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03

대학통합네트워크를 왜 해야 하는가?



올해 2월, 국회의원회관에서 <2020-2025년 대학통합네트워크 현실화 경로와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고 한다. 그 토론회에서 “대학통합네트워크를 실행할 구체적인 방안”도 나왔다고 한다.

그 구체적인 방안에 따르면, 대학통합네트워크는 두 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10개 거점국립대를 ‘국립한국대학’으로 묶고, 2단계에서는 12개 지역중심 국립대학을 통합한다. 학생들은 ‘한국대 통합 입학처’에 지원하는 식으로 통합네트워크에 공동 진학하게 되며 공동 학위를 받는다. 여기까지는 고릿적부터 했던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번 논의가 기존 논의와 다른 점은 필요한 예산을 언급했다는 데 있다. 기사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1단계 통합이 성공하려면 각 거점국립대가 연세대・고려대 수준이 되어야 하며, 그러려면 각 거점국립대가 서울대 수준의 예산을 확보해야 하므로 1년에 총 3조-5조 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거점국립대에 예산을 때려넣어서 연세대나 고려대 수준이 되었다고 하자. 정말 좋은 일이고 나도 바라는 일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거점국립대가 현재의 연세대나 고려대 수준이 되었는데 통합을 왜 하는가? 그렇게 되면 통합할 필요 자체가 없어지는 것 아닌가? 연세대와 고려대가 통합해서 ‘연고대’가 되고 신촌캠퍼스가 ‘연고대 제1캠퍼스’, 안암캠퍼스가 ‘연고대 제2캠퍼스’가 되었을 때 좋아지는 점을 생각해보자. 좋아지는 점이 단 하나도 없다. 무엇이 좋은가? 사교육이 줄어드나, 교육불평등이 줄어드나, 연고전이 사라지고 한국 사립대학계에 평화가 찾아오나?

대학통합네트워크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일종의 이름 페티쉬 같은 것이 있어서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수학자들이 수학 공식을 보면서 아름다움을 느낀다고 하듯이, 이름들의 묘한 규칙성에 자극받지는 않을 것 아닌가. 충남대, 충북대, 전북대, 전남대, 이렇게 하면 아무 느낌도 안 나는데 한국 제1대학, 제2대학, 이런 식의 이름을 보면 자기도 모르게 전율을 느낀다든지 하지는 않을 것 아닌가. 종친회 같은 데 가서 돌림자로 된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보면 막 자기도 모르게 찌릿찌릿한 느낌을 받는 변태가 아니라면, 굳이 그럴 이유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윤서인 같은 사람들이 일본라면 먹으면서 일본사람 된 기분을 느끼듯이, 유럽대학 같은 대학 이름을 보며 유럽사람 된 기분을 느끼려고 그러는 것도 아닐 것이다. 아니, 그럼 왜?

최대한 호의적으로 해석해보자. 서울대에 사회적 상징성이 있으니까 서울대의 독점적인 지위가 무너졌다는 것이 공식화되면 거점국립대에도 예산 배분이 쉬워질 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대학통합네트워크를 하려는 것이라고 생각해보자. 그래도 말이 안 되기는 마찬가지다. 예산은 상징성으로 배분하는 것이 아니다. 기존에 하던 것에 기초해서 예산이 배분된다.

내년부터 거점국립대에 3조-5조 원을 쏟아붓는다고 하자. 그 돈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계획이 있고 그에 따라 예산이 분배되는 것이 정상적인 과정이다. 계획 없이 예산을 투입하면 헛짓거리하는 데 쓰인다. 예산을 요구하기 전에 어디에 쓸지 먼저 정해야 한다.

각 거점국립대마다 나름대로 구상한 발전 방안이 있을 것이다. 어떤 사업을 할 것이며 예산이 얼마나 필요한지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토론회 발표자료집에는 그런 내용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왜? 거점국립대에 있는 사람들도 대학통합네트워크 같은 것이 회의적이어서 협조하는 사람이 그만큼 적다는 것은 아닌가? 토론회에서는 마치 서울대만 꼬시면 어떻게 될 것처럼 말하지만, 부산대와 경북대에서도 이런 것을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다.

예산 지원에도 순서가 있을 것이다. 당장 3조-5조 원을 쏟아넣기 전에 기반을 만드는 작업부터 해야 할 것이다. 우수 학생을 어떻게 유치할지, 우수 교원을 어떻게 유치할지, 해외 학자들을 어떻게 모셔올지, 학생당 교수 수를 늘리기 위해 교수를 얼마나 더 뽑을지, 교육 질을 높이기 위해 학생 정원을 어떻게 할지, 어떤 시설을 새로 지어야 할지, 재정을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어떤 사업단을 꾸려야 할지 등등. 그런데 발표자료집에는 이런 이야기가 하나도 없다. “대학통합네트워크를 실행할 구체적인 방안”이라면서 1단계에서 열 개 묶고 2단계에서 열두 개 묶는다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

심지어 1년에 추가로 들어야 하는 예산이 3조-5조 원이라는 것도 특별히 무언가를 연구해서 나온 결과물이 아니다. 거점국립대들의 1년 예산을 연고대 기준으로 높이면 3조 원이 들고 서울대 기준으로 높이면 5조 원이 든다는 것이다. 그런 단순 계산은 방구석에서 놀고 있는 나 같은 백수한테 시켜도 몇 시간 안에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준이 되는 자료조차 전년도 자료도 아니고 2016년 자료다.

실현가능하지도 않고 실현될 필요도 없는 구상을 하지 말고, 차라리 거점국립대 기숙사 수용가능 인원이 현재 몇 명인데 이걸 몇 년도까지 몇 명으로 늘린다든지, 기숙사비가 얼마인데 얼마를 보조한다고 하면 예산이 얼마 들어간다든지, 등록금을 얼마만큼 보조해주면 서울 소재 사립대학에 갈 학생들이 거점국립대에 진학할 유인이 생긴다든지 하는 분석을 한다면 훨씬 생산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아무 내용 없는 이야기에다 평등이 어쩌네, 권력이 어쩌네 하는 개념어만 달아놓으니, 학교 이름 바꾸자는 것 말고 무엇을 어쩌자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거점국립대 정상화 방안>이라고 해도 되고, <교육공공성 확보를 위한 국공립대 발전 방안>라고 해도 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을 만들기 위한 거점국립대 예산 지원 방안>이라고 해도 된다. 모두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생산적인 이야기가 나올 수 있도록 방향을 잡을 방법은 무수히 많다. 그런데 굳이 별 내용도 없으면서 독특해보이기만 한 이야기만 해서 부산대나 경북대 같은 거점국립대에서도 반대하게 만드니 나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내가 묻고 싶은 것은 매우 단순하다. 그러니까 대학통합네트워크가 왜 필요한가? 이름 페티쉬 때문에 그러는 것이 아니라면 도대체 그런 것을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링크: [매일경제] “교육 불평등, 정시확대로 해결 못 해…대학 통합네트워크 필요”

( www.mk.co.kr/news/society/view/2020/02/172853/ )

(2020.08.03.)


2020/10/01

[경제학의 철학] Hausman (2009), “Laws, Causation, and Economic Methodology” 요약 정리 (미완성)

     

[ Daniel M. Hausman (2009), Laws, Causation, and Economic Methodology”, in D. Ross and H. Kincaid (eds.)(2009), The Oxford Handbook of Philosophy of Economics (Oxford University Press), pp. 35-54. ]

  

  

  1. That Seventies Show

  2. Metamethodology: What Have We Methodologists Been Up To?

  3. Economics as an Inexact and Separate Science

  4. Mäki, Rosenberg, and Others

  5. New Directions


 


p.35 #2

구성

1절: 하우스만의 작업이 과학철학에서 어떻게 나왔는지

2절: 경제학에 관한 분석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철학적 분석

3절: 경제학 방법론에 관한 견해

4절: 경제학 방법론에 관한 다른 학자들의 견해 정리

5절: 경제학 방법론과 과학철학 모두의 발전과 관련된 새로운 방향



  1. That Seventies Show


p.36 #1

1970년대 당시의 분위기

쿤과 라카토슈의 영향


p.36 #2

정치적인 이유로 정치경제학에 관심을 갖게 됨

들어보니 기존의 과학철학과 다름


p.36 #3



p.37 #1

당시는 법칙을 과학에서 근본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p.37 #2

로젠버그와 하우스만은 다른 길을 가게 됨

하우스만은 법칙을 중심으로 경제학의 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이 잘못이라고 생각하게 됨


p.37 #3

하우스만은 경제학의 기본적인 일반화를 근사적 법칙으로 간주할 가능성을 탐구함.


p.38 #1

여기서 따라 나오는 질문들

어떤 진술이 근사적 법칙이라는 것은 무슨 뜻인가?

어떤 주장이 근사적이라는 그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을 함축하는데 거짓 진술이 어떻게 어떤 것을 설명하는가?

근사적 법칙은 어떻게 시험되나?

근사적 법칙은 어떻게 거부되거나 입증될 수 있나?

정확성은 얼마나 중요한가?

근사성은 어느 범위만큼 용인되나?


p.38 #2

하우스만이 겪은 문제


p.38 #3

밀의 방법론을 찾은 것은 행운이었다.

밀이 빠졌던 어려움이 하우스만의 어려움과 비슷

밀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inexact laws와 inexact science에 관한 설명을 함

그리고 쿤과 라카토슈의 설명이 왜 이상한지도 설명함



  2. Metamethodology: What Have We Methodologists Been Up To?


p.38 #4

경제학 방법론을 규범적인 것으로 봄

그런데 이런 물음은 normative questions이지 moral questions가 아님

여기서 ought’s는 rationality의 문제이고 조건적이다.


p.39 #1

규범적인 질문은 비-규범적인 질문에 의존한다.

예) “경제학자는 introspection을 사용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introspection을 사용한 결과가 무엇인가?”와 “경제학의 목표는 무엇인가?”라는 두 질문에 의존한다.

첫 번째 질문에는 논리적이고 개념적인 분석이 도움을 줌

두 번째 질문은 경제학자들에 달려 있음


p.40 #1

경제학 방법론은 규범적인 방법론적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상한 특성을 가진다.


p.40 #2

방법론 연구자의 작업은 경제학적 실행과 과학철학 사이의 불일치를 설명하는 것이다.


p.40 #3



  3. Economics as an Inexact and Separate Science


p.41 #1

미시경제학과 일반균형이론의 방법론적 근본에 관한 하우스만의 견해는 The Inexact and Separate Science of Economics에 잘 나타난다.


p.41 #2

하우스만은 미시경제학과 일반균형이론의 근본 이론을 부정확한 법칙으로 특징 짓는다.

이들 법칙을 부정확하게 하는 것은 ceteris paribus 구이다.


p.41 #3

경제 이론과 모형은 법칙으로만 구성되지 않는다.

단순화를 다루는 하우스만의 전략은 inexact generalizations를 다루는 것과 비슷

근사화와 강건성


p.41 #4

경제학은 복지, 자유, 평등, 정의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관계 맺을 수밖에 없다.


p.41 #5

인과 관련 (다시 읽어야 할 듯)


p.42 #1



  4. Mäki, Rosenberg, and Others


p.42 #2

매키와 로젠버그의 작업은 종종 하우스만의 작업을 보완하고, 같은 이유로 서로에 대한 비판을 함축한다.


p.42 #3

로젠버그와 하우스만과 달리, 매키는 ...


p.42 #4

맥클로스키와 달리, 매키는 방버론이나 인식론 그리고 특정한 존재론적 탐구를 거부하지 않음

그리고 매키는 경제학자들의 연구가 철학자들에게 비판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p.43 #1

매키의 경제학적 방법론은 인식론적이라기보다는 존재론적이고 사회경제적이다.

realism, unification, social shaping of economics theorizing에 초점을 맞춘다.

하우스만의 관심사는 매키와 다르다.

하우스만의 관심사는 인식론적이고 의미론적인 것

매키가 관심을 가지는 존재론적인 연구는 하우스만의 관심사가 아니다.


p.43 #2


p.43 #3

하우스만이 보기로, 과학적 실재론자와 반실재론자는 과학이론이 기술하는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에 관한 의미, 참, 증거에 관하여 불일치한다.

여기서 실재론자와 도구주의자의 논쟁은 과학의 목표에 관한 것이다.

경제이론 대부분은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를 가정하지 않으므로, 과학적 실재론이 맞는지 여부는 경제학 방법론과 무관하다.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에 관한 물음은 “unrealistic assumptions”에 관하여 말할 때이다.


p.43 #4

하우스만은 매키와 같은 문헌을 보았는데 전혀 다른 의견. 이는 어떻게 가능한가?


p.44 #1

여기에는 두 가지 답변이 있다.

첫 번째, 물어야 할 질문은 무엇인지와 그 질문에 대한 탐구를 어떻게 기술해야 하는가에 대해 불일치해서

매키의 질문 “어떤 실재론의 논제가 경제학자들의 주장과 일치하는가?”

하우스만은 매키의 질문이 철학적으로 흥미로운 질문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어떤 반실재론자의 논제가 경제학자의 주장과 일치하는가?”를 물음으로써 동일한 결론을 얻을 것이기 때문이다.


p.44 #2

두 번째 답변은 첫 번째 답변과 관련

하우스만은 경제 이론을 일반적인 실재론자의 입장과 일치시키려는 매키의 강박을 언급함

예) 프리드만

하우스만은 프리드만이 관찰 불가능한 것을 언급하지 않으므로 실재론자도 아니고 반실재론자도 아니라고 함

매키는 프리드먼을 실재론자로 간주함


p.44 #3

하우스만은 실재론을 경제학에서 지극히 사소한 것으로 보지만 매키는 중요한 것으로 본다.


p.45 #1

매키의 질문: “모형이 실제 경제에 대해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매키는 가정이 거짓이라는 점이 반실재론자를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주장함

이 지점에서 하우스만과 매키의 의견이 엇갈림


p.45 #2

매키와 하우스만의 차이는 실재론에 대한 차이


p.45 #3

매키처럼 로젠버그도 존재론에 관한 물음과 관련되지만, 로젠버그의 물음은 어떤 종류의 존재자인가에 관한 것이지 그러한 존재자나 과정이 실재냐는 것은 아니다.


p.45 #4


p.46 #1



  5. New Directions





p.49 #2


(5) 설명은 deeper 할 때 설명은 더 낫다. dimensions of depth는 최소 두 가지. 하나는 더 큰 범위에서 상충하는 것을 더 넓은 범위에서 설명할 수 있다면 그건 deeper explanation. 다른 하나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메커니즘이 robust 할 때


p.50 #1


p.50 #2


p.50 #3

원인에 관한 물음은 법칙에 관한 물음과 분리될 수 있는가?

흄은 실패

흄의 후계자들의 법칙적 진술과 그렇지 않은 일반화


p.50 #4

제리 포더(1991)의 반론

F와 G는 micro properties의 예화로 실현되는 macroscopic properties라고 하자. 이때 micro properties는 F와 G를 수반.

micro properties의 예화 덕에, F의 일반화와 G의 일반화를 관련짓는 법칙들이 있고 이 법칙 중 일부는 비결정적이다.

micro properties의 예화가 우연적이라면, F와 G 사이의 비우연적 연결은 F와 G를 관련짓는 비결정적이거나 비확률적인 법칙이 있음과 정합적이다.

이와 다르게, micro properties은 법칙적이고 그 중 일부는 그렇지 않다고 하자.

여기서도 F의 예화와 G의 예화 사이에는 법칙이 없다고 해도 인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둘 다 경제학에서 그럴 듯하다.



(2021.02.21.)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