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01

[과학철학] Ayer (1963), “What Is a Law of Nature?” 요약 정리 (미완성)

[ Alfred J. Ayer (1963), The Concept of a Person and Other Essays (New York: St. Martin’s Press), pp. 209-234.

Alfred J. Ayer (1956), “What Is a Law of Nature?”, Revue International de Philosophie 36, pp. 144-165. ]

■ 자연법칙은 무엇인가? [pp. 209-210]

- 참이거나 필연적 참이라고 해서 자연법칙은 아님.

• 예) 삼각형 세 각의 합은 180도다, 프랑스 제3공화국의 대통령은 남자다.

- 논리적으로 반증불가능하고 합의된 것은 법칙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을 수 있음.

• 예) 폐쇄된 물리계에서 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다는 열역학 제1법칙

- 통계적 일반화를 자연 법칙으로 간주할 것이냐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음.

- 주어진 명제가 자연 법칙의 형식인지 여부를 말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이 함축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는 문제가 남음.

■ 견해(1): 자연 법칙은 초월자의 명령 [pp. 210-211]

- 오늘날 ‘자연법칙’이라는 표현에서 쓰는 ‘법칙’(law)은 법적 맥락과 도덕적 맥락에서의 사용과 매우 뚜렷하게 구분되지만, 항상 그렇게 구분했던 것은 아님.

- 홉스의 예

• 『리바이어던』에 나오는 법칙. ‘평화를 구하라’, ‘자신이 한 계약을 따르라’ 등. 홉스도 이러한 법칙이 필연적으로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음.

• ‘이성의 명령’(dictates of Reason)을 법칙이라고 하는 것은 법칙을 잘못 아는 것

• 법칙은, 신의 말씀이 전달된 것처럼, 정당하게 모든 것에 명령내리는 정리들(Theorems)

- 자연 법칙은 거역할 수 없는 초월자가 권위를 가지고 자연에 부과되는 명령이라는 견해

• 지금도 우세한 견해는 아니지만, 자연 법칙에 부과되는 필연성의 어떠한 형태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비판 [pp. 211-212]

- 비판(1): 자연 법칙을 초월적 존재의 명령과 동일시하는 분석은 형이상학이나 신학의 불확실성을 과학에 부담을 지우게 됨.

• 우리가 초월자의 존재를 믿을 좋은 이유가 없다면, 자연 법칙이 있음을 우리가 믿을 자격이 없어짐.

- 비판(2): 초월자의 존재를 안다고 하더라도, 자연 법칙을 신의 명령과 동일시할 수 없음.

• 우리는 초월자의 명령이 무엇인지를 통해서가 아니라 다른 독립적 방법을 통해 자연 법칙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므로, 자연 법칙이 초월자의 명령이라는 가정은 쓸모없음.

- 비판(3): 거역하는 것이 불가능한 명령이라는 개념은 이상함.

• 명령의 본성은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 불가항력인 명령에 귀속되는 필연성은 논리 법칙에 속하는 것

• 우리는 연역 추론할 때 실수할 수 있지만, 어떤 것이 논리 법칙을 위배해서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의미.

- 이러한 제한은 사건들 자체가 아니라 사건들을 기술하는 우리의 방법에 관한 것임.

• 이는 사건들 자체는 논리 법칙을 위반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말할 수 없다는 것.

- 그러나 이는 오류일 수 있음.

• 어떤 사건으로 기술할 수 있는 것은 논리 법칙을 따르며, 사건으로 기술할 수 없는 것은 어떠한 사건도 아님.

■ 견해(2): 자연 법칙은 선험적・논리적인 법칙 [pp. 212-213]

- 많은 철학자들은, 어떤 명제가 특정한 종류의 사건이나 속성이 필연적으로 연결된다고 진술하는 경우에만, 그 명제가 자연 법칙을 표현할 수 있다고 간주함.

• 그러한 필연적 연결은 연역 논증의 전제로부터 결론이 따라나오는 결론과 같은 것이거나 매우 비슷한 것. 즉, 논리적 관계.

- 이러한 생각은, 자연 법칙이, 적어도 원리적으로는 경험과 독립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는 이상한 결론에 도달하게 함.

• 자연 법칙이 순수하게 논리적 참이라면 이성에 의해서만 발견될 수 있어야만 함.

■ 비판 [pp. 213-215]

- 흄: “모든 자연 법칙과 물체의 모든 작동이 경험에 의해서만 알려진다고 설득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성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마음은 원인 속에서 결과를 찾아낼 수 없다. 왜냐하면, 결과는 원인과 전적으로 다르며, 따라서 원인에서 결코 발견될 수 없기 때문이다.”

• 구분되는 사건들의 결합이 가정하는 필연적 연결의 관계가 관찰가능하지 않다는 것은 논변의 핵심이 아님.

• 그러한 관계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은 이는 사실의 문제가 아니라 논리의 문제

• 핵심은, 두 사건이 구분된다면, 한 사건의 존재로부터 다른 사건의 도출이 불가능하다는 것. 이는 평범한 항진명제.

- 흄의 반대자들은 자연 법칙으로 결합된 사건들이 논리적으로 서로 구분되고, 그러한 사건들이 논리적 관계에 의해 연합된다고 주장하고자 했음. 이는 명백한 모순임.

- 흄은 자연 법칙이 모순인 것이 적어도 상상가능하다고 함.

• 그러한 법칙을 표현하는 진술의 참은 선험적 확실성의 문제가 아니라 사실에 대한 경험적 문제라는 것.

- 반론: 논리학이나 순수 수학에서 어떤 진술이 입증되거나 반입증되지 않는 진술을 형식화하는 것이 가능함.

- 닐(W. C. Kneale)은 골드바하의 추측을 예로 듦.

• 아무도 이것이 참인지 거짓인지 알지 못함.

• 이것이 참이라면 필연적 참이고, 이것이 거짓이라면 필연적 거짓임.

• 골드바하의 추측이 거짓으로 드러난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골드바하의 추측이 실제로 참인 것은 상상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없음.

■ 에이어의 견해 [pp. 215-218]

- 에이어는 닐의 논변이 흄에 대한 적절한 대답이 아니라고 함.

- 흄이 원래 보여주고자 한 것은 주어진 일련의 명제들이 정말 그렇지 않다는 것이 아님.

- 흄의 핵심은, 사건들이 구분된다고 말하는 것은 사건들이 논리적으로 관계된다고 말하는 것과 양립불가능하다는 것.

- 닐의 반박이 보여준 것은, 닐이 제시한 특정 사례의 경우, 흄이 실수했을 수 있다는 것

- 그러나 자연 법칙에 의해 결합되는 사건들 또는 속성들이 절대로 구분되지 않는가?

• 일단 일반화가 자연 법칙으로 받아들여지면 그것의 지위가 바뀜.

• 우리가 표현에 붙이는 의미는 완전히 고정된 것은 아님.

• 특정한 용어가 지시하는 어떤 종의 모든 대상이, 그 용어가 원래 포괄하지 않는 어떠한 속성을 가진다면, 우리는 그 속성을 포괄하게 하는 경향이 있음.

- 예: 자철석(loadstone)

• 자철석이 쇠를 끌어당긴다는 것은 경험적 발견이었음. ‘자철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특정한 물리적 외양과 구성을 가지는 한 대상만 지시했기 때문에, 자철석이 그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은 형식적으로 추론가능하지 않음.

• 그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자철석이 쇠를 끌어당긴다는 명제는 분석적으로 참임. 쇠를 끌어당기지 않는 물체는 자철석으로 적절하게 불리지 않을 것임.

- 예: 물의 화학적 구성

• 물의 화학적 구성이 H₂O라는 것은 필연적 참이 될 것임

• 그러나 화학적 구성이 D₂O인 중수(heavy water)는? 이것은 물이 아닌가?

• 중수가 물의 한 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면, 물이 H₂O로 구성되는 것이 필연적이라고 할 수 없을 것

- 예: 뉴튼 역학 원리의 지위

• 뉴튼 역학에서 ‘힘’을 질량과 가속도의 곱으로 정의한다면, 우리는 그 원리를 분석적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을 것임.

• 그러나 이 원리를 경험적인 것으로 만들도록 힘을 정의할 다른 방법은 없는가?

• 푸엥카레가 보여주었듯이, 다른 뉴튼 원리를 규약(convention)으로 간주할 수 있음.

• 경험의 시험을 부여하는 것은 전체로서의 체계

- 이는 자연 법칙이 된 명제가 논리적으로 필연적임을 인정해야 하지만, 이는 그것이 모두 참인 것은 아님을 함축함.

-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어떤 단계에서 물리과학이 통합되어서 전체적으로 공리화된 상황을 상상해볼 수 있음.

• 기하학의 지위를 얻게 되어 모든 일반화가 필연적 참으로 간주될 것임.

• 경험이 그러한 체계를 반증할 수 없겠지만, 그러한 안전성은 무익할 것임. 반증되지 않는 대신 경험적 응용을 가지지 못하게 됨.

- 과학적 법칙을 논리적 필연성으로 바꾸는 것은 우리의 지식을 향상시키지 않음.

• 예) 수소 1g당 분자 수백만 개가 들어 있다는 것을 정의의 문제로 만들면, 우리는 우리가 수소 1g을 정말 잘 파악했는지를 더 의심하게 됨.

• 우리가 정의에 더 많은 것을 넣을수록, 우리는 그 정의가 만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더 불확실해짐. 이는 법칙이 반증될 위험을 줄이면서 지불해야 하는 대가임.

p.814

우리가 어떤 것을 자연법칙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분석적 참이기 때문이 아니라 경험적이기 때문이다.

(2018.04.12.)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