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28

기말고사 답안지로 퍼포먼스 하기



어떤 교수가 기말고사를 보기 전에 학생들에게 답안지 작성 방법을 이렇게 설명했다고 한다.

“글 쓰는 도구는 연필이든 볼펜이든 상관없다. 글을 고칠 때는 교정부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수정액이나 테이프를 사용해도 되고, 여의치 않으면 칼이나 총기를 사용해도 좋다. [...] 그리고 주어진 주제나 자신이 쓴 글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찢어버려도 좋다.”

그랬더니 어떤 학생이 정말로 답안지를 찢었다고 한다. 답안지를 찢어서 버린 것은 아니었다. 그 학생은 찢어진 답안지에 접착식 메모지를 붙여서 제출했다. 메모지에 적힌 글은 대략 다음과 같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정상적인 판단’을 통해 도출된 ‘정답’만을 마치 기계에서 뽑아내듯 강요하는 세상을 거부하고, 자신의 과거에 대한 성찰을 통해 스스로 세운 방식에 따라 자기만의 해답을 발견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인간의 가치이다.


이에 나는 제도가 인간에게 점수를 부여하고 마치 쇠고기 등급 매기듯 인간을 재단하기 위한 수단인 ‘답안지’를 찢어버림으로써 인간이 바로 그러한 예속으로부터 벗어나 참된 자유를 누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학기 동안 대학생이 되어 공부하며 내가 얻은 깨달음은 바로 이 찢어진 답안지가 잘 담고 있기 때문에 나는 이 찢어진 답안지를 내가 찾은 ‘가치’에 관한 나의 ‘해답’으로 제출한다.








학생은 자기가 “공부하며 얻은 깨달음”을 찢어진 답안지가 잘 담고 있다고 썼는데, 무엇을 깨달았다는지 모르겠다. “제도가 인간에게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그러한 예속에서 벗어나 참된 자유를 누려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그냥 시험 보러 오지 않았으면 되었을 것이다. 이 참에 아예 대학을 그만두는 것은 어떨까? 시험 보는 중에 그러한 것을 깨달았다고 해도, 그 깨달음을 답안지에 잘 적든지, 아니면 마음에 고이 간직하고 답안지를 백지로 제출하거나 찢어서 제출했으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그 학생은 굳이 시험장까지 나와서 이런 유치한 쇼를 했다.

그 학생은 기말고사 답안지로 퍼포먼스를 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정해진 고사장에 도착했을 것이다. 고사장에 오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했든 자가용을 이용했든, 그 학생은 수많은 사람들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정확하게 자신의 업무를 처리한 덕을 본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기계에서 뽑아내듯 일을 하지 않았다면, 그 학생은 “‘정상적인 판단’을 통해 도출된 ‘정답’만을 마치 기계에서 뽑아내듯 강요하는 세상을 거부”한다며 답안지를 가지고 육갑을 떨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교수로서 그런 일을 당했다면 ‘아, 지겨워. 또 철학과 출신 미친놈이네’ 하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해당 수업의 교수는 그 학생의 글을 읽으면서 “영화 <동주>의 송몽규가 윤치호에게서 받은 상패를 내동댕이쳐버리는 장면”과 “고르디아스의 매듭을 칼로 끊어버린 알렉산더”가 떠올랐다고 한다. 철학과 출신 미친놈의 객기가 어떻게 송몽규나 알렉산더의 일화로 이어지는지는 잘 모르겠다. 교수가 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쳤는지는 모르겠으나, 사람은 대체로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 법이니,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무엇을 배우고 어떤 토론을 했을지 대충 알 것 같기도 하다.

(2017.06.28.)


2017/08/27

국민의당에 대한 나의 예언이 이렇게 빨리 실현되다니



며칠 전에 했던 말이 결국 현실이 되었다. 나의 예언이 이렇게 빨리 실현되다니.





<한겨레>는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국민의당이 지난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준용씨의 고용정보원 채용 비리 의혹을 제기하면서 근거로 든 준용씨의 미국 파슨스스쿨 동료 증언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며 사과했다.


박주선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월5일 준용씨의 미국 파슨스 스쿨 동료의 증언을 근거로 고용정보원 입사와 관련해 문재인 당시 대선 후보의 개입 의혹을 발표했는데, 당에 제보된 카카오톡 캡쳐 화면 및 녹음 파일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며 “본의 아니게 국민 여러분께 허위 사실을 발표하고 혼란드려서 공당으로서 막중한 책임감 느끼고 송구스럽다. 준용씨에게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준서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에게 관련 자료를 제공한 이아무개 당원이 당시 제공한 자료가 본인이 직접 조작해 작성한 거짓 자료였다고 고백했다”면서 “이 자료가 허위로 작성됐다는 사실을 파악했고 이아무개 당원과 이 전 최고위원으로 하여금 검찰에 출석해 진실을 밝히도록 조처했다”고 말했다. 자료를 조작했던 이아무개씨는 곧 검찰 조사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 링크: [한겨레] 국민의당 “문준용 채용 비리 제보는 조작... 사과드린다”

( http://m.hani.co.kr/arti/politics/assembly/800286.html )

(2017.06.27.)


2017/08/25

[기출문제] (논리 및 언어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1년 1학기-1996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1년 1학기 석사

1. 경험론의 의미 기준은 무엇이며, 그 난점은 무엇인가?

2. Tarski의 진리 개념은 인식론 일반에서 문제되는 진리에 관한 문제에 얼마나 적합한가?

3. 콰인이 주장하는 경험주의의 두 독단은 무엇이며, 그 주장의 논거는 무엇인가? 그 논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4. 양화사에 대한 대입적(substitutional) 해석과 존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5. 논리철학의 근본 성격은 무엇인가?


■ 1991년 1학기 박사

1. Kripke의 “rigid designator”와 Russell의 “logically proper name”을 비교 검토하시오.

2.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Anti-essentialism이라고 해석하는 근거는 무엇이며, 그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3.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섯 양상 개념(필연성, 가능성, 불가능성, 비필연성, 우연성)을 이용하여 양상 대당사각형을 그리고, 그것들의 대당 관계를 설명하시오.

4. 퍼트남은 “의미는 머리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을 설명하고, 그가 이러한 주장을 옹호하기 위해 내세우는 논변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5.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1991년 2학기 석사

1. “철학은 언어 분석이다.” 이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2. 실재론과 제휴하기 쉬운 의미론은 어떤 것인가?

3. “Über Sinn und Bedeutung”에서 전개한 프레게 이론의 난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에 대한 럿셀의 비판은 무엇인가?

4. 역설을 두 종류로 나눈다면 어떻게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대표적인 예와 그 해결책을 설명하시오.

5. 양상 논리학에 대한 비판들을 설명하시오.


■ 1991년 2학기 박사

1. 진리의 문제가 제기되는 언어철학적 문맥은 어떤 것인가?

2. 고유명사(proper name)에 관한 Kripke의 견해와 Russell의 견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

3. “x=y⊃(fx⊃fy)”와 같이 표현될 수 있는 동일자 식별불가능성의 원리를 받아들이면 내포성의 역설이 발생한다. 그 이유를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4. 양상논리학의 접두어 ‘□’와 ‘◇’는 각각 보편양화사와 존재양화사처럼 작동한다고 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x)□Fx와 □(∃x)Fx 사이의 함축 관계는 어떻게 되며, 이 함축관계를 기반으로 ◇(x)Fx와 (x)◇Fx 사이의 함축관계를 도출하시오.

5.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은 무엇이며, Strawson의 비판은 Frege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가 없는가? 확대 적용 가능성 여부의 근거는 무엇인가?


■ 1992년 1학기 석사

1. 프레게에 있어서 명제함수를 개념과 대상을 중심으로 논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에 관하여 약술하시오.

2. 거짓말장이 역설을 약술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적어도 두 개를 택하여 설명하고 평가하시오.

3. 의미론의 대표적 유형의 내용과 그 난점에 관해 논하시오.

4. Russell의 기술론(theory of description)이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가?

5.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 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 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1992년 1학기 박사

1. 진리는 반드시 필요한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2. “특정언어를 떠나서 ‘무엇이 존재하는가?’를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명제를 논하시오.

3. 비트겐슈타인의 『철학탐구』 201에 나타난 “규칙 따르기의 역설”은 무엇을 노리는 것인가?

4. Kripke의 “Rigid Designator”와 Russell의 “Logically Proper Name”을 비교하시오.

5. 실수들이 열거불가능한 무한 집합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인 칸토(Cantor)의 대각선 논법을 설명하시오.


■ 1992년 2학기 석사

1. 프레게에 있어서 개념(Begriff)과 대상(Gegenstand)의 구분을 설명하고, 그 철학사적 의의를 논하시오.

2. Tractatus의 “Sachverhalt”를 의미론의 관점에서 검토하시오.

3. 지시적 의미론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4. 타르스키의 의미론적 진리론을 설명하고, 그 이론 안에서 거짓말장이 역설이 어떻게 해결되는지를 밝히시오.

5. 다음 논변을 de re/de dicto modality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시오.

(1) 9 = 행성의 개수
(2) □ ( 9 〉 7)
(3) 그러므로, □ (행성의 개수 〉 7)


■ 1993년 1학기 석사

1. 고유명사에 대한 기술주의(descriptivism)의 입장을 설명하고, 비판적 입장에서 논하시오.

2. 타르스키의 의미론적 진리론은 자연언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그 이유를 밝히시오.

3. “무엇이 존재를 부정한다는 것은 항상 자기모순적이다.” 이 명제를 Russell과 연결하여 논하시오.

4. 양화사 해석의 두 가지 가능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5. 양상논리학에 대한 회의의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 1993년 2학기 석사

1. 『논리철학논고』(Tractatus)의 “Sachvelhalt”가 “Tatsache”와 어떻게 다른지를 의미의 문제 및 진리의 문제와 관련하여 논하라.

2. Russell의 Theory of Description이 전제하고 있는 의미론의 정체는 무엇이며 그 의미론은 Russell의 이론에서 과연 어떤 방식으로 옹호되고 있는가?

3. Quine에 의하면 신화적 대상이나 물리적 대상은 모두 ‘문화적 구성물’ (Cultural Posits)이라는 점에서 근본적 차이가 없다. 이러한 그의 논변을 재구성하고, 비판적으로 논하라.

4. 의미검증이론(Verifiability Theory of Meaning)에 있어서 번역가능성(Translatability) 원리의 역할을 논하라.

5. 양화사에 대한 대입적 해석과 존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 1993년 2학기 박사

1. 언어와 실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지시(reference)는 필수적인가? 긍정하는 이론과 부정하는 이론을 각각 하나씩 재구성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2. ‘언어의 창조성’에 관한 Wittgenstein의 전・후기 해명(Tractatus와 Philosophsche Untersuchungen)을 비교적으로 재구성하고,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실수들이 열거불가능한 무한집합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인 Cantor의 대각선 논법을 설명하시오.

4. Wittgenstein의 회의론에 대한 입장은 무엇이며, 그 핵심 주장은 어떤 방식으로 Forms of Life와 연결되어 있는가?

5. “언어에 관한 논의는 전통적인 철학의 문제영역인, 인식론과 존재론 혹은 윤리학의 문제영역에 앞서서 행해져야 할 문제이다.” 이 주장은 어떤 의미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


■ 1994년 1학기 석사

1. ‘원초적 번역의 불확정성’을 옹호하는 적어도 두개의 논변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시오.

2. 의미지시론(reference theory of Meaning)의 장점과 단점에 관해 논하시오.

3. 소위 ‘언어사용의미론’(use theory of Meaning)의 허실은 무엇인가.

4. 콰인이 변항에 존재론적 의미를 부여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5. 의미론적 역설을 설명하고 그 해결책 중 하나를 골라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 1994년 1학기 박사

1. 의미론과 진리론의 관계를 논하시오.

2. “참”, “거짓” 등의 진리술어들은 어떤 의미론적 기능을 갖는가? 잉여론을 중심으로 논하시오.

3. Kripke가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or)라는 말의 도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 핵심 논점은 무엇인가?

4. Wittgenstein이 ‘삶의 양식’(Lebensform)이라는 말을 도입함으로써 드러내고자 한 논점은 무엇인가?

5. Kripke는 양상개념을 이용하여 어떻게 materialism을 논박하고 있는가? 그의 논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1994년 2학기 석사

1. 언어를 세계에 대한 그림으로 볼 수 있는 근거에 관하여 논하시오.

2. 언어적 상대주의(Linguistic Relativism)를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논거를 약술하고,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On Denoting”에 나오는 Russell의 Frege이론에 대한 비판을 정확하게 소개하고 논평하시오.

4.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5. 의미론적 역설 하나를 예로 들고 그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 1994년 2학기 박사

1. “진리는 인식적 개념이 아니다.” 이 명제를 설명하고 논하시오.

2. “특정언어를 떠나서 ‘무엇이 존재하는가?’를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 명제를 설명하고 비판하시오.

3. Kripke의 심신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4.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은 무엇이며, Strawson의 비판은 Frege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는가 없는가? 확대 적용 가능성 여부의 근거는 무엇인가?

5.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 1995년 1학기 석사

1.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 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 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2. Russell의 기술론에 있어서 고유명사는 Frege의 Sinn을 가지고 있는가?

3. 의미의 문제에 대해서 언어행위론이 어떤 공헌을 한다고 보는가?

4.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5. “진리는 규제적 이념이다.” 이 명제를 논하라.


■ 1995년 1학기 박사

1.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Anti-essentialism이라고 해석하는 근거는 무엇이며, 그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시오.

2. Russell의 기술이론에 대한 Strawson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Kripke가 ‘proper name’을 자연종 명사와 매우 흡사한 것으로 보는데, 이러한 견해의 근거를 제시하고 비판하시오.

4. Tarski가 도식 T를 이용한 진리 정의를 포기하고 만족(satisfaction)개념을 이용하여 진리를 정의한 이유는 무엇이며 만족개념을 이용한 진리 정의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5. “언어적 표현의 의미는 청자에 대하여 일정한 효과를 불러일으키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에 의하여 밝혀져야 한다.” 이 명제를 논하시오.


■ 1995년 2학기 석사

1. 언어가 왜 철학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는가?

2. 콰인이 변수에 존재론적 의미를 부여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시오.

3. 다음 논변을 de re/de dicto modality 개념을 사용하여 평가하시오.

(1) 9 = 행성의 개수
(2) □( 9 〉 7)
(3) 그러므로, □(행성의 개수 〉 7 )


■ 1996년 1학기 석사

1. Tractatus의 Sachverhalt는 Tatsache와 어떻게 다른가?

2. ‘검증의미론’(Verification Theory of Meaning)은 의미론이라기보다는 경계구분(Demarcation)의 문제라고 하는 포퍼의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라.

3. 크립키의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ion)와 럿셀의 ‘논리적 고유명사’(Logically Proper Name)를 비교 고찰하시오.

4. 양화사에 대한 존재적 해석과 대입적 해석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시오.

5. 진리와 의미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 1996년 1학기 박사

1. 비트겐슈타인이 ‘의미사용론’(Use Theory of Meaning)을 내세웠다는 논자들이 있는데, 이런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라.

2. 크립키의 ‘고정지시어’(Rigid Designation)와 럿셀의 ‘논리적 고유명사’(Logically Proper Name)를 비교 고찰하시오.

3. Davidson이 ‘자비의 원리’(Charity Principle)를 도입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4. 양화사에 대한 존재적 해석과 대입적 해석의 장단점을 비교 검토하시오.

5. 진리와 의미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2020.01.20.)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