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0/11

[과학철학] Cartwright (1989), Ch 1 “How to Get Causes from Probabilities” 요약 정리 (미완성)

     

[ Nancy Cartwright (1989), Nature’s Capacities and Their Measurement (Oxford: Clarendon Press), pp. 11-38. ]
 
 
  1.1. Introduction
  1.2. Determining Causal Structure
  1.3. Inus Conditions
  1.4. Causes and Probabilities in Linear Models
  1.5. Conclusion
 
  
  1.1. Introduction

p.11 #1
- How do we find out about causes when we cannot do experiments and we have no theory? Usually we collect statistics.
- But how do statistics bear on causality?
- Hume’s answer
- Salmon’s answer

p.11 #2
- The central thesis of this chapter is that in the context of causal modelling theory, probabilities can be an entirely reliable instrument for finding out about causal laws.
Given the right kind of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causal facts, certain probabilistic relations are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the truth of new causal facts.


  1.2. Determining Causal Structure

p.13 #2
- Econometrics is the discipline which has paid most attention to how functional laws, probabilities, and causes fit together.
So econometrics is a good starting-place for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regularities.

p.14 #1
- Cartwright concentrates on econometric models rather than on path analysis for tow reasons.
- The first is that Cartwright wants to focus on the connection, not between raw data and causes, but between causes and laws.

p.14 #2
- The second is that the ideas of founders of econometrics were deeply committed both to measurement and to causes.

p.14 #3
- Tinbergen, Koopmans and Haavelmo vs. NBER and Keynes

p.16 #1
- Herbert Simon’s ‘Spurious Correlation: A Causal Interpretation’
- assumption
Causation has a deterministic underpinning: causal connections require functional laws.
The particular functional relations and linear.
All variables are time-indexed.
Causal laws are of the form Xₜ causes Yₜ₊△ₜ, where t>0.

p.17 #1
- plus the assumption
Causally related quantities are linear functions of each other generates a ‘recursive model’, 
like this:

Structural model
𝑥₁ = 𝑢₁
𝑥₁ = 𝑎₂₁𝑥₁+𝑢₂
...
𝑥ₙ = 𝑎ₙ₁𝑥₁+𝑎ₙ₂𝑥₂+...+𝑢ₙ

- Factors on the right-hand side in a structural equation are called the exogenous variables in that equation, 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ose on the left are dependent.
The us represent unknown or unobservable factors that may have an effect.

p.18 #1
- In structural equation, factors on the right are causes and those on the left are effects.
- This convention has long been followed in physics as well.

p.18 #2
- An early factor is taken to be a cause of a later, just in case its coefficient is not zero.
-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infer whether an earlier factor is really a cause of a later factor or not just by looking at the probabilities.



p.23 #1
How The Laws of Physics Lie was generally perceived to be an attack on realism.
It is not realism but fundamentalism that we need to combat.

p.23 #2


  1.3. Inus Conditions


  1.4. Causes and Probabilities in Linear Models


  1.5. Conclusion
 

  
  
(2015.07.22.)
    

2017/10/10

[외국 음악] 한스 짐머 (Hans Zimmer)

     

Hans Zimmer & James Newton Howard - A Dark Knight  [영화 <다크나이트> 배경 음악]
  
  
(2017.10.10.)
     

남의 칼럼 고치기 - <퀴어서사와 아포칼립스적 상상력> 편

   

몇몇 사람들이 어떤 칼럼을 두고 별로 대단한 내용도 없으면서 쓸데없이 읽기 어렵게 썼다고 불만을 토로하여 내가 그 글을 고쳐보았다. 원문은 363단어이고 내가 고친 글은 298단어다. 원문에서 20% 정도 분량을 줄였지만 별다른 정보 손실이 없는 것 같다. 원문 문장을 최대한 살리면서 글을 고친 것인데 불필요한 문장을 제거했다면 분량을 더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
        .
        .
        .
        .
  
[원문(1)] 최근 성소수자의 삶을 서사화한 소설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이를 ‘소재주의’라고 표피적으로 진단하기 전에 그 문화사적 함의를 먼저 물어야 한다. 그간 성소수자는 단편소설의 주인공일지언정 세계의 총체성을 묘파하는 장편소설의 주체로는 거의 등장한 적 없다. 특히 동성애 서사는 동성애의 에로티시즘과 오르가슴을 비가시화함으로써 ‘동성애 없는 동성애 서사’로만 존재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나 굵직한 서사적 계보를 가진 모든 문학적 주제들이 그렇듯, 성소수자 재현의 의미 있는 사례가 축적돼야 우리는 그 미학과 정치성의 머묾과 나아감을 말할 수 있다.
  
[수정(1)] 최근 성소수자의 삶을 다룬 소설이 눈에 띄게 늘었다, 이러한 현상의 문화사적 함의는 무엇인가. 그동안 성소수자가 주인공인 단편소설은 있었지만 장편소설에서 세계를 그려내는 주체로서 등장한 적은 거의 없었다. 특히나 에로티시즘을 구체화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동안의 동성애 서사에는 동성애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다른 문학적 주제들이 그렇듯, 성소수자를 다루는 작품들이 축적되어야 그 미학과 정치성을 말할 수 있다.
  
[원문(2)] 성소수자를 인정과 연민의 대상으로 다룬 것이 선진화와 민주화의 감각을 고루 착장했다는 1987년 이후 한국문학사의 나르시시즘적 소산이라면, 자본과 노동신체의 유연화를 도모한 신자유주의 시대에 젠더 이분법의 교란을 체화한 성소수자는 마치 경계인·노마드·유령처럼 낭만화됐다. 그리고 이제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절멸만이 자기보존의 유일한 방식이 된 오늘날 성소수자의 재현은 이중구속에 처한 것 같다.
  
[수정(2)] 1987년 이후 한국사회가 선진화되고 민주화되면서 한국문학이 성소수자를 인정과 연민의 대상으로 다루었다면, 자본과 노동신체가 유연화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문학은 성소수자를 젠더 이분법에 속하지 않는 경계인이나 유령처럼 낭만적인 존재로 그렸다. 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만연한 오늘날, 한국문학은 성소수자들의 이중구속을 보여준다.
  
[원문(3)] 최근 한국문학에서 성소수자는 여전히 정체성 정치에 기투 하면서도 여느 엔(n)포 세대처럼 가난하고 고립된 ‘보통 청년’이라는 알리바이와 함께 등장한다. 사회경제적 불안정이 비규범적 성정체성이 초래하는 삶의 무게를 압도하는 것으로 재현될 때에만 비로소 ‘보통 사람’으로서 대사회적 발언권을 부여받는 것이다. 하나 그렇다면 이건 성소수자의 시민적 권리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경제동물의 형상을 경유하지 않고는 ‘보통 사람’을 상상하지 못하게 된 사태, ‘보통 사람’의 기준이 너무 낮아진 우리 모두의 불행에 대한 이야기 아닌가.
  
[수정(3)] 최근 한국문학에서 성소수자는 성정체성이 남들과 다른 사람이면서 동시에 여느 엔(n)포 세대처럼 가난하고 고립된 ‘보통 청년’으로 등장한다. 성소수자는 사회경제적 어려움이 성정체성으로 인한 어려움보다 훨씬 클 때만 ‘보통 사람’으로 그려진다. 그런데 이것은 성소수자의 시민적 권리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보통 사람’의 기준이 너무 낮아진 우리 모두의 불행에 대한 이야기 아닌가.
  
[원문(4)] 그런 의미에서 두 레즈비언을 “기괴한 바이러스”에 뒤덮인 아포칼립스 세계에 배치한 최진영의 장편 <해가 지는 곳으로>의 설정은 흥미롭다. 이 소설은 바이러스 정체의 해명 따위에 관심 없다. 대신 모두가 평등하게 망가진 세계 자체에 집중한다. 어차피 가족도 고향도 없는 “피난민”으로 스스로를 인식한 이들에게 “재난 이후”는 비로소 “꿈”과 “사랑”을 속삭일 수 있는 시공간이다. “우린 같이 있어야 해. 그래야 안전해.”
  
[수정(4)] 그런 의미에서 최진영의 장편소설 <해가 지는 곳으로>의 설정은 흥미롭다. 두 레즈비언을 “기괴한 바이러스”에 뒤덮인 아포칼립스 세계에 배치한 이 소설은, 바이러스의 정체 대신 모두가 평등하게 망가진 세계에 집중한다. 자기자신을 가족도 고향도 없는 “피난민”으로 인식한 이들에게 “재난 이후”는 “꿈”과 “사랑”을 속삭일 수 있는 시공간이다. “우린 같이 있어야 해. 그래야 안전해.”
  
[원문(5)] ‘재난을 기회로 삼는 이들’만 가득한 곳에서 순진하게 ‘사랑’이라니. 하나 이 소설의 ‘아포칼립스’가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만으로 군대에서 체포되고, ‘차별금지’라는 당연한 요구마저 악다구니로 항변해야 하는 이 세상에 대한 은유라면 이해 못 할 것도 없다. 재난 이후 폐허에 놓인 레즈비언의 형상이 의미심장한 이유다.
  
[수정(5)] ‘재난을 기회로 삼는 이들’만 가득한 곳에서 순진하게 ‘사랑’이라니. 그러나 이 소설의 ‘아포칼립스’가 동성애자라는 이유만으로 군대에서 체포되고 ‘차별금지’라는 당연한 요구마저 악다구니로 항변해야 하는 현실에 대한 은유라면, 이해할 만하다. 재난 이후 폐허에 놓인 레즈비언이라는 설정이 의미심장한 이유다.
  
[원문(6)] 그리고 어쩌면 이들은 최근 개봉한 영화 <불온한 당신>에 등장하는 일본 레즈비언 커플 ‘논’과 ‘텐’과도 닮았다. 동일본대지진을 겪은 이 커플이 발신하는 메시지는 ‘항시 차별과 낙인의 위험에 놓인 성소수자에게는 일상이 재난’이라는 뜻 이상이다. 모두에게 평등한 위험으로 상상되는 재난 상황에서도 성소수자는 이중으로 배제된다. 이들에게는 ‘반려자를 찾을 권리’도 ‘호르몬치료를 제공받을 권리’도 없다. 이때 행해지는 ‘커밍아웃’은 정치적 매니페스토가 아니라, ‘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최선의 조치다.
  
[수정(6)] 이들은 최근 개봉한 영화 <불온한 당신>에 등장하는 일본 레즈비언 커플 ‘논’과 ‘텐’과도 닮았다. 동일본대지진을 겪은 이 커플이 전하는 메시지는 ‘차별받고 낙인찍힐 위험에 노출된 성소수자에게 일상이 재난’이라는 것이 아니다. 모두에게 위험이 평등한 재난 상황에서도 성소수자는 이중으로 배제된다는 것이다. 이들에게는 ‘반려자를 찾을 권리’도 없고 ‘호르몬치료를 제공받을 권리’도 없다. 이때의 ‘커밍아웃’은 정치적 선언이 아니라, ‘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최선의 조치다.
  
[원문(7)] 이성애자 커플과의 같고 다름을 반복증명해야 했던 성소수자 서사는 이제 무엇을 더 말할 수 있을까. ‘세계의 끝’에 놓인 퀴어들의 신체는 어떤 (불)가능성일까. 아직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수정(7)] 기존의 성소수자 서사는 이성애자 커플과 무엇이 같고 다른지만 반복해서 보여주었을 뿐이다. ‘세계의 끝’에 놓인 퀴어들의 신체는 어떤 (불)가능성일까. 아직 더 많은 이야기가 필요하다.
  
  
* 링크: [한겨레] 퀴어서사와 아포칼립스적 상상력 (오혜진)
  
  
(2017.08.10.)
   

2017/10/08

[외국 가요] 알 그린 (Al Green)



Al Green - How Can You Mend a Broken Heart [영화 <일라이> 배경음악]

www.youtube.com/watch?v=PTY6Kv0nPr8 )


Al Green - Tired of Being Alone

www.youtube.com/watch?v=7ll7ocQbH_k )


Al Green - Unchained Melody

www.youtube.com/watch?v=QkeEnWPMP-g )


Al Green - I’m Still in Love with You

www.youtube.com/watch?v=Tg_Guhd6fEY )


Al Green - For the Good Times

www.youtube.com/watch?v=C2dEwY0xzcI )



(2021.10.08.)


스티븐 핑커의 재치



심리학자이자 언어학자이자 인지과학자인 스티븐 핑커는 풍자적인 뉴스쇼인 <콜버트 리포트>에 출연한 적이 있다. 스비튼 콜버트는 스티븐 핑커에게 “뇌는 어떻게 움직이나요? 다섯 단어 이내로 답해주시죠”라고 물었다. 스티븐 핑커는 몇 초 동안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뇌세포들은 패턴에 따라 불탑니다.(Brain cells fire in patterns.)”



* 참고 문헌: 에레즈 에이든・장바티스트 미셸, 『빅데이터 인문학: 진격의 서막』, 김재중 옮김 (사계절, 2015), 111쪽.


* 링크: The Colbert Report, 6:38, February 7, 2007.

Stephen tells Steven Pinker that he doesn't fear evolution because he doesn't believe in it. (6:38)

www.cc.com/video-clips/n36pgb/the-colbert-report-steven-pinker )



(2017.08.08.)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