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an Ravenscroft (2005), Philosophy of Mind: A Begin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pp. 9-.
이안 라벤스크로프트, 「제1장. 이원주의」, 『심리철학: 초보자 안내서』, 박준호 옮김 (서광사, 2012), 27-51쪽. ]
1.1 실체 이원주의 (Substance dualism)
1.2 실체 이원주의 찬성 논증
(Arguments in favor of substance dualism)
1.3 실체 이원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substance dualism)
1.4 속성 이원주의 (Property dualism)
1.5 부수 현상론에 대한 평가
(Assessing epiphenomenalism)
1.6 결론 (Conclusion)
27
- 실체 이원론은 정신과 신체가 다른 부류의 실체라고 주장함.
1.1 실체 이원주의 (Substance dualism)
29-
- 실체 이원론은 정신과 신체가 별개이지만 상호작용한다고 주장함.
• 세계의 상태에 관한 감각 정보는 두뇌에서 정신으로 전달되고, 어떻게 반응하라는 결정은 정신에서 두뇌로 전달됨.
- 정신과 신체 사이의 관계는 인과관계
- 정신과 두뇌 사이에는 양방향의 인과적 상호관계가 존재함.
1.2 실체 이원주의 찬성 논증
(Arguments in favor of substance dualism)
■ [30
- 이 절에서 살펴볼 네 논증 중 앞서 세 논증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짐.
1. 정신은 ___을/를 할 수 있다.
2. 어떠한 물리적 대상도 ___을/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3. 정신은 물리적 대상이 아니다.
■ 실체 이원론 찬성 논증(1) [30-32쪽]
- 1. 물리적 대상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 (데카르트의 논증)
1a. 정신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2a. 어떠한 물리적 대상도 언어를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3. 정신은 물리적 대상이 아니다.
- 구문론: 언어는 일련의 규칙에 지배받으며, 이 규칙에 따라 어떤 낱말 묶음이 문법에 맞는지 확정됨.
- 구문론은 기계적 특징을 띰.
• 일련의 낱말이 문법에 맞는지 결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원리상 가능함.
• 일부 물리적 대상(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 등)은 언어의 구문론을 다룰 수 있음.
- 의미론: 낱말과 문장은 의미를 가짐
- 현재로서는 만족스러운 의미론이 존재하지 않지만, 그래도 현재로서 물리적 대상이 언어를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의심할 이유가 거의 없음.
■ 실체 이원론 찬성 논증(2) [32-33쪽]
- 2. 물리적 대상이 추론할 수 있는가? (데카르트의 논증)
1b. 정신은 추론에 종사할 수 있다.
2b. 어떠한 물리적 대상도 추론에 종사할 수 없다.
그러므로
3. 정신은 물리적 대상이 아니다.
- ‘수학적 추론’이 ‘수학 규칙을 정확하게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면, 물리적 대상은 수학적 추론을 할 수 있음.
• 예) 계산기 등
- ‘수학적 추론’이 새로운 수학적 진리나 방법을 발견하는 능력을 가리킨다면?
• 현재로서는 컴퓨터가 일정한 부류의 수학적 발견을 할 수 있다는 정도
■ 실체 이원론 찬성 논증(3) [33-
- 3. 물리적 대상이 의식적일 수 있는가?
1c. 정신은 의식적일 수 있다.
2c. 어떠한 물리적 대상도 의식적일 수 없다.
그러므로
3. 정신은 물리적 대상이 아니다.
- 라이프니츠의 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
• X와 Y가 동일하다면 이들이 정확하게 똑같은 속성을 가진다는 것.
■ 실체 이원론 찬성 논증(4) [34-
- 4. 의심과 실존 (데카르트, 『성찰』)
- 꿈 vs. 현실. 내가 현재 믿고 있는 많은 믿음이 그를 수 있음.
(A) 나는 신체를 갖고 있음을 의심할 수 있다.
(B) 나는 내가 실존한다는 것을 의심할 수 없다.
(C) 나는 신체가 아니다.
(D) 나의 정신은 나의 신체가 아니다.
(A1) 내 차는 빨갛다.
(B1) 내 앞의 차는 빨갛지 않다.
그러므로
(C1) 내 앞의 차는 내 차가 아니다.
(A1) 내 차는 빨갛다.
(B1) 내 앞의 차는 빨갛지 않다.
그러므로
(C1) 내 앞의 차는 내 차가 아니다.
(A2) 내 차는 빨갛다고 생각한다.
(B2) 나는 내 앞의 차가 빨갛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C1) 내 앞의 차는 내 차가 아니다.
- 동일자 식별 불가능성 원리는 문제의 속성이 믿음이나 생각과 같은 심리적 상태를 포함하면 작동하지 않음.
- 전제 (A), (B)는 의심이라는 심리적 상태를 포함
(A3) 나는 내가 이 책의 저자임을 의심할 수 있다.
(B3) 나는 내가 실존함을 의심할 수 없다.
그러므로
(C3) 나는 이 책의 저자가 아니다.
1.3 실체 이원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substance dualism)
■ 실체 이원론 반대 논증(1) [39
- 1. 엘리자베스 공주의 논증
• 데카르트와 동시대인이었던 보헤미아의 엘리자베스 공주(Princess Elizabeth of Bohemia, 1618-1680)가 제기한 반론
- 실체 이원론자의 주장
• (1) 정신과 신체는 다른 두 종류의 실체
• (2) 정신과 신체는 인과적으로 상호작용
- 엘리자베스 공주: 정신과 신체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르다면,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가?
- 반론: 매우 다른 종류의 물리적 실체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함.
• 예) 햇빛(전자기 복사)이 금속(원자의 집단)을 달구지만 둘은 다른 종류의 실체임.
- 결정적인 점은, 정신과 두뇌가 극단적으로 다른 것이라는 점이 아니라, 실체 이원론자는 상호작용에 대해 말할 바가 전혀 없다는 것임.
■ 실체 이원론 반대 논증(2) [39-
- 2. 생리학의 설명적 완결성
- 비-물리적 실체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사람의 행위 설명 가능
■ 실체 이원론 반대 논증(3) [40-
- 3. 실체 이원주의의 설명적 약점
- (서론에서 언급한) 심적 상태의 일반적 특징
• 특징(1):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의 상태에 의해서 일어남.
• 특징(2): 어떤 심적 상태는 행위를 일으킴.
• 특징(3): 어떤 심적 상태는 다른 심적 상태를 일으킴.
• 특징(4): 어떤 심적 상태는 의식적임.
• 특징(5):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 속의 사물을 향한 것임.
• 특징(6): 어떤 종류의 심적 상태는 어떤 종류의 뇌 상태와 체계적으로 상관됨.
- 실체 이원론은 설명력이 없음.
• 특징(1)과 (2): 설명하기 어려움.
• 특징(3): 침묵.
• 특징(4): 침묵. 일부 심적 상태가 무의식이라면 침묵은 문제가 됨.
• 특징(5): 내용에 관한 이론은 아직 없음.
• 특징(6): 추론 과정과 두뇌 상태 사이의 상호관계는 실체 이원론자들을 당황하게 함.
1.4 속성 이원주의 (Property dualism)
43-
심적 상태는 뇌의 비-물리적 속성
예) 의식적임, 고통받음, 오늘이 월요일이라 믿음, 금요일이었으면 하는 바람
44-
- 부수 현상론: 두뇌의 물리적 속성이 두뇌의 비-물리적 속성의 원인이지만, 반대 방향의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주장
심적 상태는 인과적으로 비활성
1.5 부수 현상론에 대한 평가
(Assessing epiphenomenalism)
1. 엘리자베스 공주의 문제.
어떻게 두뇌의 물리적 속성이 두뇌의 비-물리적 속성을 일으키는가?
2. 생리학의 설명적 완결성
(2) 어떤 심적 상태는 행위를 일으킴.
(3) 어떤 심적 상태는 다른 심적 상태를 일으킴.
3. 속성 이원주의의 설명적 약점
부수 현상론은 여러 가지를 가정하고 있을 뿐
심적 상태의 특징을 부정함
1.6 결론 (Conclusion)
- 정신이 비-물리적이라는 이원론은 별로 설득력을 갖지 못함
- 이원론의 최대 난점은 설명력의 부족
(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