:17]

- 노아가 제단을 쌓고 정결한 짐승과 새 중에서 제물을 취하여 주님께 번제를 드림.

- 주님이 그 향기를 받고 다음과 같이 말씀하심.

• 사람의 마음이 계획하는 바가 악하더라도, 사람 때문에 땅을 저주하지는 않을 것임.

• 모든 생물을 멸하지 않을 것임.

• 심음과 걷음, 추위와 더위, 여름과 겨울, 낮과 밤이 쉬지 않을 것임.

-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복을 주며 말함.(9:1-9:7)

• 생육하고 번성할 것

• 모든 짐승이 너희를 무서워할 것임

• 모든 산 동물들은 너희의 먹을 것이 될 것임.

• 그러나 고기를 피째 먹지 말 것.

•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면 그 사람의 피도 흘릴 것임.

-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말한 것

• 다시는 홍수로 모든 생물을 멸하지 않을 것임.

• 언약의 증거는 무지개

■ 노아의 아들들 [9:18-9:29]

- 노아의 아들들은 셈(Shem)과 함(Ham)과 야벳(Japheth).

• 함은 가나안(Canaan)의 아버지

- 노아가 포도나무를 심고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장막 안에서 벌거벗음.

- 함이 그의 아버지의 하체를 보고 밖에 나가서 두 형제에게 알림.

- 셈과 야벳이 옷을 가져다가 그들의 아버지의 하체를 덮고 아버지의 하체를 보지 않음.

- 노아가 술이 깨어 작은 아들이 자기에게 행한 일을 알고 “하나님이 야벳을 창대하게 하고 셈은 장막에 거하게 하고 가나안은 그의 종이 되게 하기를 원한다”고 말함.

- 노아는 홍수 후에 350년을 살았고 그의 나이 950세에 죽음.

■ 노아의 아들들의 족보 [10:1-10:32]

- 노아의 아들들은 홍수 후에 아들을 낳음.

- 야벳의 아들

• 야벳의 아들은 고멜(Gomer), 마곡(Magog), 마대(Madai), 야완(Javan), 두발(Tubal), 메섹(Meshech), 디라스(Tiras)

• 고멜의 아들은 아스그나스(Ashkenaz), 리밧(Riphath), 도갈마(Togarmah)

• 야완의 아들은 엘리사(Elishah), 달시스(Tarshish), 깃딤(Kittim), 도다님(Rodanim)

- 함의 아들

• 함의 아들은 구스(Cush), 미스라임(Mizraim), 붓(Put), 가나안(Canaan)

• 구스의 아들은 스바(Seba), 하윌라(Havilah), 삽다(Sabtah), 라아마(Raamah), 삽드가(Sabteca)

• 라아마의 아들은 스바(Sheba), 드단(Dedan)

• 구스가 낳은 니므롯(Nimrod)은 세상의 첫 용사

• 그의 나라는 시날(Shinar) 땅의 바벨(Babylon), 에렉(Erech), 악갓(Akkad), 갈레(Calneh)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땅에서 앗수르(Assyria)로 나아가 니느웨(Nineveh), 르호보딜(Rehoboth Ir), 갈라(Calah), 레센(Resen)을 건설함.

• 미스라임은 루딤(Ludites), 아나밈(Anamites), 르하빔(Lehabites), 납두힘(Naphtuhites), 바드루심(Pathrusites), 가슬루힘(Casluhites), 갑도림(Caphtorites)을 낳음.

• 가나안은 장자 시돈(Sidon), 헷(Hittites), 여부스 족속(Jebusites), 아모리 족속(Amorites), 기르가스 족속(Girgashites), 히위 족속(Hivites), 알가 족속(Arkites), 신 족속(Sinites), 아르왓 족속(Arvadites), 스말 족속(Zemarites), 하맛 족속(Hamathites)을 낳았고, 이후로 가나안 자손의 족속이 흩어져 나아감.

- 셈의 아들

• 셈은 에벨(Eber)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

• 셈의 아들은 엘람(Elam), 앗수르(Asshur), 아르박삿(Arphaxad), 룻(Lud), 아람(Aram)

• 아람의 아들은 우스(Uz), 훌(Hul), 게델(Gether), 마스(Meshech)

• 아르박삿은 셀라(Shelah)를 낳고, 셀라는 에벨(Eber)을 낳음.

• 에벨은 벨렉(Peleg)과 욕단(Joktan)을 낳음. 벨렉이라는 이름은 그 때 세상이 나뉘었기 때문.

• 욕단의 아들은 알모닷(Almodad), 셀렙(Sheleph), 하살마웻(Hazarmaveth), 예(Jerah), 하도람(Hadoram), 우살(Uzal), 디글라(Diklah), 오발(Obal), 아비마엘(Abimael), 스바(Sheba), 오빌(Ophir), 하윌라(Havilah), 요밥(Jobab)

• 그들이 거주하는 곳은 메사(Mesha)에서부터 스발(Sephar)로 가는 길의 동쪽 산

■ 바벨 [11:1-11:9]

- 온 땅의 언어가 하나

-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 시날(Shinar) 평지에서 거류함.

- 벽돌로 돌을 대신하고 역청으로 진흙을 대신하고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고 함.

- 주님은 이 무리가 한 족속이고 언어도 하나라 이와 같이 시작하면 이후 하고자 하는 일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니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고자 함.

- 주님이 그들을 온 지면에 흩어서 그들이 도시 건설을 그침.

- 이름을 바벨(Babel)이라고 한 것은 주님이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하게 했기 때문.

■ 셈의 족보 [11:10-11:32]

- 셈의 족보

• 셈은 홍수 2년 후인 100세에 아르박삿을 낳고 500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아르박삿은 35세에 셀라를 낳고 403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셀라는 30세에 에벨을 낳고 403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에벨은 34세에 벨렉을 낳고 430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벨렉은 30세에 르우(Reu)를 낳고 209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르우는 32세에 스룩(Serug)을 낳고 207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스룩은 30세에 나홀(Nahor)을 낳고 200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나홀은 29세에 데라(Terah)를 낳고 119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음.

• 데라는 70세에 아브람(Abram), 나홀(Nahor), 하란(Haran)을 낳음.

- 데라의 족보

• 데라는 아브람, 나홀, 하란을 낳음.

• 하란을 롯(Lot)을 낳음.

• 하란은 아비인 데라보다 먼저 고향 갈대아인의 우르(Ur of the Chaldeans)에서 죽음.

• 아브람의 아내는 사래(Sarai)

• 나홀의 아내는 밀가(Milcah)이니 하란의 딸임.

• 하란은 밀가와 이스가(Iscah)의 아버지임.

-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여 자식이 없었음.

- 데라가 아브람, 롯, 사래를 데리고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다가 하란(Haran)에서 거류함.

• 데라는 205세에 하란에서 죽음.

■ 하나님이 아브람을 부르다 [12:1-12:9]

- 주님이 아브람에게 고향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그에게 보여줄 땅으로 가라고 말함.

- 아브람이 주님이 말한 대로 떠남.

• 아브람이 하란을 떠날 때 75세.

- 아브람이 아내 사래와 조카 롯과 하란에서 모은 모든 소유와 얻은 사람들을 이끌고 가나안(Canaan) 땅에 들어감.

- 아브람이 그 땅을 지나 세겜(Shechem) 땅 모레(Moreh) 상수리나무(great tree)에 이르니 가나안 사람들이 그 땅에 거주함.

• 주님이 아브람에게 나타나 그 땅을 아브람의 자손에게 줄 것이라고 함.

• 아브람이 거기서 제단을 쌓고, 거기서 벧엘 동쪽 산으로 옮겨 장막을 치니 서쪽은 벧엘(Bethel)이고 동쪽은 아이(Ai)였음.

- 점점 남방(Negev)으로 옮겨감.

■ 아브람이 애굽으로 가다 [12:10-12:20]

- 그 땅에 기근이 심하여 아브람이 애굽(Egypt)로 내려감.

- 아브람이 애굽 가까이에 이르렀을 때 아내 사래에게 말함.

• “그대는 아리따운 여인이라 나의 아내라고 하면 나를 죽이고 그대는 살릴 것이니, 나의 누이라고 하면 내 목숨이 보존될 것이다.”

- 아브람이 애굽에 이르렀을 때 애굽 사람들은 사래가 매우 아름답다고 생각함.

- 바로(Pharaoh)가 아브람을 후대하고 양, 소, 노비, 암수 나귀, 낙타를 줌.

- 주님이 사래의 일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림.

- 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왜 사래가 네 아내라고 하지 않고 누이라고 하여 아내로 삼게 했느냐?”고 묻고 사래를 데려가라고 함.

- 바로가 사람들에게 명하여 아브람의 아내와 모든 소유를 보내도록 함.

■ 롯이 아브람을 떠나다 [13:1-13:18]

- 아브람이 그의 아내와 모든 소유와 롯과 함께 애굽을 떠나 네게브로 감.

• 아브람에게 가축과 은과 금이 풍부했음.

- 네게브와 벧엘을 거쳐 벧엘과 아이 사이(장막을 쳤던 곳)에 도달함.

- 아브람과 롯의 소유가 많아서 동거하기에 넉넉하지 못했음.

• 아브람의 목자(herdsmen)와 롯의 목자가 다툼.

• 가나안 사람(Canaanites)과 브리스 사람(Perizzites)도 그 땅에 거주함.

- 아브람이 롯에게 친족끼리 다투지 않도록 서로 다른 곳으로 가자고 말함.

- 롯은 요단(Jordan) 지역을 택하여 동쪽으로 가고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함.

- 롯이 소돔(Sodom)에 이름.

• 소돔 사람들은 악하며 큰 죄인이었음.

- 롯이 아브람을 떠난 뒤, 주님이 아브람에게 보이는 땅을 아브람과 아브람의 후손에게 영원히 줄 것이며 아브람의 자손을 티끌처럼 많게 하겠다고 말함.

- 아브람은 헤브론(Hebron)에 있는 마므레(Mamre) 상수리 수풀에 거주하며 주님을 위한 제단을 쌓음.

■ 아브람이 롯을 구하다 [14:1-14:24]

- 당시 싸움이 있었음.

• 시날(Shinar) 왕 아므라벨(Amraphel), 엘라살(Ellasar) 왕 아리옥(Arioch), 엘람(Elam) 왕 그돌라오멜(Kedorlaomer), 고임(Goiim) 왕 디달(Tidal)

• vs. 소돔(Sodom) 왕 베라(Bera), 고모라(Gomorrah) 왕 비르사(Birsha), 아드마(Admah) 왕 시납(Shinab), 스보임(Zeboiim) 왕 세메벨(Shemeber), 소알(Zoar) 왕 벨라(Bela)

- 이들이 모두 싯딤 골짜기(Valley of Siddim), 곧 지금의 염해(Salt Sea)에 모임.

- 이들이 12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13년에 배반함.

- 14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이 여러 족속을 침.

• 아스드롯 가르나임(Ashteroth Karnaim)에서 르바 족속(Rephaites)을 침.

• 함(Ham)에서 수스 족속(Zuzites)을 침.

• 사웨 기랴다임(Shaveh Kiriathaim)에서 엠 족속(Emites)을 침.

• 세일(Seir)에서 호리 족속(Horites)을 쳐서 엘바란(El Paran)까지 이름.

• 엔미스밧(En Mishpat) 곧 가데스(Kadesh)에 이르러 아멜렉 족속(Amalekites)의 온 땅과 하사손다말(Hazazon Tamar)에 사는 아모리 족속(Amorites)을 침.

- 싯딤 골짜기에서 4대 5로 맞붙게 됨.

- 싯딤 골짜기에 역청 구덩이(tar pits)가 많아 소돔 왕과 고모라 왕이 달아날 때 일부는 거기에 빠지고 나머지는 산으로 도망침.

- 네 왕이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고 소돔에 거주하는 롯도 사로잡힘.

- 도망친 자가 아브람에게 이 사실을 알림.

• 그 때 아브람은 아모리 족속 마므레(Mamre)의 상수리 수풀 근처에 살았음.

• 마므레는 에스골(Eshcol)과 아넬(Aner)의 형제로 이들은 아브람과 동맹한 사람들

- 아브람은 그의 집에서 태어나고 훈련받은 318명을 거느리고 단(Dan)까지 쫓아가서 밤에 그들을 쳐부수고 다마섹(Damascus) 왼편 호바(Hobah)까지 쫓아가 조카 롯과 재물과 부녀와 친척을 찾아옴.

- 아브람이 돌아오자 소돔 왕은 사웨 골짜기(Valley of Shaveh), 즉 왕의 골짜기에서 아브람을 영접함.

- 살렘(Salem) 왕 멜기세덱(Melchizedek)이 아브람을 축복하고 하나님을 찬송함.

• 아브람은 얻은 것의 10분의 1을 멜기세덱에게 줌.

- 소돔 왕은 아브람에게 사람은 자신에게 보내고 물품을 가지라고 함.

- 아브람은 청년들이 먹은 것과 아넬과 에스골과 마므레의 것을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가지지 않음.

■ 하나님이 아브람과 한 언약 [15:1-15:21]

- 주님의 말씀이 환상 중에 아브람에게 임함.

• 네 몸에서 난 자가 네 상속자가 될 것임.

• 너에게 이 땅을 주려고 갈대아인의 우르에서 너를 이끌어냈음.

• 나를 위하여 3년 된 암소, 암염소, 숫양,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를 가져올 것.

- 아브람은 주님이 말한 것을 가져다 중간을 쪼개고 쪼갠 것을 마주 대하여 놓음.

• 새는 쪼개지 않음.

- 해 질 때 아브람이 깊은 잠에 빠짐.

- 주님이 아브람에게 말함.

• 네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길 것이고 400년 동안 고통받을 것임.

• 네 자손이 섬기는 나라를 징벌할 것이며 이후에 네 자손이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올 것임.

• 너는 장수하다가 평안히 조상에게 돌아가 장사될 것임.

• 네 자손은 4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올 것임. 이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가득 차지 않아서임.

- 주님이 아브람에게 “애굽 강(river of Egypt)에서부터 큰 강 유프라데(Euphrates)까지 너의 자손에게 줄 것”이라고 언약함.

■ 하갈과 이스마엘 [16:1-16:16]

- 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출산하지 못했음.

• 사래에게는 애굽 사람 여종 하갈(Hagar)이 있었음.

- 사래가 하갈을 남편 아브람에게 첩으로 줌. 이 때가 가나안 땅에 거주한 지 10년 후임.

- 하갈이 임신하자 여주인을 멸시함.

• 사래가 아브람에게 “내가 받는 모욕은 당신이 받는 것이 옳다. 주님이 당신과 나 사이에서 판단하기를 원한다”고 말함.

• 아브람이 사래에게 “당신의 여종은 당신의 수중에 있으니 좋을 대로 행하라”고 함.

- 사래가 하갈을 학대하여 사래가 도망감.

- 주님의 사자가 광야의 샘물 곁 곧 술(Shur) 길 샘 곁에서 하갈을 만나 말함.

• 네 여주인에게 돌아가서 복종하라.

• 네 씨를 크게 번성하게 하여 그 수가 많아 셀 수 없게 할 것임.

• 아들을 낳을 것이니 그 이름을 이스마엘(Ishmael)이라고 할 것. 이는 주님께서 그 고통을 들었음이라.

• 그는 들나귀 같이 될 것이니 그가 모든 형제와 대항해서 살 것임.

- 하갈이 주님의 이름을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이라고 함.

• 그 샘을 브엘라해로(Beer Lahai Roi)라고 불렀음. 가데스(Kadesh)와 베렛(Bered) 사이에 있음.

- 하갈이 아브람의 아들을 낳으니, 아브람이 그 아름을 이스마엘이라고 이름 지음.

• 이 때 아브람이 86세.

■ 할례 [17:1-17:27]

17

할례 계약 (9-14)

사래의 이름이 사라로 바뀌다 (15-17)

약속된 아들 이삭 (18-27)

18:1-18:15

18

세 천사가 아브라함을 찾아오다 (1-8)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이라는 약속을 듣고 웃다 (9-15)

18:16-18:33

아브라함이 소돔을 위해 간청하다 (16-33)

19:1-19:29

19

천사들이 롯을 찾아오다 (1-11)

롯과 그의 가족에게 떠나라고 재촉하다 (12-22)

소돔과 고모라가 멸망되다 (23-29)

롯의 아내가 소금 기둥이 되다 (26)

19:30-19:39

롯과 그의 딸들 (30-38)

모압과 암몬의 기원 (37, 38)

20:1-20:18

20

아비멜렉에게서 구출된 사라 (1-18)

21:1-21:7

21

이삭의 출생 (1-7)

21:8-21:21

이스마엘이 이삭을 조롱하다 (8, 9)

하갈과 이스마엘을 떠나보내다 (10-21)

21:22-21:34

아브라함이 아비멜렉과 계약을 맺다 (22-34)

22:1-22:19

22

이삭을 바치라는 말을 들은 아브라함 (1-19)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인한 축복 (15-18)

22:20-22:24

리브가의 가족 (20-24)

23:1-23:20

23

사라의 죽음과 그의 매장지 (1-20)

24

이삭의 신붓감을 찾다 (1-58)

리브가가 이삭을 만나러 가다 (59-67)

25

아브라함이 재혼하다 (1-6)

아브라함의 죽음 (7-11)

이스마엘의 아들들 (12-18)

야곱과 에서의 출생 (19-26)

에서가 맏아들의 권리를 팔다 (27-34)

26

이삭과 리브가가 그랄에서 살다 (1-11)

하느님께서 이삭에게 확언하신 약속 (3-5)

우물을 놓고 다투다 (12-25)

이삭이 아비멜렉과 맺은 계약 (26-33)

에서가 헷 사람 둘을 아내로 삼다 (34, 35)

27

야곱이 이삭의 축복을 받다 (1-29)

축복을 구하면서도 회개하지 않는 에서 (30-40)

에서가 야곱에게 원한을 품다 (41-46)

28

이삭이 야곱을 밧단아람으로 보내다 (1-9)

야곱이 베델에서 꾼 꿈 (10-22)

하느님께서 야곱에게 확언하신 약속 (13-15)

29

야곱이 라헬을 만나다 (1-14)

야곱이 라헬을 사랑하다 (15-20)

야곱이 레아와 라헬과 결혼하다 (21-29)

레아가 낳은 야곱의 네 아들: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30-35)

30

빌하가 단과 납달리를 낳다 (1-8)

실바가 갓과 아셀을 낳다 (9-13)

레아가 잇사갈과 스불론을 낳다 (14-21)

라헬이 요셉을 낳다 (22-24)

야곱의 가축 떼가 불어나다 (25-43)

31

야곱이 가나안으로 몰래 떠나다 (1-18)

라반이 야곱을 따라잡다 (19-35)

야곱이 라반과 맺은 계약 (36-55)

32

야곱이 천사들을 만나다 (1, 2)

야곱이 에서를 만날 준비를 하다 (3-23)

야곱이 천사와 씨름하다 (24-32)

야곱의 이름이 이스라엘로 바뀌다 (28)

33

야곱이 에서를 만나다 (1-16)

야곱이 세겜으로 가다 (17-20)

34

디나가 강간을 당하다 (1-12)

야곱의 아들들이 속임수를 쓰다 (13-31)

35

야곱이 이방 신들을 없애다 (1-4)

야곱이 베델로 돌아가다 (5-15)

베냐민의 출생. 라헬의 죽음 (16-20)

이스라엘의 열두 아들 (21-26)

이삭의 죽음 (27-29)

36

에서의 후손 (1-30)

에돔의 왕들과 족장들 (31-43)

37

요셉의 꿈 (1-11)

형들이 요셉을 질투하다 (12-24)

요셉이 종으로 팔리다 (25-36)

38

유다와 다말 (1-30)

39

보디발의 집에서 살게 된 요셉 (1-6)

요셉이 보디발의 아내를 뿌리치다 (7-20)

요셉이 감옥에 갇히다 (21-23)

40

요셉이 감옥에 갇힌 사람들의 꿈을 해석하다 (1-19)

“해석은 하느님께 속해 있습니다” (8)

파라오의 생일잔치 (20-23)

41

요셉이 파라오의 꿈을 해석하다 (1-36)

파라오가 요셉을 높이다 (37-46ㄱ)

요셉이 식량을 관리하다 (46ㄴ-57)

42

요셉의 형들이 이집트로 가다 (1-4)

요셉이 형들을 만나 시험하다 (5-25)

형들이 집으로 야곱에게 돌아가다 (26-38)

43

요셉의 형들이 베냐민과 함께 다시 이집트로 가다 (1-14)

요셉이 다시 형제들을 만나다 (15-23)

요셉이 형제들과 식사하다 (24-34)

44

베냐민의 자루에서 나온 요셉의 은잔 (1-17)

유다가 베냐민을 위해 간청하다 (18-34)

45

요셉이 자신을 밝히다 (1-15)

요셉의 형제들이 야곱을 데리러 돌아가다 (16-28)

46

야곱과 그의 집안이 이집트로 이주하다 (1-7)

이집트로 이주한 사람들의 이름 (8-27)

요셉이 고센에서 야곱을 만나다 (28-34)

47

야곱이 파라오를 만나다 (1-12)

요셉의 지혜로운 행정 (13-26)

이스라엘이 고센에 정착하다 (27-31)

48

야곱이 요셉의 두 아들을 축복하다 (1-12)

에브라임이 더 큰 축복을 받다 (13-22)

49

야곱이 죽기 직전에 한 예언 (1-28)

실로가 유다에서 나올 것이다 (10)

매장지에 관한 야곱의 지시 (29-32)

야곱의 죽음 (33)

50

요셉이 야곱을 가나안에 묻다 (1-14)

요셉이 용서한 것을 확언하다 (15-21)

요셉의 생애 마지막과 죽음 (22-26)

요셉이 자기 뼈에 관해 한 명령 (25)

(2025.02.24.)


2019/08/19

[생물학] 린 마굴리스, 6장. “섹스의 진화” 요약 정리 (미완성)



[ Lynn Margulis (1998), Symbiotic planet: a new look at evolution (Basic Books)

린 마굴리스, 『공생자 행성: 린 마굴리스가 들려주는 공생 진화의 비밀』, 이한음 옮김 (사이언스북스, 2014) ]

생명의 진화 역사에서 성의 의미

성별이 다른 세포들의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인 결합

서로 다른 유전자들을 재조합 된 생물의 몸 속에 몰아넣는 방법

세균의 성

(1) 유전자를 다른 세균에게 기증함으로써 자신의 유전자 포기

(2) 일방적임

(3) 특정한 환경 변화에 대한 비주기적 반응

식물과 동물의 성

(1) 감수분열 성이라는 세포 융합의 형태의 성

(2) 선택의 여지가 없음

(3) 배아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4) 정자와 난자 핵의 융합은 주기성을 띤 공생 융합의 형태

■ 유성생식의 진화적 의미

(1) 초기 공생과 비슷함.

(2) 성적 융합과 공생 융합에서 융합을 이끈 원동력은 굶주림

(3) 감수 분열 성은 특정 원생생물에서 실패한 동족살해의 형태로 시작

(4) 계획된 죽음과 관련됨

예) 스텐토르 코이룰레우스

(5) 각 세대마다 단세포 프로티스트와 같은 단계로 돌아감.

다세포성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1) 원생생물 형태의 진핵세포는 클론을 형성하기 시작

(2) 수생 원생생물- 단세포가 분열했을 때 자손들이 미분리

(3) 클라미도모나스는 단세포로 살지만, 볼복스의 각 세포와 모습이 똑같음

(세포들이 서로 붙어서 다세포개체 형성)

클라미도모나스, 고니움, 볼복스

감수분열 성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레뮤얼 로스코 클리블랜드 - 감수분열 성은 몇몇 원생생물들의 동족 섭식의 여파로 생긴 생존 전략의 일종

예) trichonympha: 먹이로 삼킨 희생자의 핵과 염색체를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간직 다 합병된 세포는 배수체가 됨

배수화를 통한 생존은 환경 위협에 대한 해결책으로 출발

섭식 결과 생긴 여분의 염색체를 제거하는 것이 감수분열로 향한 첫걸음.

공생과 성의 공통점

둘 다 공생 동반자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존재를 만듦.

공생과 성의 차이점

성은 주기성을 띤 공생의 아주 특수한 사례

(성은 융합체로부터 주기적으로 탈출하는 문제이기도 함)

* 세포 소기관을 낳은 진화적 순간을 거친 세포 공생에서는 짝짓기 행위가 사실상 영구적인 것.

(2019.09.01.)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