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자료 - 철학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자료 - 철학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10/08

[기출문제] (이론철학 1)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2011년-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I 부문> 1 영역: 서양고중세철학
- <I 부문> 2 영역: 서양근대철학
- <II 부문> 1 영역: 이론철학 1
- <II 부문> 2 영역: 이론철학 2
- <II 부문> 3 영역: 실천철학
  
  
■ 2011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다음 명제의 뜻을 설명하고 그것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면서 그에 대해 논하시오.

내재적 존재(das immanente Sein)는 그것이 존재하기 위하여 “그 어떤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절대적 존재(absolutes Sein)이다.

2. 존재물음의 존재론적 우위와 존재적 우위에 대해서 쓰시오.

3.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에 등장하는 생명의 개념을 상론하고, 그것의 독창성을 평가하시오.


■ 2012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명증(Evidenz)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이성의 현상학”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수행되고 있는 ‘통속적 시간 개념의 기원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서술해 보시오.

3.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에 나오는 “통상적인 우리 인식의 메커니즘은 본성상 영화적이다”라는 명제를 자유롭게 논평하시오.


■ 2012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왜 지향성이 현상학의 중심주제가 되는지 설명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행해지고 있는 ‘통속적 시간의 연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 무(無) 개념에 대한 베르그손의 입장을 개괄하고 그에 대한 가능한 반대논변을 제시하시오.
  

■ 2013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다음 구절에 대해 논하시오. “현상학 전체를 포괄하는 주제는 지향성이다.”

2.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데카르트의 세계 개념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에서 순수 기억은 어떻게 지각 이미지에 덧붙여지는가?


■ 2013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감각적 재료(sensuelle hyle)”와 “지향적 형상(intentionale morphe)”은 각각 무엇을 뜻하는지 설명하고 양자는 어떻게 구별되며 어떤 관계에 있는지, 더 나아가 양자의 구별에 토대를 두고 있는 지향성 개념의 한계는 무엇인지도 아울러 논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세계내부적 존재자(물리적 자연)을 이론적으로 파악하는 태도의 발생과정을 어떤 식으로 분석하고 있는가?

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을 중심으로 물질과 기억의 관계를 논하시오.


■ 2014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이념들 I』에 나오는 지향성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그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세계시간의 특성을 쓰고 세계시간에서 통속적 시간이 어떻게 발생되는지에 대해서 쓰시오.

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을 중심으로 지각의 메커니즘을 상세히 서술, 논평하시오.


■ 2014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후설은 『이념들 I』의 85절에서 “감각적 질료와 지향적 형상”에 대해 논의한 후 86절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기능(Funktion)의 관점은 현상학의 핵심적 관점이며, 그와 관련된 연구는 현상학의 영역 전체를 거의 포괄한다.”

이 문장에서 “기능”이 무엇을 뜻하는지 85절의 내용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또 후설이 왜 그와 관련된 연구가 현상학의 영역 전체를 거의 포괄한다고 주장하는지 설명한 후 그러한 주장이 타당한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히시오.

2. 외부세계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철학적 시도에 대해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가 가하고 있는 비판에 대해 서술해 보시오.

3. 베르그손은 원뿔도식을 통해 무엇을 설명코자 했는가?


■ 2015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중립적 변양”(die Neutralitaetsmodifikation)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현상학적 환원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논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양심분석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에 나오는 8자형 주의 도식과 원뿔 도식을 이용하여 지각의 메커니즘을 상세히 서술, 논평하시오.


■ 2015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다음 구절에 들어 있는 여러 개념들을 설명하면서 그 뜻을 해명하고, 그 중에서 “휠레적인 계기”에 대한 규정이 타당한지 하는 점을 지향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시오. 

“내실적인 계기로서의 휠레적인 체험요소와 노에시스적 요소, 비내실적인 체험계기로서의 노에마적 요소”(“Die hyletischen und noetischen Momente als reelle, die noematischen als nichtreelle Erlebnismomente”)

2. 『존재와 시간』에서 양심개념에 대해서 쓰시오.

3. 베르그손에게서 나의 지각은 내 신체 바깥에 있고 나의 정념은 나의 신체 안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고, 이런 이론의 독창성을 철학사의 문맥에서 평가하시오.


■ 2016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다음 구절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에 대해 후설은 무엇을 근거로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 논하고 이러한 후설의 입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해 보시오. “경험과 원본적으로 제시하는 직관을 경험주의적으로 동일시함”(die empiristische Identifikation von Erfahrung und originaer gebendem Akte)

2.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가 행하고 있는 공간 분석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3.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에서 순수 기억이 지각과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고 논평하시오.


■ 2016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다음 구절이 지향성의 규정과 관련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그처럼 규정된 지향성 개념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시오.  
  - “감각적 질료, 지향적 형상 (sensuelle Hyle, intentionale Morphe)”

2.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근대철학의 자아개념을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세상 사람으로서의 자기 개념과 본래적 자기 개념과 연관시켜 서술해 보시오.

3.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에 등장하는 첫 번째 시간의 종합과 두 번째 시간의 종합 각각을 약술하고 양자의 관계, 양자 각각의 한계를 논술하시오.


■ 2017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Husserl은 『이념들 I』에서 현상학적 환원의 정체를 해명하기 위하여 “자연적 태도의 일반정립”, “배제(Ausschaltung)”, “괄호치기(Einklammerung)”, “판단중지(Epoche)” 등의 개념을 사용한다. 이러한 개념들을 사용하여 현상학적 환원이 무엇인지 실제로 해명해 보시오.

2. “존재는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공허한 개념이므로 정의될 수 없다”는 전통적 존재개념에 대해서 하이데거는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3. 들뢰즈가 유비의 존재론을 비판하고 일의성의 존재론을 옹호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는가?


■ 2017학년도 2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후설의 <이념들 I>의 24절에 나오는 “모든 원리 중의 원리”(Prinzip aller Prinzipien, principle of all principles)에 대해 논하시오.

2.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보는 전통적 견해를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3. 들뢰즈의 초월론적 관념론에서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은 어떻게 비판, 극복되는가? 『차이와 반복』 3장의 새로운 인식능력 이론이나 새로운 사유 개념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논의하시오.


■ 2018학년도 1학기

※ 아래의 세 문제에 모두 대답하시오.

1. 명증(Evidenz)에 대해 설명하고 그를 토대로 명증과 이성(Vernunft)의 관계에 대해 논하시오.

2. 『존재와 시간』에서 ‘공존재(共存在, Mitsein)’ 개념의 내용과 그것이 근대 서양철학사에서 갖는 의의에 대해서 쓰시오.

3. 들뢰즈의 초월론적 경험론이 지닌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칸트의 초월론 철학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2020.01.20.)
   

2022/06/03

[기출문제] (이론철학 2: 논리 및 언어철학)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2011년-2020년)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I 부문> 1 영역: 서양고중세철학

- <I 부문> 2 영역: 서양근대철학

- <II 부문> 1 영역: 이론철학 1

- <II 부문> 2 영역: 이론철학 2

- <II 부문> 3 영역: 실천철학

  

  

- <이론철학 2>는 (A)형이상학 및 인식론, (B)논리 및 언어철학, (C)과학철학, 이렇게 세 영역으로 구성됨.

- 각 영역당 두 문제씩, 총 여섯 문제가 출제되며, 각 영역당 한 문제씩, 총 세 문제를 풀어야 함.

  

  

■ 2011학년도 2학기

 

B-1. 고유명사에 대한 크립키의 견해과 자연종 명사에 대한 퍼트남의 견해를 각각 설명하고 양자가 어떤 공통점들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B-2. 콰인과 크립키-비트겐슈타인의 의미회의주의를 각각 설명하고 양자가 어떤 차이점들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 2012학년도 1학기

 

B-1. 언어적 표현의 의미를 그것의 지시체와 동일시하는 러셀(Russell)의 견해가 어떤 난점들을 야기시키며 그의 기술이론이 이 난점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기술이론에 호소하는 러셀의 해결책은 뜻과 지시체 구분에 호소하는 프레게(Frege)의 해결책보다 우월하다고 볼 수 있는가?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B-2. 언어적 의미의 본성에 대한 콰인(Quine)과 데이빗슨(Davidson)의 견해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두 견해가 서로 양립 가능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 2012학년도 2학기

 

B-1. 고유명사의 의미에 대한 크립키의 견해와 자연종 명사의 의미에 대한 퍼트넘의 견해를 요약하여 설명하고, 두 사람의 견해가 어떤 점에서 모두 반개체주의적(anti-individualistic)이라고 볼 수 있는지 논하시오.

 

B-2. 언어 사용 행위가 합리적 행위의 일종이라는 전제는 데이빗슨의 진리조건 의미론과 그라이스의 대화함의(conversational implicature) 이론 모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데이빗슨과 그라이스의 이론에서 이 전제가 각각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논하시오.



■ 2013학년도 1학기

 

B-1. 다음은 콰인(Quine)의 논문 “Two Dogmas of Empiricsm”의 서두를 인용한 것이다.


Modern empiricism has been conditioned in large part by two dogmas. One is a belief in some fundamental cleavage between truths which are analytic, or grounded in meanings independently of matters of fact, and truth which are synthetic, or grounded in fact. The other dogma is reductionism: the belief that each meaningful statement is equivalent to some logical construct upon terms which refer to immediate experience. Both dogmas, I shall argue, are ill founded. One effect of abandoning them is, as we shall see, a blurring of the supposed boundary between speculative metaphysics and natural science.


콰인이 현대 경험주의의 ‘독단’들이라고 부르는 두 논제를 어떻게 반박하는지 간단히 설명하고, 그가 왜 이 두 논제를 거부할 경우 사변적 형이상학과 자연과학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고 주장하는지 논하시오.

 

B-2. 다음은 데이빗슨(Davidson)의 논문 “Belief and the Basis of Meaning”의 한 대목을 인용한 것이다.


I propose that we take the fact that speakers of a language hold a sentence to be true (under observed circumstances) as prima facie evidence that the sentence is true under those circumstances. For example, positive instances of “Speakers (of German) hold ‘Es schneit’ true when, and only when, it is snowing” should be taken to confirm not only the generalization, but also the T-sentence, “‘Es schneit’ is true (in German) for a speaker x at time t if and only if it is snowing at t (and near x)”.


위의 인용문에 나오는 데이빗슨의 제안이 그의 의미 이론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자 도입된 것이며 실제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하시오. 



■ 2013학년도 2학기


B-1. 프레게(Frege)는 술어의 지시체인 개념(concept)이 함수(function)의 일종이라고 주장한다. 프레게의 주장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설명하고, 이 주장이 어떤 논리학적, 언어철학적 의의를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특히 프레게가 아래 인용문에서 제시하는 구분의 논리학적 의의에 대한 논의를 반드시 포함시키시오.

  

Now just as function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bjects, so also functions whose arguments are and must be function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functions whose arguments are objects and cannot be anything else. I call the latter first-level, the former second-level, functions. In the same way, I distinguish between first-level and second-level concepts.


B-2. 원초적 번역(radical translation) 상황에서 번역 편람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콰인(Quine)의 이론과 원초적 해석(radical interpretation) 상황에서 형식 의미론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데이빗슨(Davidson)의 이론을 설명하고, 두 이론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 2014학년도 1학기


B-1. 다음은 크립키(Kripke)의 저서 Naming and Necessity에서 한 대목을 인용한 것이다.

 

Last time we ended up talking about a theory of naming which is given by a number of theses here on the board.

(1) To every name or designating expression ‘X’, there corresponds a cluster of properties, namely the family of those properties φ such that A believes ‘φX’.

(2) One of the properties, or some conjointly, are believed by A to pick out some individual uniquely.

(3) If most, or a weighted most, of the φ’s are satisfied by one unique object γ, then γ is the referent of ‘X’.

(4) If the vote yields no unique object, ‘X’ does not refer.

(5) The statement, ‘If X exists, then X has most of the φ’s’ is known a priori by the speaker.


인용문에 등장하는 논제 (2)~(5)에 대해, 먼저 각 논제가 성립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례를 하나씩 드시오. 그리고 크립키가 논제 (2)~(5)를 각각 어떻게 비판하는지 논하시오.

 

B-2. 타르스키(Tarski)가 참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전통적인 참 개념 정의들과 비교할 때 그의 정의가 어떤 의의와 한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는지 논하시오.   


■ 2014학년도 2학기

 

B-1. 다음은 러셀의 논문 “On Denoting”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1) If a is identical with b, whatever is true of the one is true of the other, and either may be substituted for the other in any proposition without altering the truth or falsehood of that proposition. Now George IV wished to know whether Scott was the author of Waverley; and in fact Scott was the author of Waverley. Hence we may substitute Scott for the author of ‘Waverley’, and thereby prove that George IV wished to know whether Scott was Scott. Yet an interest in the law of identity can hardly be attributed to the first gentleman of Europe.

(2) By the law of excluded middle, either ‘A is B’ or ‘A is not B’ must be true. Hence either ‘the present King of France is bald’ or ‘the present King of France is not bald’ must be true. Yet if we enumerated the things that are bald, and then the things that are not bald, we should not find the present King of France in either list. Hegelians, who love a synthesis, will probably conclude that he wears a wig.


위의 인용문에서 러셀이 제기하는 문제들이 무엇이고 그가 “On Denoting”에서 어떠한 답변을 제시하는지 설명하시오. 프레게라면 이 문제들에 어떻게 답변하겠는가? 러셀과 프레게의 답변 중 어느 것이 더 설득력 있는가?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그 이유를 논하시오.

   

B-2. 다음은 그라이스의 논문 “Logic and Conversation”의 첫 문장을 인용한 것이다. 그가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화함의(conversational implicature) 이론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이 이론을 사용하여 아래 인용문에서 말하는 ‘commonplace’를 어떻게 거부할 수 있을지 논해보시오.

 

It is a commonplace of philosophical logic that there are, or appear to be, divergences in meaning between, on the one hand, at least some of what I shall call the formal devices - ~, ∧, ∨, ⊃, (x), (ιx), (∃x) (when these are given a standard two-valued interpretation) - and, on the other, what are taken to be their analogs or counterparts in natural language – such expressions as ‘not’, ‘and’, ‘or’, ‘if’, ‘all’, ‘some’ (or ‘at least one’), ‘the’.


 

■ 2015학년도 1학기


B-1. 고유명사의 의미에 대한 프레게(Frege)와 러셀(Russell), 크립키(Kripke)의 견해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각 견해가 어떤 장점과 단점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B-2. 언어 의미에 대한 콰인(Quine)과 크립키-비트겐슈타인 (Kripke-Wittgenstein)의 견해를 각각 설명하고, 두 견해가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 2015학년도 2학기


B-1. 다음은 프레게(Quine)의 논문 “On Sense and Reference”로부터의 인용문이다. 프레게가 ①을 어떻게 옹호하는지 설명하고, ②를 입증하는 사례와 반증하는 사례를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②를 반증하는 사례는 프레게의 의미 이론에 대한 반례로 간주되어야 하는가? 프레게의 관련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The supposition that ①the truth-value of a sentence is its reference shall now be put to further test. We have found that the truth-value of a sentence remains unchanged when an expression in it is replaced by another with the same reference: but we have not yet considered the case in which the expression to be replaced is itself a sentence. Now if our view is correct, ②the truth-value of a sentence containing another sentence as a part must remain unchanged when the part is replaced by another sentence having the same truth-value.”

   

B-2. 다음은 데이빗슨(Davidson)의 논문 “Belief and the Basis of Meaning”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데이빗슨이 어떠한 근거에서 ①을 주장하는지 논하고, ②에 대한 그의 답변이 무엇인지 상술하시오.

     

“Since ①we cannot hope to interpret linguistic activity without knowing what a speaker believes, and cannot found a theory of what he means on a prior discovery of his beliefs and intentions, I conclude that in interpreting utterances from scratch – in radical interpretation – we must somehow deliver simultaneously a theory of belief and a theory of meaning. ②How is this possible?”

  


■ 2016학년도 1학기

 

B-1. 다음은 콰인(Quine)의 논문 “Two Dogmas of Empiricism”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인용문에 나타난 견해를 콰인이 어떻게 비판하는지 설명하고, 그의 비판이 인식론과 형이상학에서 각각 어떠한 철학적 함축을 갖고 있는지 논하시오.

              

“It is obvious that truth in general depends on both language and extralinguistic facts. The statement ‘Brutus killed Caesar’ would be false if the world had been different in certain ways, but it would also be false if the word ‘killed’ happened rather to have the sense of ‘begat’. Thus one is tempted to suppose in general that the truth of a statement is somehow analyzable into a linguistic component and a factual component. Given this supposition, it next seems reasonable that in some statements the factual component should be null; and these are analytic statements.”

   

B-2. 다음은 데이빗슨(Davidson)의 논문 “Truth and Meaning”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인용문의 내용을 설명하고 데이빗슨 자신은 ①의 요구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지 논하시오. 인용문에 나타난 데이빗슨의 비판은 타당한가?

       

“[T]he switch from reference to meaning leads to no useful account of how the meanings of sentences depend upon the meanings of the words (or other structural features) that compose them. Ask, for example, for the meaning of ‘Theaetetus flies.’ A Fregean answer might go something like this: given the meaning of ‘Theaetetus’ as argument, the meaning of ‘flies’ yields the meaning of ‘Theaetetus flies’ as value. The vacuity of this answer is obvious. We wanted to know what the meaning of ‘Theaetetus flies’ is; it is no progress to be told that it is the meaning of ‘Theaetetus flies’. This much we knew before any theory was in sight. In the bogus account just given, talk of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and of the meanings of words was idle, for it played no role in producing the given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the sentence. . . Paradoxically, the one thing meanings do not seem to do is to oil the wheels of a theory of meaning – at least as long as we require of such a theory that ①it non-trivially give the meaning of every sentence in the language.”

  


■ 2017학년도 1학기

 

B-1. 문장의 의미에 대한 프레게(Frege)와 그라이스(Grice)의 견해를 서술하고 두 견해가 어떤 장점과 단점들을 갖고 있는지 비교하여 논하시오. 


B-2. 다음은 루이스(Lewis)의 논문 “Languages and Language”로부터의 인용문이다. 인용문에 등장하는 정의가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인지  설명하고, 루이스가 ①과 같이 주장할 수 있는 이유를 논하시오.

  

Therefore I adopt this definition, claiming that it agrees with ordinary usage in the cases in which ordinary usage is fully determinate:

a language L is used by a population P if and only if there prevails in P a convention of truthfulness and trust in L, sustained by an interest in communication.

① Such conventions, I claim, provide the desired connection between languages and language-using populations.


 

■ 2018학년도 1학기

 

B-1. 다음은 에이어(Ayer)의 저서 Language, Truth, and Logic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인용문에 나타난 철학적 입장을 에이어와 콰인(Quine)이 각각 어떻게 비판할 것인지 논하시오.

 

[... T]he fundamental tenet of rationalism is that thought is an independent source of knowledge, and is moreover a more trustworthy source of knowledge than experience; indeed some rationalists have gone so far as to say that thought is the only source of knowledge. And the ground for this view is simply that the only necessary truths about the world which are known to us are known through thought and not through experience.

           

B-2. 다음은 크립키(Kripke)의 저서 Naming and Necessity로부터의 인용문이다. 인용문에 소개된 이론의 ‘stronger version’과 ‘weaker version’을 크립키가 각각 어떻게 비판할 것인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들어 논하시오.

   

As I said, there is a popular modern substitute for the theory of Frege and Russell; it is adopted even by such a strong critic of many views of Frege and Russell, especially the latter, as Strawson. The substitute is that, although a name is not a disguised description it either abbreviates, or anyway its reference is determined by, some cluster of descriptions.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is true. As I also said, there are stronger and weaker versions of this.

 

 

■ 2018학년도 2학기

 

B-1. 프레게(Frege)가 말하는 언어표현의 지시체(Bedeutung, reference)와 뜻(Sinn, sense)이 무엇이고 어떻게 구분되는지 설명하시오. 아래 인용문에서 프레게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는가? 그의 주장은 타당한가?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이를 옹호하시오.

           

“The same sense is not always connected, even in the same man, with the same idea. The idea is subjective: one man’s idea is not that of another. There result, as a matter of course, a variety of differences in the ideas associated with the same sense. A painter, a horseman, and a zoologist will probably connect different ideas with the name ‘Bucephalus’. This constitutes an essential distinction between the idea and the sign’s sense, which may be the common property of many people, and so is not a part or a mode of the individual mind. For one can hardly deny that mankind has a common store of thoughts which is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B-2. 아래 인용문에 언급된 ①의 내용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크립키(Kripke)가 왜 ②와 ③처럼 논평할 수 있는지 그 이유를 논하시오. 또한 크립키가 ④를 주장할 수 있는 이유를 논하시오.

          

“Wittgenstein has invented ①a new form of scepticism. Personally I am inclined to regard it as ②the most radical and original sceptical problem that philosophy has seen to date, one that only a highly unusual cast of mind could have produced. Of course he does not wish to leave us with his problem, but to solve it: the sceptical conclusion is ③insane and intolerable. ④It is his solution, I will argue, that contains the argument against ‘private language’; for allegedly, the solution will not admit such a language.”

  

   

■ 2019학년도 2학기

 

B-1. 다음은 에이어(Ayer)의 저서 Language, Truth, and Logic에서 한 대목을 인용한 것이다. 인용문의 내용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에이어와 콰인(Quine)이 해당 내용을 어떻게 평가할지 비교하여 논하시오.

  

The course of maintaining that the truths of logic and mathematics are not necessary or certain was adopted by Mill. He maintained that these propositions were inductive generalizations based on an extremely large number of instances.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upporting instances was so very large accounted, in his view, for our believing these generalizations to be necessarily and universally true. The evidence in their favour was so strong that it seemed incredible to us that a contrary instance should ever arise. Nevertheless it was in principle possible for such generalizations to be confuted. They were highly probable, but, being inductive generalizations, they were not cert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hypotheses of natural science was a difference in degree and not in kind. Experience gave us very good reason to suppose that a “truth” of mathematics or logic was true universally; but we were not possessed of a guarantee. For these “truths” were only empirical hypotheses which had worked particularly well in the past; and, like all empirical hypotheses, they were theoretically fallible.

  

B-2. 데이빗슨(Davidson)의 논문 “Truth and Meaning”과 그라이스(Grice)의 논문 “Logic and Conversation”이 언어 의미의 어떤 측면을 어떻게 해명하고 있는지 논하시오.

    

     

■ 2020학년도 1학기


B-1. 다음은 프레게(Frege)의 논문 “Function and Concept”로부터의 인용문이다. 프레게의 의미 이론 및 인용문의 내용을 고려하여 문장 “Plato is a philosopher and all philosophers are mortal”의 의미가 지시체 수준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Now just as function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bjects, so also functions whose arguments are and must be function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functions whose arguments are objects and cannot be anything else. I call the latter first-level, the former second-level, functions. In the same way, I distinguish between first-level and second-level concepts.
   
B-2. 루이스(Lewis)는 논문 “Languages and Language”에서 규약(convention)을 아래처럼 정의하고 있다.
   
Conventions are regularities in action, or in action and belief, which are arbitrary but perpetuate themselves because they serve some sort of common interest. 

루이스가 규약을 위와 같이 정의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이 정의를 받아들일 때, 같은 논문에서 루이스가 제시하는 아래 조건들이 심각하게 위배된다면 행위(또는 행위와 믿음)에 있어서의 규칙성 R은 규약이 될 수 없다. 각 조건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들어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1) Everyone conforms to R.
(2) Everyone believes that the others conform to R.
(3) This belief that the others conform to R gives everyone a good and decisive reason to conform to R himself.
(4) There is a general preference for general conformity to R rather than slightly-less-than-general conformity. 
(5) R is not the only possible regularity meeting the last two conditions.


■ 2020학년도 2학기

B-1. 다음은 러셀(Russell)의 논문 “On Denoting”으로부터의 인용문이다. 러셀이 프레게의 견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어떤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지 밝히고, 밑줄 친 문제에 대해 그가 논문에서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지 설명하시오. 러셀의 해결책은 프레게의 해결책과 어떤 점에서 다르며 어떤 점에서 장점(또는 단점)을 갖고 있는가?
         
[Frege] distinguishes, in a denoting phrase, two elements, which we may call the meaning and the denotation. Thus ‘the center of mass of the solar system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is highly complex in meaning, but its denotation is a certain point, which is simple. The solar system, the twentieth century, etc., are constituents of the meaning; but the denotation has no constituents at all. One advantage of this distinction is that it shows why it is often worthwhile to assert identity. If we say ‘Scott is the author of Waverley’, we assert an identity of denotation with a difference of meaning.

B-2. 다음은 크립키(Kripke)의 저서 Naming and Necessity로부터의 인용문이다. 크립키가 ①, ②, ③을 각각 어떻게 옹호 또는 정당화하는지 논하시오.
    
Frege should be criticized for using the term ‘sense’ in two senses. For he takes the sense of a designator to be its meaning; and he also takes it to be the way its reference is determined. Identifying the two, he supposes that both are given by definite descriptions. Ultimately, ①I will reject this second supposition too; but even were it right, ②I reject the first. A description may be used as synonymous with a designator, or it may be used to fix its reference. The two Fregean senses of ‘sense’ correspond to two senses of ‘definition’ in ordinary parlance. ③They should carefully be distinguished.
     
     
(2020.09.02.)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