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an Ravenscroft (2005), Philosophy of Mind: A Begin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pp. 81-96.
이안 라벤스크로프트, 「제6장. 정신에 관한 계산 이론」, 『심리철학: 초보자 안내서』, 박준호 옮김 (서광사, 2012), 139-163쪽. ]
6.1 구문론과 의미론 (Syntax and semantics)
6.2 컴퓨터란 무엇인가? (What’s a computer?)
6.3 튜링 기계 (Turing machines)
6.4 정신에 관한 계산 이론
(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6.5 사고언어 (The language of thought)
6.6 중국어방 (The Chinese room)
6.7 결론 (Conclusion)
139
정신에 관한 계산 이론(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이하 CTM)
계산주의는 마음을 컴퓨터라고 주장함.
6.1 구문론과 의미론 (Syntax and semantics)
140
기초 기호: 유의미한 부분을 거느리지 않은 기호
예) 자연 언어에서의 낱말 하나
복합 기호: 둘 이상의 기초 기호로 이루어짐.
예) 자연 언어에서의 문장
141
기호의 의미론적 속성
예) 기호의 지시체(reference)
141
구문론적 속성과 달리, 기호의 구문론적 속성은 기호만 따로 떼서 검사하면 탐지되지 않음.
141
기호의 구문론적 속성은 기호 자체만 검사하면 발견될 수 있음.
예) 모양
기호의 의미론적 속성은 의미와 연관된 속성임.
예) 언급, 진리치
6.2 컴퓨터란 무엇인가? (What’s a computer?)
142-
컴퓨터의 특징(1)
컴퓨터는 구문론적 속성만을 토대로 하여 기호를 알아채고 조작함.
143
컴퓨터의 특징(2)
기호가 조작되는 방식이 의미론적 속성을 참작하도록 기호를 배열할 수 있음.
144-
계산 상태와 과정이 복수실현 가능함.
6.3 튜링 기계 (Turing machines)
■ 튜링 기계를 구성하는 요소 [145-146]
- 요소(1): (두루마리 화장지처럼) 칸으로 나뉜 매우 긴 테이프
- 요소(2): 헤드
네 가지 작업을 할 수 있음.
- 요소(3): 기계표
6.4 정신에 관한 계산 이론
(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 CTM의 장점 [149-150]
- 장점(1): 생각은 계산임.
- 장점(2): 복수실현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음.
- 장점(3): 사고가 복합 기호라는 사실을 요구함.
■ CTM의 난점 [150-152]
- 난점(1): 기호는 의미론적 속성을 어떻게 획득하는가?
- 난점(2): 생각이 계산이라면, 제대로 계산을 수행하는 어떤 것이든 생각하는 존재임.
- 난점(3): 심적 과정에 관한 경쟁 설명이 존재함.
예) 연결주의
- 난점(4): CTM이 의식을 잘 설명하는 원천이 될 수 있을지 전혀 분명하지 않음.
6.5 사고언어 (The language of thought)
6.6 중국어방 (The Chinese room)
155-
계산 상태와 과정이 복수실현 가능하므로, CTM은 심적 상태와 과정의 복수실현과 양립가능함.
CTM이 옳다면, 심적 상태와 과정은 원리적으로 디지털 컴퓨터로 실현가능함.
디지털 컴퓨터도 마음을 가짐(또는 마음임).
이러한 착상은 강한 인공지능이라는 연구 계획의 버팀목이 되고 있음.
157-
1. 프로그램은 형식적(구문론적)임.
2. 정신은 (의미론적) 내용을 가짐.
3. 구문론은 그 자체로 의미론과 동일하지도 않고 의미론에 충분하지도 않음.
그러므로
4. 프로그램은 정신에 충분하지도 않고 정신과 동일하지도 않음. 즉, 강한 인공지능은 틀림.
158-
중국어 방에 대한 포더의 반대 논증
포더는 컴퓨터의 기호가 의미론적 속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
기호 ‘에베레트스 산’이 네팔과 티베트 국경에 있는 어떤 산을 언급하는 것은 그 산과 기호가 적절한 연관관계를 맺기 때문임.
마찬가지로, 한자 ‘珠穆朗玛峰’과 에베레스트 산은 적절한 연관관계를 맺으므로 에베레스트 산을 언급함.
중국어 방에 있던 써얼에게는 이러한 연관관계의 존재 여부가 명확하지 않았을 것이며, 써얼은 기호의 모양만을 알아챘을 뿐임.
써얼이 기호 ‘주목랑마봉’(珠穆朗玛峰)을 접하고 해당 기호가 에베레스트 산과 적절히 연관되었다고 해도, 써얼은 이 기호가 에베레스트 산과 적절히 연관되었는지 모를 것이며, ‘주목랑마봉’이 에베레스트 산을 의미하는지도 모를 것임.
써얼은 관련된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하며, 해당 기호가 의미론을 가진다고 해도 써얼은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함.
160
중국어방 사고실험의 교훈은 계산이 의식에는 불충분하다는 점임.
그러나 이로부터 계산이 지능에 불충분하다는 결론은 귀결되지 않음.
6.7 결론 (Conclusion)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