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09
[과학철학]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7장.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 요약 정리
[외국 가요] 집시 킹스 (Gipsy Kings)
2017/07/08
할머니와 봄볕
할머니가 집 안에서 넘어진 건 올해 2월 말이었다. 병원에서 검사해보니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건 아니었는데 할머니는 계속 아프다고 하셨다. 예전에 할머니가 몸져누울 때마다 용봉탕을 드시고 자리에서 일어난 적이 여러 번 있었다. 아버지는 할머니를 위한다고 용봉탕을 해드렸는데 할머니는 용봉탕을 드시고 급체를 한 뒤 급속도로 쇠약해지셨다. 친척 할아버지, 할머니도 같이 드셨는데 할머니만 체하셨다. 기력이 쇠한 사람에게는 함부로 기름진 것을 먹이면 안 되는데 아버지는 할머니를 위하려다가 오히려 더 쇠약하게 만들었다.
할머니는 한 달 정도 자리에 누워계셨다. 점점 거동이 불편해지더니 나중에는 혼자 힘으로 자리에서 일어나지도 못하고 앉지도 못하게 되었다. 점점 말씀도 못 하게 되셨다. 점점 말씀하는 것이 어눌해지더니 나중에는 단어 하나 발음하기도 힘들어졌다. 할머니 혼자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건 고개와 왼쪽 팔밖에 없었다. 할머니가 왼손잡이여서 맨 마지막까지 움직일 수 있는 팔이 왼쪽 팔이었을 것이다.
할머니께서 자리에 누웠다는 소식이 퍼지자 동네 사람들이 하나둘씩 찾아왔다. 할아버지와 달리 할머니는 돌아가실 때까지 정신을 거의 온전히 유지하셨다. 찾아온 사람이 누구인지 다 알아보셨다. 동네 사람이 할머니 앞에서 “저 누구인지 알아보시겠어요?”라고 하면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끄덕 하셨다. 동네 사람이 일부러 틀린 이름을 말하면 할머니는 고개를 저었고 맞는 이름을 말하면 그 때 다시 고개를 끄덕거리셨다. 할머니는 왼팔을 들어 나를 가리킨 뒤 손가락으로 본인의 입을 톡톡 치셨다. 내가 “마실 것 드리라는 거죠?”라고 하자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끄덕 하셨다.
나는 주중에 학교 다니느라 서울에 있었고 주말에 집에 왔다. 주말에 집에 와서 어머니께 할머니 소식을 들었다. 주중에는 상태가 안 좋아져서 돌아가시는 줄 알았는데 주말이 되니 상태가 호전되었다고, 주중에 말씀을 못 하시면서도 그렇게 나를 찾았다고 하셨다. 그 때가 돌아가시기 2주 전인가 그랬을 것이다. 그 와중에도 화천이는 새끼를 낳았고 이 소식을 어머니가 할머니께 전하자 할머니가 그렇게 기뻐하셨다고 한다. 할머니는 말씀을 못 하시고 왼손을 쫙 펴서 어머니한테 다섯 손가락을 보였고 어머니는 화천이가 새끼를 일곱 마리 낳았다고 했다고 한다. 평소에 화천이가 새끼를 낳으면 다섯 마리씩 낳아서 할머니는 이번에도 화천이가 다섯 마리 낳았냐고 물어보신 것이다.
나는 할머니께 날씨가 좋으니 낮에 따뜻할 때 현관에 나가서 봄볕이라도 쬐자고, 고양이 새끼가 너무 어려서 새끼는 못 보더라도 화천이랑 눈 노란 놈, 눈 파란 놈 보자고 했다.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끄덕 하셨다. 그런데 할머니는 일어나 앉아 있기도 힘들어하셨고 점심 때 죽 몇 숟가락 드시는 것도 힘들어하셨다. 식사하시고는 본인을 눕히라고 손짓하셨다. 나는 할머니를 두꺼운 요에 눕힌 다음 요를 살살 끌어서 현관문까지 모셔가려고 했는데 결국 하지 못했다.
화천이 새끼들은 이제 눈도 뜨고 삐약삐약 울면서 현관문 앞을 뛰어다닌다. 올해 봄에도 예년 봄처럼 화천이는 새끼를 낳았고 날씨는 화창하고 마당에는 잔디가 파랗다. 작년 봄이었다면 할머니는 현관문 앞에 앉아서 나물 같은 것을 다듬었을 것이고 붙임성 좋은 눈 노란 놈은 할머니 곁에 앉아서 할머니한테 장난을 치든 할머니 품에 안기든 했을 것이다. 이제 할머니는 안 계시다. 할머니께 그럴듯한 손주 며느리를 데려오지 못한 것이나 그럴법한 직장에 못 다닌 것보다 봄볕을 쬐도록 하지 못한 것이 더 마음에 남는다.
(2017.05.08.)
2017/07/06
[강연] 김경집 (인문학자)
[EBS 초대석] 대한민국이 골든타임, 어디로 가야하나? / 인문학자 김경집
_#1 ( www.youtube.com/watch?v=9Yg5aXSsWuY )
_#2 ( www.youtube.com/watch?v=U7wZdQBXVsI )
[세바시] 709회. 생각이 바뀌면 삶이 바뀐다 / 김경집 (인문학자)
( www.youtube.com/watch?v=4RIAXlLt95w )
[EBS 기획특강] 삶을 읽어내는 힘, 고전 / 인문학자 김경집
_#1 ( www.youtube.com/watch?v=X94BHTbSoUU )
_#2 ( www.youtube.com/watch?v=S7T1kj0J0jo )
(2022.03.19.)
2017/07/04
[외국 가요]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Electric Light Orchestra)
Electric Light Orchestra - Mr. Blue Sky
( www.youtube.com/watch?v=wuJIqmha2Hk )
Electric Light Orchestra - Last Train to London
( www.youtube.com/watch?v=qXXZMebT3m8 )
Electric Light Orchestra - Midnight Blue
( www.youtube.com/watch?v=f38qG3Aeb-A )
Electric Light Orchestra - Telephone Line
( www.youtube.com/watch?v=77R1Wp6Y_5Y )
(2023.10.09.)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