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28

1차 대전 참전과 여성의 참정권



EBS 사회과목을 가르치는 강사가 강의 도중 “1차 대전에서 전후방 구분 없이 여성들도 싸웠기 때문에 1차 대전이 끝난 후 여성의 지위가 올라가고 참정권을 얻게 되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여기까지만 들으면 그런가보다 하겠는데, 뒤이어 “여권 신장, 여권 신장이라고 하는 것은 말만 해서는 안 된다”며 “항상 모든 권리에는 의무가 수반된다”고 말했다고 한다. 모든 권리에는 의무가 수반된다니, 이런 발상은 어디에서 왔을까? 사범대에서 그렇게 가르치지는 않을 것 같은데, 도대체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을까?
  
  



  
  

동성애자들은 자기들의 권리를 요구하며 퀴어 축제 같은 것을 한다. 동성애자들은 그동안 이성애자들과 동일한 의무를 수행했는데 동성애자로서 권리를 얻기 위해 무슨 의무를 더 해야 하는가? 아이들은 무슨 의무를 했길래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는가? 요즈음 동물권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데, 동물들이 무슨 의무를 할 수 있기에 인간들이 동물권을 보장해야 하는가? 농경 사회에서 소는 죽을 때까지 일만 하다 고기가 되었고, 현대 사회의 애완견은 평생 놀고 먹지만 온갖 호사를 다 누리는데 이건 어떻게 된 일인가?

권리는 의무에 상응하여 누군가 알아서 선사하는 것도 아니고, 행한 의무와 등가교환으로 손에 넣는 것도 아니다.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여성들이 일 안 하고 처놀아서 남성보다 대접을 못 받은 게 아니고, 흑인 노예들이 목화 농장에서 목화를 덜 따서 사람 대접 못 받은 것도 아니다. 누군가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와 그러한 권리를 보장받기 위한 과정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쉽게 구분될 수 있다. 여성이 아무 일도 안 하고 쳐놀아서 여권이 없었던 것이 아니고, 여권은 원래 있었고 보장해야 마땅했으나 여성들이 이를 쟁취할 힘이 없다가 1차 대전 이후로 목소리가 커지면서 여권이 신장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내가 정치철학은 잘 몰라서 권리와 의무에 대한 전문적인 논의는 잘 모르겠으나, 얼핏 생각해봐도 이 둘이 서로 결부되지 않음은 쉽게 알 수 있다. 의무 중에는 ‘납세의 의무’가 있다. 납세의 의무를 수행하면 도대체 어떤 권리를 얻는가? 그냥 세금을 낼 뿐이며, 세금을 안 내면 압류가 들어오거나 감옥에 가는 것이다. ‘국방의 의무’도 마찬가지다. 국방의 의무를 수행한 사람과 수행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 어떤 권리 차별이 있는가? 없다. 군 가산점이 있다고 한들 그건 권리가 아니다. 반대로, ‘선거권’이나 ‘피-선거권’ 같은 권리를 얻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세금을 일정 액수 이상 내는가? 대한민국 국적의 성인이고 수감자만 아니면 가질 수 있다. 나는 사회과목 강사라는 사람이 “권리에는 의무가 따른다”고 학생들에게 가르친다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 간다.

대개의 경우, 권리와 의무를 결부시키는 건 애초부터 권리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데 마땅한 말이 없으니까 의무를 덧붙이는 것이다. 가령, 악덕 사장이 “권리를 누리려면 그에 상응하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건 직원에게 아무런 이유 없이 복리후생을 제공하지 않으면 없어 보이니까, 뭔가 말이 되는 것처럼 보이려고 개소리를 하는 것이다.

여성의 사회 활동이 더 활발해지도록 여권이 신장되어야 하는 마당에, 여권 신장을 주장하기 위해 여성들이 사회에 진출해야 한다고 말한다니, 도대체 사회과목 강사는 어떤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인가? 면접장에서 면접관이 여성 구직자에게 남자 친구가 있냐 없냐를 묻는 판에, 여권 신장을 주장하기 전에 여성들이 의무를 다해야 한다니 도대체 이건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2015.10.28.)

2015/12/27

황당한 경영 우화 – 개구리 이야기와 솔개 이야기

‘경영 우화’라는 것이 있다. 동기 부여 한답시고 황당한 이야기를 지어낸 것이다. 경영 우화 중 유명한 것은 개구리 이야기다. 끓는 물을 담은 냄비에 개구리를 넣으면 뜨거워서 곧바로 뛰어나오지만 찬물을 담은 냄비에 개구리를 넣고 서서히 온도를 높이면 개구리는 온도가 변하는 줄 모르고 가만히 있다가 익는다는 것이다. 변화에 민감하면 살고 둔감하면 죽는다는 말이다.

물의 온도가 서서히 변화하는 것을 개구리가 감지하지 못한다면, 그보다 더 서서히 변화하는 기온 변화는 더더욱 감지하지 못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개구리는 날씨가 추워지면 땅속으로 들어가 겨울잠을 자고 따뜻해지면 알아서 땅 위로 기어 나온다. 어떻게 된 것인가? 간단하다. 개구리에게 미세한 온도 변화를 감지할 능력이 있어서 그렇다. 개구리에게 그런 능력이 없었다면 오래전에 지구상에서 멸종했을 것이다.

어머니는 개구리 삶은 경영 우화를 듣고는 말 같지도 않은 소리라고 하셨다. 어머니는 어릴 적에 닭 모이로 주려고 개구리를 솥에 삶았기 때문에 개구리 타령이 개소리임을 아는 것이다. 개구리를 삶을 때는 찬물이든 뜨거운 물이든 뚜껑을 닫아야 개구리가 안 뛰어나간다. 경영 우화를 지은 사람들은 개구리를 삶아본 적도 없고 개구리를 삶아본 사람의 이야기도 안 들어보고 제멋대로 이야기를 지어낸 것이다.

더 황당한 건 솔개 이야기다. 우화에 따르면, 원래 솔개는 40년을 사는데 그냥 있으면 40살로 죽고 특단의 조치를 취하면 40년을 더 살아 80살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 그 특단의 조치는 솔개가 혼자 동굴에 들어가서 온몸에 난 깃털을 혼자서 죄다 뽑고 발톱도 뽑고 부리를 돌에 부딪쳐 깨뜨리고 깃털, 발톱, 부리가 새로 날 때까지 참고 기다리는 것이다. 이렇게 불필요하게 잔인하고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지어내는 사람이 과연 정상인지 의심스럽다. 이건 정육점 생닭에게 깃털, 발톱, 부리가 새로 난다는 수준의 발상이다.

개구리를 삶아본 적도 없고 새의 생태도 모르는 강연자는 회사원들보고 이래라 저래라 한다는데 과연 그들이 선진 경영 기법에 밝을까? 세상은 살기 어렵다는데, 편하게 대충 사는 사람들도 있는 모양이다.

* 뱀발: 미꾸라지를 운반하는 수조에 미꾸라지의 천적인 메기를 넣으면 미꾸라지가 메기를 피해 다니느라 미꾸라지의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메기 이론은 원래 아놀드 토인비가 말하던 것이라고 한다(문헌 출처는 확인 못함). 원래 버전은 청어와 물메기(곰치)인데 이게 한국에서 미꾸라지와 메기로 바뀐 모양이다.

* 링크: ‘메기 효과’, 그런 건 없어요

( http://ecotopia.hani.co.kr/52555 )

(2015.10.27.)

2015/12/24

[강연] 채사장

  
[YTN DMB] 생각이 바뀌는 의자 - 인문학 공부하지 마라 (채사장 편)
  
[세바시] 569회. 불편한 책을 읽는다는 것 | 채사장
   
2015 제4회 마인드브릿지 인문학 콘서트 (with 지대넓얕)
  
[tbsTV] TV책방 북소리 55회 - 채사장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편
   
[벙커1] 2015.02.24._채사장 특강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지대넓얕)
  
  
(2017.10.18.)
  

[외국 가요] 퍼렐 윌리엄스 (Pharrell Williams)

  
Pharrell Williams - Happy 
  
  
(2015.12.17.)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